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매생이와 생강나무잎 에탄올 추출물이 첨가된 통밀빵을 섭취한 랫트의 혈당과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Containing Whole Wheat Bread with Capsosiphon fulvescens and Lindera obtusiloba Ethanol Extracts on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2, 2016년, pp.178 - 186  

한아람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세욱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전수현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남미현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홍충의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복희 (CJ 푸드빌 베이커리 R&D) ,  김태철 (CJ 푸드빌 베이커리 R&D) ,  이광원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일반식빵, 통밀빵, 그리고 생강나무 잎 추출물, 매생이 추출물, 매생이 냉동 건조물을 첨가한 통밀빵을 제조하고, 4중 동안 랫트에게 공급한 뒤 혈당과 혈중지방질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모든 통밀빵섭취 그룹에서의 체중증가는 일반식빵섭취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음수, 식이 섭취량은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과 신장의 무게, AST, ALP, ALT는 모든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일반식빵과 통밀빵 식이제공은 간과 신장의 스트레스 증가와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복혈당 수준은 NC 그룹은 1주차에서부터 4주차까지 혈당이 완만하게 상승했던 것에 비해 모든 통밀빵 그룹은 혈당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주차에서는 모든 통밀빵 그룹은 NC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혈당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구당부하검사(OGTT)시 90분대 혈당치에서 모든 통밀빵 그룹은 NC 그룹($152.13{\pm}19.90mg/dL$)의 혈당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p<0.05), AUC에서 WDC 그룹을 제외한 W 그룹, WL 그룹, 그리고 WC 그룹의 area value가 NC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적어졌다. WL 그룹과 WC 그룹의 경우 NC 그룹과 W 그룹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당 곡선아랫면적과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강 추출물과 매생이 추출물이 첨가된 식빵은 일반식빵에 비해 내당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당화헤모글로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NC 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통밀빵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함량이 감소하였고, 특히 WL 그룹과 WC 그룹은 W 그룹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당화 헤모글로빈 수치 관리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 보았을 때 NC 그룹 대비 WL 그룹에서 39.9%, WC 그룹에서 37.2% 인슐린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중 지방 질 지표를 측정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에서는 그룹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중성지방의 경우 NC 그룹과 비교해 모든 통밀빵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중성지방의 수치가 감소하였다. 혈중 HDL-콜레스테롤 수치는 WL 그룹이 NC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ARS assy를 이용한 지방질과 산화 산물인 MDA를 측정한 결과 NC 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통밀빵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농도가 낮아졌고, WC 그룹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지방질과 관련된 유전인자인 $PPAR-{\alpha}$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모든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PPAR-{\gamma}$ mRNA 발현의 경우 WL 그룹, WC 그룹에서 NC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가장 적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일반식빵에 비해 통밀빵을 섭취한 모든 그룹은 몸무게, 공복혈당, 경구당부 하 검사(OGTT), 당화헤모글로빈(HbA1c), 중성지방(TG), 동맥경화지수(AI)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것으로 통밀은 식빵 섭취시의 혈당 증가 완화 효과를 가지며 혈중 지방질수준 개선과 비만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강나무 잎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hole wheat bread with added Lindera obtusiloba (LO) and Capsosiphon fulvescens (CF) ethanol extracts on serum glucose and lipid levels in Sprague Dawley rats.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depending on the diet administered: normal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생강나무 잎 추출물과 매생이 추출물, 매생이 냉동 건조 물을 첨가하여 통밀빵을 제조한 뒤 동물에게 식이로 제공하고 4주간 혈당 및 지방질 관련 지표들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밀빵의 혈당강하 및 지방질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 여기에 생강나무 잎 추출물과 매생이 추출물이 첨가됨에 따라 향상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 소재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85%)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전체 당뇨병의 90%에 해당하는 제2형 당뇨병은 근육, 간, 지방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인슐린 작용이 충분하지 못해 발생하는데 이것은 올바른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거나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혈당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은 천연물로부터 혈당 강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와 이들 생리활성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2,3).
국내 당뇨병 환자 현황은? 대한당뇨병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공동으로 실시한 국민 당뇨병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국내 당뇨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는 약 400만명이며, 2020년에는 455만명(전체 인구의 8.97%), 2030년에는 545만명(전체 인구의 10.85%)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전체 당뇨병의 90%에 해당하는 제2형 당뇨병은 근육, 간, 지방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인슐린 작용이 충분하지 못해 발생하는데 이것은 올바른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거나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혈당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다.
통곡밀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통곡밀이란 밀입자를 분쇄한 후 밀기울과 배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주요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겨층, 배유, 씨눈(배아)이 온전한 곡물이다. 통곡밀은 섬유소, 비타민 B, 비타민 E, 철분, 마그네슘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섬유가 풍부하여 비만, 뇌졸중, 심장병, 당뇨와 대장암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통곡밀은 당지수(Glycemic index, GI)가 낮아 당뇨관리에 좋고 더불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어, 동맥경화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위험을 줄여준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d A. Report of task force team for basic statistical study of Korean diabetes mellitus. In: Diabetes in Korea 2007. Korean Diabetes Association, Seoul, Korea (2008) 

  2. Grover J, Yadav S, Vats V. Medicinal plants of India with antidiabetic potential. J. Ethnopharmacol. 81: 81-100 (2002) 

  3. Cho SY, Han YB, Shin KH.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2002) 

  4. Slavin JL, Martini MC, Jacobs jr DR, Marquart L. Plausible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ness of whole grains. Am. J. Clin. Nutr. 70: 459s-463s (1999) 

  5. Slavin J, Jacobs D, Marquart L. Wholegrain consumption and chronic disease: Protective mechanisms. Nutr. Cancer 27: 14-21 (1997) 

  6. Jacobs D, Meyer KA, Kushi LH, Folsom AR. Whole-grain intake may reduce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death in postmenopausal women: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Am. J. Clin. Nutr. 68: 248-257 (1998) 

  7. Mckeown NM, Meigs JB, Liu S, Wilson PW, Jacques PF. Whole-grain intake is favorably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m. J. Clin. Nutr. 76: 390-398 (2002) 

  8. Kwon DJ, Kim JK, Bae YS. Essential oils from leaves and twigs of Lindera obtusiloba. J. Korean For. Soc. 96: 65-69 (2007) 

  9. Kim SH, Son JH, Lee SH.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on the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Korean J. Pharmacogn. 40: 233-237 (2009) 

  10. Bang CY, Won EK, Park KW, Lee GW, Choung SY. Antioxidant activites and whitening effect from Lindera obtusiloba BL. extract. Yakhak Hoeji 52: 355-360 (2008) 

  11. Park KJ, Park SH, Kim JK. Anti-wrinkle activity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5: 317-323 (2009) 

  12. Hwang EK, Amano H, Park CS.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Capsosiphon fulvescens (Chlorophyta): Developing a new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for cultivation in Korea. J. Appl. Phycol. 20: 147-151 (2008) 

  13. Kang YS, You DW, Park KB, Kang NJ, Kim JS, Kim HY, Cho YH, Lee KN, Byun JH, Ha JH.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on the fishery special commodity in Korea. Suhyepmunhwasa, Seoul, Korea. pp. 418-421 (2000) 

  14. Hong CO, Seomun Y, Koo YC, Nam MH, Lee HA, Kim JH, Wang Z, Yang SY, Lee SH, No SH, Lee KW. Single and 14-day repeated oral toxicity studies of 70% ethanol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blume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24-1330 (2009) 

  15. Nam MH, Koo YC, Hong CO, Yang SY, Kim SW, Jung HL, Lee H, Kim JY, Han AR, Son WR, Pyo MC, Lee KW. In vivo study of the renal protective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against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str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41-647 (2014) 

  16. Lauer RM, Lee J, Clarke WR.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ult cholesterol levels: The Muscatine Study. Pediatrics 82: 309-318 (1988) 

  17. Ohkawa H, Ohishi N, Yagi K.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1979) 

  18. Steer KA, Sochor M, McLean P. Renal hypertrophy in experimental diabetes: Changes in pentose phosphate pathway activity. Diabetes 34: 485-490 (1985) 

  19. Nannipieri M, Gonzales C, Baldi S, Posadas R, Williams K, Haffner SM, Stern MP, Ferrannini E. Liver enzymes, the metabolic syndrome, and incident diabetes: The Mexico city diabetes study. Diabetes care 28: 1757-1762 (2005) 

  20. Trowell H, Southgate DT, Wolever TS, Leeds A, Gassull M, Jenkins DA. Dietary fibre redefined. The Lancet. 307: 967 (1976) 

  21. Vaidya VS, Ramirez V, Ichimura T, Bobadilla NA, Bonventre JV. Urinary kidney injury molecule-1: A sensitive quantitative biomarker for early detection of kidney tubular injury. Am. J. Physiol.-Renal 290: F517-F529 (2006) 

  22. Bessman SP, Carpenter CL. The creatine-creatine phosphate energy shuttle. Annu. Rev. Biochem. 54: 831-862 (1985) 

  23. Allen PJ. Creatine metabolism and psychiatric disorders: Does creatine supplementation have therapeutic value? Neurosci. Biobehav. Rev. 36: 1442-1462 (2012) 

  24. Coresh J, Wei GL, Mcquillan G, Brancati FL, Levey AS, Jones C, Klag MJ. Prevalence of high blood pressure and elevated serum creatinine level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Arch. Intern. Med. 161: 1207-1216 (2001) 

  25. Rao SS, Disraeli P, McGregor T.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m. Fam. Physician. 69: 1961 (2004) 

  26. Kim JH, Oh MG, Han MA, Lee MS, Kim YI, Go IW, Lee JY, Heo GS. Evaluation of HbA1c as a screening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 38: 41-47 (2012) 

  27. Le Floch JP, Escuyer P, Baudin E, Baudon D, Perlemuter L. Blood glucose area under the curve: Methodological aspects. Diabetes care 13: 172-175 (1990) 

  28.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34: 362-366 (1981) 

  29. Matsuyama-Yokono A, Tahara A, Nakano R, Someya Y, Hayakawa M, Shibasaki M. Chronic inhibition of dipeptidyl peptidase- IV with ASP8497 improved the HbA1c level, glucose intolerance, and lipid parameter level in streptozotocin-nicotinamide-induced diabetic mice. Naunyn-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79: 191-199 (2009) 

  30. Inzucchi S, Bergenstal R, Fonseca V, Gregg ED, Mayer-Davis B, Spollett G, Wender R.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m Diabetes Assoc. 33: S62-S69 (2010) 

  31. Watanabe M, Kokubo Y, Higashiyama A, Ono Y, Okayama A, Okamura T. New diagnosis criteria for diabetes with hemoglobin A1c and risks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an urban Japanese cohort: The suita study. Diabetes Res. Clin. Pract. 88: e20-e23 (2010) 

  32. Selvin E, Steffes MW, Zhu H, Matsushita K, Wagenknecht L, Pankow J, Coresh J, Brancati FL. Glycated hemoglobin, diabetes, and cardiovascular risk in nondiabetic adults. N. Engl. J. Med. 362: 800-811 (2010) 

  33. Sonksen P, Sonksen J. Insulin: Understanding its action in health and disease. Br. J. Anaesth. 85: 69-79 (2000) 

  34. Remsberg KE, Talbott EO, Zborowski JV, Evans RW, Mchugh-Pemu K. Evidence for competing effects of body mass, hyperinsulinemia, insulin resistance, and androgens on leptin levels among lean, overweight, and 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Fertil. Steril. 78: 479-486 (2002) 

  35. Nordestgaard BG, Chapman MJ, Ray K, Born J, Andreotti F, Watts GF, Ginsberg H, Amarenco P, Catapano A, Descamps OS, Fisher E, Kovanen PT, Kuivenhoven JA, Lesnik P, Masana L, Reiner Z, Taskinen MR, Tokgozoglu LT, Tybjærg-Hansen A. Lipoprotein (a) as a cardiovascular risk factor: Current status. Eur. Heart J. 1-12 (2010) 

  36. Mohun AF, Cook IJY. Simple methods for measuring serum levels of the glutamic-oxalacetic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s in routine laboratories. J. Clin. Pathol. 10: 394-399 (1957) 

  37. Wronski TJ, Cintron M, Dann LM.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bone loss and increased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43: 179-183 (1988) 

  38. Thurman RG, Bradford BU, Iimuro Y, Knecht KT, Connor HD, Adachi Y, Wall C, Arteel GE, Raleigh JA, Forman DT, Mason RP. Role of Kupffer cells, endotoxin and free radicals in hepatotoxicity due to prolonged alcohol consumption: Studies in female and male rats. J. Nutr. 127: 903S-906S (1997) 

  39. Schoonjans K, Staels B, Auwerx J. Role of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in mediating the effects of fibrates and fatty acids on gene expression. J. Lipid Res. 37: 907-925 (1996) 

  40. Murakami K, Tobe K, Ide T, Mochizuki T, Ohashi M, Akanuma Y, Yazaki Y, Kadowaki T. A novel insulin sensitizer acts as a coligand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PPAR-alpha) and PPAR-gamma: Effect of PPAR-alpha activation on abnormal lipid metabolism in liver of Zucker fatty rats. Diabetes 47: 1841-1847 (1998) 

  41. Lefebvre P, Chinetti G, Fruchart JC, Staels B. Sorting out the roles of $PPAR{\alpha}$ in energy metabolism and vascular homeostasis. J. Clin. Invest. 116: 571-580 (2006) 

  42. Fajas L, Schoonjans K, Gelman L, Kim JB, Najib J, Martin G, Fruchart J-C, Briggs M, Spiegelman BM, Auwerx J. 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expression by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determin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 Implications for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metabolism. Mol. Cell. Biol. 19: 5495-550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