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밀껍질의 효소분해에 의한 수용성 식품섬유소의 생산 및 기능적 특성
Produ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of Buckwheat Hulls by Enzymatic Depolymerz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2, 2016년, pp.97 - 103  

임희진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보연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밀 알곡에 비해 유효성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품학적 가치가 떨어져 폐기되고 있는 메밀껍질을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메밀껍질을 효소로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메밀껍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72시간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72시간 효소분해 후 셀룰로스헤미셀룰로스 분획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식품섬유는 각각 60.5 g/kg, 123.7 g/kg이었으며, 총 수용성 식품섬유의 수율은 129.8 g/kg이었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용성 식품섬유의 분자량 추이를 측정한 결과, 분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저분자의 피크가 크게 증가하여 효소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분해가 진행되었다. 효소분해되지 않은 메밀껍질의 수용성 식품섬유에 비해 효소분해에 의해 생산된 식품섬유소의 산화방지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높은 포도당 및 담즙산 흡수 지연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메밀껍질로부터 생산된 수용성 식품섬유소는 산화방지를 비롯한 포도당 및 콜레스테롤의 흡수저하 효과를 가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roduction of water-soluble dietary fiber (SDF) from buckwheat hulls by using Celluclast or Viscozyme. The functionality of this SDF,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y, glucose- and bile acid-retardation effects in vitro, was measured. SDF yields from cellulose and he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산 부산물인 메밀껍질로부터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기능성이 높은 수용성 식품섬유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또한 효소분해에 의해 얻은 수용성 식품섬유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분자량 분포 및 산화방지, 포도당 및 담즙산 흡수 지연 효과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메밀 알곡에 비해 유효성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품학적 가치가 떨어져 폐기되고 있는 메밀껍질을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메밀껍질을 효소로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메밀껍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72시간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72시간 효소분해 후 셀룰로스 및 헤미셀룰로스 분획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식품섬유는 각각 6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섬유의 주된 구성요소는? 식품섬유는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되지 않는 식물성 다당류와 리그닌(lignin)의 합’으로 정의되며 주로 셀룰로스(cellulose),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 펙틴(pectin)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1). 식품섬유는 물리적·화학적 특징에 따라 크게 수용성 식품섬유(soluble dietary fiber) 및 불용성 식품섬유(insoluble dietary fiber)로 구분되며, 이들은 서로 다른 생리효과를 가진다(2).
식품섬유란 무엇인가? 식품섬유는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되지 않는 식물성 다당류와 리그닌(lignin)의 합’으로 정의되며 주로 셀룰로스(cellulose),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 펙틴(pectin)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1). 식품섬유는 물리적·화학적 특징에 따라 크게 수용성 식품섬유(soluble dietary fiber) 및 불용성 식품섬유(insoluble dietary fiber)로 구분되며, 이들은 서로 다른 생리효과를 가진다(2).
물리화학적 특징에 따른 식품섬유의 기능성은 각각 어떻게 되는가? 식품섬유는 물리적·화학적 특징에 따라 크게 수용성 식품섬유(soluble dietary fiber) 및 불용성 식품섬유(insoluble dietary fiber)로 구분되며, 이들은 서로 다른 생리효과를 가진다(2). 수용성 식품섬유는 음식물의 점성 증가, 내당능 개선 효과와 혈청 콜레스테롤 조절에 유효하다. 반면, 불용성 식품섬유는 분변량 증가, 분변의 장내 통과시간 촉진 및 대장암의 예방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다(3). 이와 같이 식품섬유의 기능성이 입증된 후 식품섬유와 이를 이용한 식품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Trowell H. Definition of dietary fiber and hypotheses that it is a protective factor in certain diseases. Am. J. Clin. Nutr. 29: 417-427 (1976) 

  2. Schneeman BO. Soluble vs insoluble fiber: different physiological responses. Food Technol. 47: 81-82 (1987) 

  3. Ebihara K, Nakamoto Y. Comparative effect of water-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er on bowel function in rats fed a liquid elemental diet. Nutr. Res. 18: 883-891 (1998) 

  4. Chai YM, Lim BK, Lee JY, Kim YH, Rhee SJ. Prepara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oak wood (Quercus Mongolica)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rat red high cholesterol diets. Korean J. Nutr. 36: 9-17 (2003) 

  5. Harris S. Health claims for foods in the international marketplace. Food Technol. 46: 92-94 (1992) 

  6. Park YM, Kim JK. Characterization of the degradation of pear fruit cell wall by pectolytic enzymes and their use in fruit tissue liquefaction. J. Kor. Soc. Hort. Sci. 38: 255-262 (1997) 

  7. Chantaro P, Devahastin S, Chiewchan N. Production of antioxidant high dietary fiber powder from carrot peels. LWT-Food Sci. Technol. 41: 1987-1994 (2008) 

  8. Nawirska A, Kwasniewska M. Dietary fibre fractions from fruit and vegetable processing waste. Food Chem. 91: 221-225 (2005) 

  9. Dilas S, Canadanovic-Brunet J, Cetkovic G. By-products of fruits processing as a source of phytochemicals. Chem. Ind. Chem. Eng. Q. 15: 191-202 (2009) 

  10. Park CY, Kim C, Ryu YW. The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luid.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 687-692 (1998) 

  11. Park SJ, Park JW, Lee HS, Kim BY, Baik MY. A study on the changes of insoluble protein and dietary fiber of the rice by-products prepared by mixed enzyme treatment. Food Eng. Prog. 16: 157-163 (2012) 

  12. Krkoskova B, Mrazova Z. Prophylactic components of buckwheat. Food Res. Int. 38: 561-568 (2005) 

  13. Lee SY, Shim HH, Ham SS, Rhee HI, Choi YS, Oh SY.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uckwheat flour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buckwheat noodles. J. Korean Soc. Food Nutr. 20: 354-362 (1991) 

  14. Lee CY, Lee SJ, Oh SS. Recent trends in buckwheat allergen research: A mini review. Food Eng. Prog. 16: 314-324 (2002) 

  15. Statistics Korea. 2012 Crop Production Statistics. Kangmoon, Daejeon, Korea. pp 62-63 (2013) 

  16. Wang L, Yang X, Qin P, Shan F, Ren G. Flavonoid compositi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artary buckwheat bran extract. Ind. Crop. Prod. 49: 312-317 (2013) 

  17. Park BJ, Kwon SM, Park JI, Chang KJ, Park CH.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Korean J. Crop Sci. 50: 175-180 (2005) 

  18.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2: 426-428 (1959) 

  19. Xu F, Sun J, Liu C, Sun R. Comparative study of alkali- and acidic organic solvent-soluble hemicellulosic polysaccharides from sugarcane bagasse. Carbohydr. Res. 341: 253-261 (2006) 

  20. Chau C, Huang Y.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fibers prepared from the peel of Citrus sinensis L. cv. Liucheng. J. Agr. Food Chem. 51: 2615-2618 (2003) 

  21. Yoon KY, Cha MH, Shin SR, Kim KS. Enzymatic production of a soluble-fibre hydrolyzate from carrot pomace and its sugar composition. Food Chem. 92: 151-157 (2005) 

  22. Dubois KA, Gilles JK, Hamilton P, Rebersand FS.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959) 

  23.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958) 

  2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 1231-1237 (1999) 

  25. Dinis TC, Madeira VM, Almeida LM. Action of phenolic derivatives (acetaminophen, salicylate, and 5-aminosalicylate) as inhibitors of membrane lipid peroxidation and as peroxyl radical scavengers. Arch. Biochem. Biophys. 315: 161-169 (1994) 

  26. Adiotomre J, Eastwood MA, Edwards C, Brydon WG. Dietary fiber: In vitro methods that anticipate nutrition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s. Am. J. Clin. Nutr. 52: 128-134 (1990) 

  27. Boyd GS, Eastwood MA, Maclean N. Bile acids in the rat: Studies in experimental occlusion of the bile duct. J. Lipid Res. 7: 83-94 (1996) 

  28. Lee PH, Park SY, Jang TH, Tim SH, Nam SH, In MJ, Kim DC, Chae HJ. Effects of complex carbohydrase treatment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ear peel and co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404-410 (2014) 

  29. Park SY, Yoon KY. Production of enzymatic hydrolysate including water-soluble fiber from hemicellulose fraction of Chinese cabbage w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6-12 (2015) 

  30. Yoon BR, Cho BJ, Lee HK, Kim DJ, Lee SK, Hong HD, Kim KT, Cho CW, Choi HS, Lee BY, Lee OH.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tartary and common buckwheats. Korean J. Food Preserv. 19: 123-130 (2012) 

  31. Liu J, Guan X, Zhu D, Sun J. Optimization of the enzymatic pretreatment in oat bran protein extraction by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s for response surface modeling. LWT-Food Sci. Technol. 41: 1913-1918 (2008) 

  32. Arranz S, Saura Calixto F. Analysis of polyphenols in cereals may be improved performing acidic hydrolysis: A study in wheat flour and wheat bran and cereals of the diet. J. Cereal Sci. 51: 313-318 (2010) 

  33. Lee KS, Lee SR.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on the glucose and bile acid movement across a dialysis membrane in vitro. Korean J. Nutr. 29: 738-746 (1996) 

  34. Matheson HB, Story JA. Dietary psyllium hydrocolloid and pectin increase bile acid pool size and change bile acid composition in rats. J. Nutr. 124: 1161-1165 (1994) 

  35. Kritchevsky D. Dietary fibre and lipid metabolism. Int. J. Obes. 11S: 33-43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