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화철-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의 암모니아 가스센서 응용
Iron Oxide-Carbon Nanotube Composite for NH3 Detection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6 no.4, 2016년, pp.187 - 193  

이현동 (충남대학교 차세대전자기판회로학과) ,  김다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고다애 (충남대학교 차세대전자기판회로학과) ,  김도진 (충남대학교 차세대전자기판회로학과) ,  김효진 (충남대학교 차세대전자기판회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brication of iron oxide/carbon nanotube composite structures for detection of ammonia gas at room temperature is reported. The iron oxide/carbon nanotube composite structures are fabricated by in situ co-arc-discharge method using a graphite source with varying numbers of iron wires inserted. Th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금속산화물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이점인 높은 비표면적과 전기전도도, 금속산화물의 이점인 열 및 화학 안정성의 이점을 모두 가질 수 있다.9) 본 연구에서는 특히 암모니아(NH3) 가스에 대한 감지 특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우수한 상온 감응 특성을 활용한 센서 응용을 위하여 이 시편을 다양한 조건에서 열처리한 시편의 가스 감지 측정 결과와 비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속 산화물이 가스 센서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금속 산화물은 전기 전도성을 통한 가스 감지능과 좋은 가역성 때문에 가스 센서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화철[iron(III) oxide: α-Fe2O3]은 우리주변에서 흔히볼 수 있는 가장 안정적인 형태의 n-형 반도체 특성을 갖는 금속산화물로써 산소공공(oxygen vacancy)에 의해 형성된 전자가 주 전하캐리어로 작용하여 n-형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어 환원성 가스에 대해 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을 보인다.
산화물 가스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1 eV 밴드갭을 갖는 산화철은 가스센서 뿐만 아니라 촉매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소재이다.1)산화물 가스센서의 감지 신호는 표면에서 일어나는 분자의 흡착 또는 탈착 반응에 수반하는 전하의 구속 및방출에 따른 산화물의 전류 변화에 기인하므로 감도를 향상시키는 하나의 전략은 센서 산화물을 나노화 시켜 표면적 대비 부피의 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나노입자, 나노튜브, 나노선 등 다양한 나노 스케일의 금속 산화물을 제작하여 기존의 벌크 구조체 가스센서보다 개선된 감지 특성을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다.
장입한 철선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탄소나노튜브와 철 입자가 더 많이 형성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체적으로 탄소나 노튜브와 철 입자가 기판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장입한 철선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탄소나노튜브와 철 입자가 더 많이 형성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흑연봉에 장입한 철선이 많을수록 탄소나노튜브 생성을 위한 촉매의 양이 많아져 탄소나 노튜브 생성 확률이 커지는 동시에 철 입자 자체의 생산성도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탄올 처리된 복합체는 탄소나노튜브 상이의 간섭으로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 스케일의 다공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 K. Pawar, D. D. Kajale, G. E. Patil, V. G. Wagh, V. B. Gaikwad , M. K. Deore and G. H. Jain, Int. J. Smart Sens. Intelligent Syst., 5, 441 (2012). 

  2. A. Mandelis, C. Christofides, Physics,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olid State Gas Sensor Devices, Wiley-Interscience, New York (1993). 

  3. N. H. Kim and G. J. Kim, J. Nanosci. Nanotechnol., 11, 3914 (2007). 

  4. N. D. Hoa, N. V. Quy, Y. Cho and D. Kim, Sens. Actuators B, 135, 656 (2009). 

  5. N. D. Hoa, N. V. Quy, Y. Cho and D. Kim, J. Cryst. Growth., 311, 657 (2009). 

  6. D. H. Oh, N. D. Hoa and D. Kim, J. Nanosci. Nanotechnol., 11, 1601 (2011). 

  7. N. M. Vuong, D. Kim, H. Jung, H. Kim and S. K. Hong, J. Mater. Chem., 22, 6716 (2012). 

  8. N. M. Vuong, D. Kim and H. Kim, Sens. Actuators B, 220, 932 (2015). 

  9. N. Donato, M. Latino, G. Neri, Carbon nanotubes-From research to applications, p. 299 Ed. Bianco, In Tech Pub. Astralia, (2011). 

  10. S. Moon, N. M. Vuong, D. Lee, D. Kim, H. Lee, D. Kim, S. K. Hong and S. G. Yoon, Sens. Actuators B, 222, 166 (2016). 

  11. N. M. Vuong, D. Kim and H. Kim, Sci. Rep., 5, 11040 (2015). 

  12. S. H. Jung, E. Oh, K. H. Lee, W. Park and S. H. Jeong, Adv. Mater., 19, 749 (2007). 

  13. H. Jung, Y. S. Cho, Y. J. Kang and D. J. Kim, Korean J. Mater. Res., 18, 5 (2008). 

  14. Y. Miyata, K. Mizuno and H. Kataura, J. Nanomater., 2011, 1 (2011). 

  15. G. S. Choi, Y. S. Cho, S. Y. Hong, J. B. Park, K. H. Son and D. J. Kim, J. Appl. Phys., 91, 3847 (2002). 

  16. D. Oh, Y. Kang, H. Jung, H. Song, Y. Cho and D. Kim, Korean J. Mater. Res., 19, 488 (2009). 

  17. X. Zhang, H. Li, S. Wang, F. F. Fan and A. J. Bard, J. Phys. Chem. C, 118, 16842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