$\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의 유전독성 연구
Genotoxicity Study from the Extracts of Fermented Acanthopanax koreanum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2, 2016년, pp.107 - 112  

조명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영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재민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상종 ((주)에스티알바이오텍) ,  신현무 (메사추세츠주립대학교의과대학)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발효 탐라오가피(fermented A. koreanum) 추출물의 유전독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미생물복귀돌연변이 시험,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 염색체 이상시험을 연구하였다. 미생물복귀돌연변이 연구에서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와 Escherichia coli WP2uvrA에 대하여 대사활성계의 존재(+S-9 Mix) 및 부재(-S-9 Mix) 하에서 돌연변이 유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ICR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실험에서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은 500, 1,000, 2,000 mg/kg 농도에서 MNPCE/2,000 PCE 와 PCE/200 RBC의 소핵형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한편, CHO-K1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실험에서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은 대사활성계의 존재 6시간 처리군, 대사활성계 부재 6시간 처리군 및 대사활성계 부재 24시간 처리군에서 염색체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발효 탐라 오가피 추출물은 유전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enotoxicity from the extracts of fermented Acanthopanax koreanum.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the extracts of fermented A. koreanum did not induce mutagenicity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and Escherichia coli WP2uvrA with or without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발효 탐라오가피(fermented A. koreanum)의 수용성 추출물을 식품 산업에 활용하고자, 유전독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발효 탐라오가피의 미생물복귀 돌연변이 시험,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 및 염색체이상시험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가피의 종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러시아등지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1), 오가피의 주요 생리활성으로는 항스트레스2), 항산화3), 항염증4), 항당뇨5) 등이 보고되어 있다. 오가피의 종은 가시오가피(A. senticosus), 지리오가피(A. chiisanensis), 탐라오가피(A. koreanum) 등으로 분류되는데6), 그 중 하나인 탐라오가피(A. koreanum)는한국의 제주도에 자생하는 종으로, 주요 지표성분으로는eleutheroside B와 E가 보고되었다7).
오가피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오가피(Acanthopanax sp.)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러시아등지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1), 오가피의 주요 생리활성으로는 항스트레스2), 항산화3), 항염증4), 항당뇨5) 등이 보고되어 있다. 오가피의 종은 가시오가피(A.
오가피의 주요 지표성분 중에서 Eleutheroside B와 Eleutheroside E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koreanum)는한국의 제주도에 자생하는 종으로, 주요 지표성분으로는eleutheroside B와 E가 보고되었다7). Eleutheroside B는 주로 항암, 항산화, 항피로 등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며,Eleutheroside E는 염증억제, 피로감소 및 체력 증진 등의효능을 보인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un Y.L., Liu L.D., Hong S.K.: Eleutherococcus senticosus as a crude medicine: Review of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J. Med. Plants Res., 5, 5946-5952 (2011). 

  2. Gaffney B.T., Hugel H.M., Rich P.A.: Panax ginseng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y exaggerate an already existing biphasic response to stress via inhibition of enzymes which limit the binding of stress hormones to their receptors. Med. Hypotheses, 56, 567-572. (2001). 

  3. Choi J.M,, Ahn J.B.: Functional properties of 50%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73-377 (2012). 

  4. Dowling E.A., Redondo D.R., Branch J.D., Jones S., McNabb G., Williams M.H.: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on submaximal and maximal exercise performance. Med. Sci. Sports Exerc., 28, 482-489 (1996). 

  5. Watanabe K., Kamata K., Sato J., Takahashi T.: Fundamental studies on the inhibitory ac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on glucose absorption. J. Ethnopharmacol., 132, 193-199 (2010). 

  6. Kim Y.H., Bae D.B., Park S.O., Lee S.J., Cho O.H., Lee O.K.: Method val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beta}$ -glucan in Acanthopanax korean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19-1425 (2013). 

  7. Kim Y.H., Bae D.B., Lee J.S., Park S.O., Lee S.J., Cho O.H., Lee O.H.: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beta}$ -glucan content from different parts and cultivating areas of A. senticosus and A. korean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82-2087 (2013). 

  8. Huang L.Z., Wei L., Zhao H.F., Huang B.K., Rahman K., Qin L.P.: The effect of eleutheroside E on behavioral alterations in murine sleep deprivation stress model. Eur. J. Pharmacol., 658, 150-155 (2011). 

  9. Huang L.Z., Zhao H.F., Huang B.K., Zheng C.J., Peng W., Qin L.P.: Acanthopanax senticosus: review of botany, chemistry and pharmacology. Pharmazie, 66, 83-97 (2011). 

  10. Ham S.H., Lim B.L., Yu J.H., Ka S.O., Park B.H.: Fermentation increases Antidiabetic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2, 340-345 (2008). 

  11. Ahn H.Y., Cha J.Y., Cho Y.S.: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canthopanax senticosus by mold. J. Life Sci., 22, 1704-1711 (2012). 

  12. Cho J.H., Park I.J., Paik S.O., Choi S.Y., Choi G.H.: Singleand repeated-dose toxic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249-255 (2014). 

  13. Cho M.L., Shin G.H., Kim J.M., Lee J.H., Park S.O., Lee S.J., Shin H.M., Lee B.Y., Kang I.J., Lee O.K.: Acute and subchronic (13 week) toxicity of fermented Acanthopanax koreanum extracts in Sprague Dawley rats. Regul. Toxicol. Pharm., 77, 93-99 (2016). 

  14. Lee S.H., Ryu J.M., Seo I.K., Lee T.H., Kim Y.B., Moon S.K., Jung K.H., Park K.R., Hwang S.Y.: Genotoxicity study of Magnolia obovata extracts. J. Toxicol. Pub. Health, 23, 79-78 (2007). 

  15. Lee S.S., Park Y.H., Sohn Y., Ryu S.J., Surh Y.J.: Genotoxicity of capsaicin in cultured human lymphocytes. Environ. Mutagen. Carcinogen., 15, 81-87 (1995). 

  16. Cho M.C., Hong C.E., Lyu S.Y.: Antimutagenic study on Acanthopanax koreanum Nakai. J. Fd Hyg. Safety, 25, 215-219 (2010). 

  17. Hong S.G., Chung S.G., Hyun S.H.: The micronucleus test of the diglyceride prepara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by using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53-857 (2008). 

  18. Kim I.B., Jeong J.S., Yoon T.J., Kim J.B.: Safety evaluation of Korean mistletoe extract. Korean J. Food Nutr., 26, 383-39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