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젖산균과 효소제 처리에 의한 동계사료작물 발효성상, In vitro 반추위 발효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Enzyme Supplementation on Fermentative Patterns of Ensiling Silages, Their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Digestibility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6 no.1, 2016년, pp.7 - 14  

이아름 (NSF 코리아) ,  신수진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양진호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조상범 ((주)칼스) ,  최낙진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보리와 트리티케일L. plantarum, L. plantarum과 L. buchneri가 혼합된 접종원을 각각 첨가한 사일리지에 섬유소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사일리지 품질, 반추위 발효 패턴 및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두 초종의 사일리지 건물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전반적으로 청보리 사일리지가 높게 조사 되었으며(p<0.01), 트리티케일 사일리지 처리구에서는 섬유소 분해효소의 첨가가 유의적으로 낮은 NDF 함량을 나타내었다(p<0.01). 청보리와 트리티케일 사일리지에서 유기산 (젖산 및 초산)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타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L. plantarum을 접종균주로 사용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젖산 함량을 나타내었다(p<0.01). 사일리지 내 lactic acid bacteria는 두 초종 모두 섬유소 분해효소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mold 생성량은 무첨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반추위 발효 패턴 및 소화율의 결과에서, 반추위 내 암모니아태 질소생성량은 청보리 사일리지에 L. plantarum과 L. buchneri를 혼합하여 접종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냈다(p<0.01). 총 가스 생성량은 처리구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효소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p=0.003). 반추위 내 건물소화율은 청보리 사일리지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p<0.01), 트리티케일 사일리지는 혼합균주 L. plantarum과 L. buchneri에 섬유소 분해효소의 첨가한 처리구가 타 처리구 대비 유의적으로 높은 소화율을 보였다(p<0.01). 반추위 내 초산 생성량은 L. plantarum과 L. buchneri 를 접종한 처리구와 섬유소 분해효소를 첨가한 트리티케일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1). 또한 총 휘발성 지방산은 청보리 사일리지 처리구의 균주 및 효소를 혼합 첨가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본 연구를 통해 homofermentative LAB 보다 heterofermentative LAB가 안정적인 사일리지 발효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반추동물사료효율 증대를 위한 대안으로 사용된 섬유소 분해효소를 이용한 효과는 초종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가지며, 효소의 적용에 대한 연구 및 균주와 효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bacterial inoculation (Lactobacillus plantarum or combo inoculant mix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buchneri) and addition of fibrolytic enzyme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crop barl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청보리와 트리티케일을 이용한 사일리지 제작에 있어 섬유소 분해효소와 젖산균의 효과 및 젖산균 균주별 효과를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실험은 facultative homofermentative 균주인 L. plantarum 과 strictly heterofermentative 균주인 L. buchenri 혼합 사용 그리고 섬유소 분해 효소와의 혼합사용 등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초종별 총 5개의 시험구를 구성하였다. 아무런 첨가제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구 (CON), 젖산균 L.
  • buchneri와 같은 heterofermentative LAB를 사용하면 사일리지 내 초산, 프로피온산 및 뷰틸산의 생성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는 L. plantarum과 L. buchneri가 혼합된 TLB 처리구가 대체적으로 높은 초산 함량을 나타낸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하였다.

가설 설정

  • 4) 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사료 공급의 역할은? 청보리와 트리티케일과 같은 양질의 조사료 공급은 반추 가축의 생산성 향상 및 반추위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Shinekhuu et al., 2009).
사일리지 발효에 사용되는 젖산균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 2009). 사일리지 발효에 사용되는 젖산균 (LAB, lactic acid bacteria)은 발효 산물로 생성되는 유기산들의 종류에 따라 homofermentative LAB와 heterofermentative LAB로 구분된다. Homofermentative LAB는 주로 젖산을 그 발효 대사산물로 생성하고 빠른 pH 하강을 유도하여 사일리지 숙성과정의 발효 안정에 도움을 준다.
사일리지 발효과정에서 발효 조건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그 품질향상 효율성에 대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이유는? 사일리지 발효과정에서 효소제및 젖산균의 적용은 사일리지 품질향상에 큰 도움이 되며, 반추위 소화율에도 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작용들이 생물학적 특성에 기초하기 때문에 발효 조건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그 품질향상 효율성에 대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Feng et al., 1996; Colombatt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del-Rahman, M.A., Tashiro, Y., Zendo, T., Hanada, K., Shibata, K. and Sonomoto, K. 2011. Efficient homofermentative L-(+)-lactic acid production from xylose by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Enterococcus mundtii QU 25.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7:1892-1895. 

  2. Addah, W., Baah, J., Okine, E.K. and McAllister, T.A. 2012. A third-generation esterase inoculant alters fermentation pattern and improves aerobic stability of barley silage and the efficiency of body weight gain of growing feedlot cattle. Journal of Animal Science. 90:1541-1552. 

  3. Ahn, J.H., Kim, Y.J. and Kim, H.J. 2003. Effect of fibrolytic enzyme addition on ruminal fermentation,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of dairy cows.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5:131-142. 

  4.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5. Beauchemin, K., Rode, L. and Sewalt, V. 1995. Fibrolytic enzymes increase fiber digestibility and growth rate of steers fed dry forages. Canadian Journal of Animal Science. 75:641-644. 

  6. Beauchemin, K., Colombatto, D., Morgavi, D. and Yang, W. 2003. Use of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to improve feed utilization by ruminants. Journal of Animal Science. 81:37-47. 

  7. Chaney, A.L. and Marbach, E.P. 1962. Modified reagents for determination of urea and ammonia. Clinical Chemistry. 8:130-132. 

  8. Cho, S., Kang, J.S., Cho, K.J., Lee, K.H., Kwon, C.H., Song, J., Lee, K., Kim, S.Y. and Kim, E.J. 2014. Effect of homo-fermentative and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silage :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4:247-253. 

  9. Colombatto, D., Mould, F.L., Bhat, M.K. and Owen, E. 2003. Use of fibrolytic enzymes to improve the nutritive value of ruminant diets: A biochemical and in vitro rumen degradation assessment.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07:201-209. 

  10. Dean, D., Adesogan, A., Krueger, N. and Littell, R. 2008. Effects of treatment with ammonia or fibrolytic enzyme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ruminal degradability of hays produced from tropical grasses.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45:68-83. 

  11. Erwin, E., Marco, G. and Emery, E. 1961. Volatile fatty acid analyses of blood and rumen fluid by gas chromatography. Journal of Dairy Science. 44:1768-1771. 

  12. Eun, J.S. and Beauchemin, K.A. 2007. Relationship between enzymic activities and in vitro degradation of alfalfa hay and corn silage.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45:53-67. 

  13. Feng, P., Hunt, C., Pritchard, G. and Julien, D.W. 1996. Effect of enzyme preparations on in situ and in vitro degradation and in vivo digestive characteristics of mature cool-season grass forage in beef steers. Journal of Animal Science. 74:1349-1357. 

  14. Filya, I. 2003. The effect of Lactobacillus buchneri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fermentation, aerobic stability, and ruminal degradability of low dry matter corn and sorghum silages. Journal of Dairy Science. 86:3575-3581. 

  15. Heinl, S., Wibberg, D., Eikmeyer, F., Szczepanowski, R., Blom, J., Linke, B., Goesmann, A., Grabherr, R., Schwab, H. and Puhler, A. 2012. Insights into the completely annotated genome of Lactobacillus buchneri CD034, a strain isolated from stable grass silage. Journal of Biotechnology. 161:153-166. 

  16. Hiltner, P. and Dehority, B. 1983. Effect of soluble carbohydrates on digestion of cellulose by pure cultures of rumen bacteria.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46:642-648. 

  17. Kim, J.G., Ham, J.S., Chung, E.S., Park, H.S., Lee, J.K., Jung, M.W., Choi, K.C., Jo, N.C. and Seo, S. 2009. Evaluation of fermentation ability of microbes for whole crop barley silage inocu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9:235-244. 

  18. Krueger, N.A. and Adesogan, A.T. 2008. Effects of different mixtures of fibrolytic enzymes on digestion and fermentation of bahiagrass hay.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45:84-94. 

  19. Lee, H.J., Kim, D.H., Amanullah, S.M., Kim, S.C., Song, Y.M. and Kim, H.Y. 2014. Effects of bacterial inoculants and cutting height on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sil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34:163-168. 

  20. Marten, G.C., Goodrich, R.D., Schmid, A.R., Meiske, J.C., Jordan, R.M. and Linn, J.G. 1975. Evaluation of laboratory methods for determining quality of corn and sorghum silages: II. Chemical methods for predicting in vivo digestibility. Agronomy Journal. 67:247-251. 

  21. McDougall, E. 1948. Studies on ruminant saliva. 1. The composition and output of sheep's saliva. Biochemical Journal. 43:99-109. 

  22. Miller, T.L. and Wolin, M. 1974. A serum bottle modification of the Hungate technique for cultivating obligate anaerobes.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7:985-987. 

  23. Moore, J. 1970. Procedures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s. Nutrition Research Techniques for Domestic and Wild Animals. 1:5001-5003. 

  24. Ok, J.U., Lee, S.M., Lee, S.J., Lim, J.H., Kang, T.W., Jung, H.Y., Moon, Y.H. and Lee, S.S. 2006. Effect of yeast addition in rice straw silage fermentatio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nly. 48:691-698. 

  25. SAS. 2002.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26. Shinekhuu, J., Kim, K.L., Ji, B.J., Xiangzi, L., Oh, Y.K., Hong, S.K. and Song, M.K. 2009. Protein fractionation of whole crop silages, and effect of borate-phosphate buffer extraction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gas production and degradatio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51:369-378. 

  27. Stiles, D., Bartley, E., Meyer, R.E., Deyoe, C. and Pfost, H. 1970. Feed processing. VII. effect of an expansion-processed mixture of grain and urea (starea) on rumen metabolism in cattle and on urea toxicity 1, 2. Journal of Dairy Science. 53:1436-1447. 

  28. Tilley, J. and Terry, R. 1963. A two 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Grass and Forage Science. 18:104-111. 

  29. Van Soest, P.V., Robertson, J. and Lewis, B. 1991. Methods for dietary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in relation to animal nutrition. Journal of Dairy Science. 74:3583-3597. 

  30. Woolford, M.K. 1975. Microbiological screening of the straight chain fatty acids (c1-c12) as potential silage additive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26:219-2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