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내 장난감도서관 구성에 대한 유아들의 이야기
Children's Story on Spatial Composition in a Child Care Center Toy Librar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2, 2016년, pp.201 - 218  

이순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ren's desires in a toy library and what they want to do there in order to reflect their opinions on constructing a toy library in a child care center.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on a 'toy library' project consisting of 20 five-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권리의 결정적 시기를 언제로 규정하고 있는가?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일반 논평(2006)을 통해 유아기(0~8세)1)를 아동권리의 결정적 시기로 규정하고, 유아기에 직면하는 발달과제, 특별한 이익, 경험 및 도전을 존중해 주는 것이 유아기 아동권리의 출발점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아동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이 아동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하고 보육과 교육제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아동최선의 이익이 모두 고려되어야함을 밝히고 있다.
우리나라 아동에게 놀이의 실태는 무엇인가? UN아동권리 협약 제 31조는 아동이 ‘휴식, 여가, 놀이, 오락활동, 문화생활, 예술활동’에 참여할 권리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아동은 방과 후에도 매일 학원에서 공부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놀 권리를 침해받고 있는 실정이다(우남희, 2004). 더욱이 더 이른 시기부터 더 오랜 시간을 가정 밖에서 성장하는 유아의 삶을 보면 이들의 놀 권리를 확보해주는 것은 더욱 심각하게 노력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놀이는 성장기 아동에게 무슨 권리인가? 놀이는 성장기 아동에게 즐거움을 주는 활동이자 향유해야 할 권리이기도 하다. UN아동권리 협약 제 31조는 아동이 ‘휴식, 여가, 놀이, 오락활동, 문화생활, 예술활동’에 참여할 권리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박기갑 (2006). 유엔아동권리위원회.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 일반논평.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 김수정 (2012). 전국 장난감도서관의 운영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은설, 박수연 (2010). 보육 시설장.교사 윤리강령 개발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 김정래 (2002). 아동의 놀 권리: 그 교육적 필요성의 철학적 정당화 논의. 아동권리연구, 6(1), 31-46. 

  5. 김지희 (2012). 아동의 생활시간과 놀이시간 양태연구: 방과 후 보호자 유무에 따른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50(8), 13-19. 

  6. 박병희, 박선희 (2002). 유아, 공간, 관계: 유아를 위한 포괄적 교육환경 프로젝트. 서울: 다음세대. 

  7. 보건복지부 (2015).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8.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윤경, 유해미, 손창균 등 (2013). 2012 보육실태조사 결과 발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9. 서영숙 (2011. 10).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영유아 권리 존중 실태와 실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제1차 육아선진화포럼자료집, 서울. 

  10. 서영숙, 서지영 (200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서울: 학지사. 

  11.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보육교사용 아동권리협약과 함께 하는 아동청소년의 권리. 서울: 보건복지부. 

  12. 서영숙, 이창미 (2013. 11). 장난감도서관의 현재적 의미와 가치실현을 위한 정책제언. 육아지원사업의 꽃 '장난감도서관' 활성화 정책포럼, 한국장난감도서관협회, 서울. 

  13. 신정희 (2005). 한국의 장난감도서관에 관한 인식, 국제장난감도서관협회 9차 컨퍼런스, 리스본. 

  14. 우남희 (2004). 권리와 한국의 조기교육. 한국아동권리학회, 8(2), 189-207. 

  15. 윤은주 (2015). 자기주도적 프로젝트교사교육 콘텐츠 개발 탐색연구: 유아교사의 프로젝트 실행 과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6(3), 195-213. 

  16. 이순희, 서영숙 (2013). 아동권리 존중 측면에서 본 휴식 및 낮잠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335-355. 

  17. 이용우 (2007).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8. 이종희 (2010). 아동 놀이의 국가적 정책화: 영국의 사례. 아동학회지, 31(3), 161-181. 

  19. 이은화, 정진, 박현주, 김현정 (2000). 문화와 놀이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 43-58. 

  20. 장경희 (2008). 한국장난감도서관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 부모교육연구, 5(2), 79-100. 

  21. 현은자, 고선주, 오연주 (2009),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기관: 놀이터, 어린이도서관, 청소년기관. 아동학회지, 30(6), 139-151. 

  22. 한국장난감도서관협회, (2013). 장난감도서관 소개. http://www.ktla-toylib.or.kr/contents/contents.php?gnb_codeXL92568&cate_codeBK29854&cts_codeLB90310에서 2016년 2월 10일 인출. 

  23. David, B, Gill, T. & Spiegel, B. (2008). Managing risk in play provision : Implementation guide. London: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4. Bogdan, R. (1973). Participant observation,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50(4), 302-308. 

  25. Denzin, N. K. (1989). The research ac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6.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 Families (DCSF). (2007). The Children's Plan : Building brighter futures, London: DCSF. 

  27.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 Families (DCSF). (2008). Fair play : A consultation on the play strategy. London: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8. Fisher, E. (1992). The impact of play on development: A meta-analysis. Paly & Culture, 5(2), 159-181. 

  29. Ford, S. A. (1993). The facilitator's role in children's play. Young Children, 48(6), 66-69. 

  30.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31. Hammersley, M, & Atkinson, P. (1983). Ethnography: Principles in practice. London: Tavistock. 

  32. Jackson, S. C., Robet, L., Watjus, M., & Chadwick, E. (1991). Play for all children: toy library solution. Childhood Education, 68(1), 27-31. 

  33. Kapellaka, U. (1992). Toy library: Learning through play with toy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24(2), 53-56. 

  34. Russ, S., Robin, A., & Christiano, B. (1999). Pretend play: Longitudinal prediction of creativity and affect & fantasy in childre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2), 129-139. 

  35. Saldana, J. (2012).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36. Schwandt, T. (2007). Dictionary of qualitative inquiry (3nd ed.). Thousand Oaks: Sage. 

  37. Shackell, A., Butler, N., Doyle, P., & Ball, D. (2008). Design for play: A guide to creating successful play space. London: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38. Singer, D. & Singer, J. (1990). The house of make-believe: Children's play and developing imagin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