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suggest user-centered healthcare environmental color, which aims to analyze tendency of color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depending on the user characteristics (generation, gender, residential area, an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an anal...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suggest user-centered healthcare environmental color, which aims to analyze tendency of color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depending on the user characteristics (generation, gender, residential area, an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an analysis too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color of healthcare facility and influential factors of color preference. Besides, an online survey regarding general usage and satisfaction, health related color consciousness, and color preference tendency of healthcare facility was conducted targeting from 20s to 60s, total 1,500 per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usage and satisfaction of healthcare facilities were higher for older generation and accessible urban area. (2) The respondents were aware that color and health are related, recognizing 'green' as healthy and stress relieving color. Besides, 'natural' and 'clear' was the highest in health related color image. 'Light' which relates to vitality was high as well for older generation. (3) In the color preference tendency survey, hue PB was generally the most highly preferred, in details, younger generation preferred B and R while older generation preferred G. The survey also showed high value and chroma were preferred, while female and younger generation preferred high value of 9.0 and low chroma close to achromatic color, which presented older generation preferred vivid color.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suggest user-centered healthcare environmental color, which aims to analyze tendency of color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depending on the user characteristics (generation, gender, residential area, an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an analysis too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color of healthcare facility and influential factors of color preference. Besides, an online survey regarding general usage and satisfaction, health related color consciousness, and color preference tendency of healthcare facility was conducted targeting from 20s to 60s, total 1,500 per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usage and satisfaction of healthcare facilities were higher for older generation and accessible urban area. (2) The respondents were aware that color and health are related, recognizing 'green' as healthy and stress relieving color. Besides, 'natural' and 'clear' was the highest in health related color image. 'Light' which relates to vitality was high as well for older generation. (3) In the color preference tendency survey, hue PB was generally the most highly preferred, in details, younger generation preferred B and R while older generation preferred G. The survey also showed high value and chroma were preferred, while female and younger generation preferred high value of 9.0 and low chroma close to achromatic color, which presented older generation preferred vivid col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보건의료시설 색채환경에 대한 현장조사에 관한 선행 연구 대부분이 단조로운 색상의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지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안으로 강조색, 보조색 등을 통한 보다 다양한 색채의 도입을 지적하고 있다(박혜경, 2016). 본 연구는 사용자특성에 따른 색채선호 경향을 파악함으로서 보건의료시설 환경색채를 위한 보다 구체적 색채선호 경향을 파악하고 그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 연구로 이를 위해 색상의 경우 실제 사용되고 있는 색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닌 먼셀 기본 10 색상에 대한 선호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명도 및 채도의 경우 환경색채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범위가 한정적인데 주목 하여 관련 선행연구(강승영 외, 2012; 박혜경 외 2015)의 측색결과를 바탕으로 명도의 경우 중명도-고명도(6.
따라서 치료, 예방, 관리와 같이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보건시설의 색채계획에 대한 사용자 의식 및 선호 경향을 조사함으로써 보다 합리적 근거에 기초한 색채계획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급증하는 건강 및 헬스케어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고령화 사회로의 급전환적 상황에서 기존의 색채계획에서 탈피한 사용자중심의 보건의료시설 환경색채를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사용자특성인 세대 및 성별, 지역, 환경 등 다양한 영향변인에 따른 색채 의식 및 선호 경향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한 보건의료시설 색채환경 구축을 위해 사용자특성을 바탕으로 한 색채의식 및 선호 경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색채 의식 및 선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보건의료시설의 환경색채와 색채선호 영향변인을 고찰하여 조사연구의 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건강을 지원하는 의료보건시설의 색채에 대한 의식과 색채선호 경향을 조사하였다.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보건의료시설의 환경색채와 색채선호 영향변인을 고찰하여 조사연구의 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건강을 지원하는 의료보건시설의 색채에 대한 의식과 색채선호 경향을 조사하였다.
대부분 연령과 성별 등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기본으로 연구주제에 따라 개인 특성을 반영한 요인을 다루고 있으며, 지역 및 환경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특성으로 주요한 영향 요인인 성별, 연령과 함께 실제 환경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주변환경과 거주지역을 고려하여 색채선호 경향을 파악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적합성조사, 명목조사, 그리고 의식조사, 선호조사 문항으로 구성하였다.<표 1>
첫째, 적합성조사는 온라인 색채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색맹․색약테스트,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테스트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명목조사는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한 문항과 보건의료시설에 대한 전반적 이용 및 만족도, 만족 및 불만족이유에 대한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적합성조사는 온라인 색채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색맹․색약테스트,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테스트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명목조사는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한 문항과 보건의료시설에 대한 전반적 이용 및 만족도, 만족 및 불만족이유에 대한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셋째, 건강을 지원하는 색채에 대한 의식조사를 위해 색채연관성 및 연관요인, 관련색과 색채이미지 문항을 포함하였다.
둘째, 명목조사는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한 문항과 보건의료시설에 대한 전반적 이용 및 만족도, 만족 및 불만족이유에 대한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셋째, 건강을 지원하는 색채에 대한 의식조사를 위해 색채연관성 및 연관요인, 관련색과 색채이미지 문항을 포함하였다. 넷째, 선호조사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에 따른 선호색채를 색표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셋째, 건강을 지원하는 색채에 대한 의식조사를 위해 색채연관성 및 연관요인, 관련색과 색채이미지 문항을 포함하였다. 넷째, 선호조사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에 따른 선호색채를 색표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특성에 따른 색채선호 경향을 파악함으로서 보건의료시설 환경색채를 위한 보다 구체적 색채선호 경향을 파악하고 그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 연구로 이를 위해 색상의 경우 실제 사용되고 있는 색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닌 먼셀 기본 10 색상에 대한 선호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명도 및 채도의 경우 환경색채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범위가 한정적인데 주목 하여 관련 선행연구(강승영 외, 2012; 박혜경 외 2015)의 측색결과를 바탕으로 명도의 경우 중명도-고명도(6.0-9.0), 채도의 경우 전반적 범위내에서(색상에 따라 1.0-7.0, 8.0) 육안으로 선별가능한 차이가 나도록 등간격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색채이미지 조사에 사용된 어휘는 IRI 색채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한 선행연구 (강승영 외, 2012; 박혜경 외, 2015)를 중심으로 30개 이미지 어휘를 추출하고 이를 전문가 그룹의 평가에 의하여 최종 10개 단어로 선정하였다.
보건의료시설의 기본 목적인 건강증진과 관련된 색채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과의 색채 연관성 및 연관요인, 건강 및 스트레스완화 관련색과 색채이미지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난색인 R, Y, 한색으로는 환경색채에 많이 사용되며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G, PB의 명도변화에 따른 선호 특성을 살펴보았다.<표 12>
난색과 한색 각각의 고명도, 중명도에서의 채도변화에 따른 선호 특성을 살펴보았다.<표 13>
또한 농·어·산촌의 경우 저채도 색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의료환경에 대한 인공적이고 현대적 이미지에 대한 요구와 연결성을 보이는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상, 건강 관련 색채의식과 색채선호 경향을 영향변인을 통해 구체화한 결과 성별, 세대별 주요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의료서비스시설의 보급 및 접근성이 미흡한 서울경기 이외 지역, 농․어․산촌 환경에서의 차별적 경향을 파악하였다. 색채에 대한 인식 및 의식, 태도는 주관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대상 데이터
조사는 2015년 12월 20일에서 2016년 1월 20일 한달간 전문 리서치기관을 통한 온라인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20대~60대 1,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해도 및 온라인 접근성을 고려하여 아동, 청소년 및 70대 이상은 제외하였다.
조사는 2015년 12월 20일에서 2016년 1월 20일 한달간 전문 리서치기관을 통한 온라인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20대~60대 1,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해도 및 온라인 접근성을 고려하여 아동, 청소년 및 70대 이상은 제외하였다. 온라인 색채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 중 색맹 및 색약테스트,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테스트를 포함하였으며, 이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9사례를 제외하고 최종 1,491사례를 최종 분석하였다.
20대~60대 1,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해도 및 온라인 접근성을 고려하여 아동, 청소년 및 70대 이상은 제외하였다. 온라인 색채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 중 색맹 및 색약테스트,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테스트를 포함하였으며, 이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9사례를 제외하고 최종 1,491사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PASW) Statistics 18.
그리고 색채이미지 조사에 사용된 어휘는 IRI 색채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한 선행연구 (강승영 외, 2012; 박혜경 외, 2015)를 중심으로 30개 이미지 어휘를 추출하고 이를 전문가 그룹의 평가에 의하여 최종 10개 단어로 선정하였다.
데이터처리
온라인 색채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 중 색맹 및 색약테스트,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테스트를 포함하였으며, 이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9사례를 제외하고 최종 1,491사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ANOVA, t-test를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조사대상의 일반사항인 성별과 연령을 살펴본 결과 , 성별은 남성 53.9%, 여성 46.1%, 연령별로는 20대 20.1%, 30대 19.9%, 40대 19.9%, 50대 20.0%, 60대 20.1%로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01)를 보였다. 그리고 환경적 특성으로 거주지역과 주변환경을 살펴본 결과, 거주지역은 서울경기 지역이 60.5%, 그 외 39.5%, 주변환경은 광역도시 65.2%, 중소도시 31.2%, 농촌․어촌․산촌 3.6%로 나타났다.
만족요인을 살펴본 결과, 의료수준(43.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19.9%), 의료비(11.7%), 환경(11.3%), 편의시설(10.9%), 기타(2.4%) 순으로 나타나 보건의료시설의 기본 목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외 환경, 편의시설 등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파악하였다.
거주지역 별로는 서울경기지역은 ‘의료수준’, 그 외 지역은 ‘서비스’, ‘환경’, ‘편의시설’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p<.01)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의료수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20대의 경우 ‘환경’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나 차이(p<.05)를 보였다.
연관요인을 살펴본 결과, 전체 심리적 안정 51.8%, 기분전환 22.6%, 스트레스 완화 16.8%, 치료효과 8.0%, 기타 0.7% 순으로 나타나 심리적 효과인 안정과 높게 연관되며, 기분전환, 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시설 선호 색채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차분한 22.3%, 현대적인 20.6%, 자연적인 18.6%, 맑은 16.6% 순으로 높게 나타나 의료기술 및 서비스의 현대적 이미지와 함께 건강과 관련된 ‘자연적인’, ‘맑은’ 등의 이미지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건강 관련 색채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자연적인’ 44.8%, ‘맑은’ 25.3% 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화 관련 색에서는 초록이 38.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파랑 18.1%, 연두 15.4% 순으로 나타나 식물, 하늘 등의 자연색을 스트레스 완화와 관련된 색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먼셀 기본 10색상을 바탕으로 건강 및 스트레스 완화 관련 색을 조사한 결과, 건강 관련 색으로 초록이 49.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빨강 13.1%, 파랑 12.3% 순으로 나타났다.
먼셀의 기본 10색상의 색표본을 제시하고 선호색상 두 개를 선택하도록 한 결과, 전반적으로 PB(15.66%), GY(13.68%), Y(13.48%), G(13.28%)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28%)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남성은 PB(18.5%), G(15.4%), GY(13.4), 여성은 Y(14.6%), GY(14.0%), PB(12.4%)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는 B(15.8%), PB(15.2%), 30대는 PB(15.0), GY(13.3%), 40대는 Y(17.2%), PB(16.4%), 50대는 GY(16.3%), Y(16.1%), PB(15.9%), 60대는 G(20.7%), PB(15.8%)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나 연령이 낮을수록 B계열, 연령이 높을수록 G 계열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볼 수 있다. 또한 R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선호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명도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의 저채도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으며(p<.05), 농·어·산촌의 경우 고명도(p<.05), 중명도(p<.01) 모두 무채색에 가까운 저채도 색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001). 남성에 비해 여성의 저채도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채도 7.0, 낮을수록 채도 5.0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선명한 색을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5PB의 경우 고명도에서 5PB 8/7(46.
연령이 낮을수록 B와 R, 연령이 높을수록 G계열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농·어·산촌의 경우 B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첫째, 보건의료시설에 대한 이용도 및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접근성이 좋은 도시권 일수록 이용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요인으로 의료서비스 제공 외 환경, 편의시설 등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파악하였고, 연령이 낮은 경우, 서울경기 외 지역의 사용자들이보다 높게 인식함을 파악하였다.
첫째, 보건의료시설에 대한 이용도 및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접근성이 좋은 도시권 일수록 이용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요인으로 의료서비스 제공 외 환경, 편의시설 등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파악하였고, 연령이 낮은 경우, 서울경기 외 지역의 사용자들이보다 높게 인식함을 파악하였다. 반면 의료시설이 부족한 농·어·산촌의 경우 의료서비스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 관련 색채의식을 살펴본 결과, 색채와 건강이 연관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요인으로는 물리적, 생리적 효과보다 심리적 안정, 기분전환 등의 심리적 효과와 높게 연관되며 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 관련 색채의식을 살펴본 결과, 색채와 건강이 연관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요인으로는 물리적, 생리적 효과보다 심리적 안정, 기분전환 등의 심리적 효과와 높게 연관되며 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및 스트레스완화와 관련된 색으로는 ‘초록’이 높게 나타났으나 농․어․ 산촌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색채선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색상에서는 PB를 가장 선호하며 Y와 G계열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B와 R, 연령이 높을수록 G계열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농·어·산촌의 경우 B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B와 R, 연령이 높을수록 G계열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농·어·산촌의 경우 B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명도의 경우 전체적으로 고명도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지며 특히, 여성 그리고 낮은 연령인 20대 30대에서 9.0의 고명도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채도에서도 전체적으로 채도 7.
0의 고명도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채도에서도 전체적으로 채도 7.0이상의 선명한 색채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강렬한 색상인 5R의 경우 채도 5.0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로 성별과 연령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 그리고 연령대가 낮은 경우 무채색에 가까운 저채도 색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선명한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0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로 성별과 연령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 그리고 연령대가 낮은 경우 무채색에 가까운 저채도 색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선명한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농·어·산촌의 경우 저채도 색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의료환경에 대한 인공적이고 현대적 이미지에 대한 요구와 연결성을 보이는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상, 건강 관련 색채의식과 색채선호 경향을 영향변인을 통해 구체화한 결과 성별, 세대별 주요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의료서비스시설의 보급 및 접근성이 미흡한 서울경기 이외 지역, 농․어․산촌 환경에서의 차별적 경향을 파악하였다.
후속연구
색채에 대한 인식 및 의식, 태도는 주관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중심의 색채 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색채 환경과 관련된 사용자특성을 고려한데 의의가 있으나 보다 다양한 영향요인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며, 향후 사용자 집단을 구체화하는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해 나갈 것이며 구체적 지침 개발을 위한 색채영향 및 반응에 대한 후속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은 어떠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보건이란 건강을 유지하는 것으로 질병의 발견과 치료, 재활에 더해 질병의 예방, 건강증진 등을 포괄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태신(2000)은 “건강의 유지, 증진을 도모하고 건강생활 확립을 위한 개인의 자율적인 노력을 이끌어 주면서 타율적으로도 지원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보건의료시설은 의료업이 이루어지는 종합 병원과 병원급 의료기관인 요양병원, 한방병원, 치과병 원, 병원, 의원급 의료기관인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그리고 조산원(의료법 제3조)등의 건강의 보전, 증진을 지원하는 의료시설로 최근 양적성장에 발맞춘 환경의 질 및 서비스 개선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시설의 일반적 색채계획 기준 중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색은 어떤 점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는가?
진료실은 차분한 분위기를 위해 한색이 적합하며 진료과목에 따라 난색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수술실은 의료진의 작업생리적인 관점을 고려하여 주요 부분에 상처부위와 같은 휘도의 청록색을 사용하고 있으며, 붉은 상처부분에의 색 잔상은 주위의 녹색에 의해 중화되도록 계획해야 한다(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0; Pile, John F., 2002).
보건의료시설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보건이란 건강을 유지하는 것으로 질병의 발견과 치료, 재활에 더해 질병의 예방, 건강증진 등을 포괄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태신(2000)은 “건강의 유지, 증진을 도모하고 건강생활 확립을 위한 개인의 자율적인 노력을 이끌어 주면서 타율적으로도 지원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보건의료시설은 의료업이 이루어지는 종합 병원과 병원급 의료기관인 요양병원, 한방병원, 치과병 원, 병원, 의원급 의료기관인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그리고 조산원(의료법 제3조)등의 건강의 보전, 증진을 지원하는 의료시설로 최근 양적성장에 발맞춘 환경의 질 및 서비스 개선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22)
김학성, 디자인을 위한 색채, 조형사, 서울, 2001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도서출판 예림, 서울, 2007
이태신, 체육학대사전, 민중서관, 200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건축을 위한 색채디자인, 기문당, 서울, 2000
Linda Holtzschue, 색채의 이해(4판), 박영경, 최원정 역, 시그마프레스, 2015
Pile, John F., 인테리어디자인과 색채, 유근향 역, 미진사, 경기도, 2002
김잔디, 보건소의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노인들의 만족도, 원광대 석사논문, 2008
조희련, 색채선호도와 이미지에 관한 조사 연구, 효성여대 석사논문, 1993
홍예경, 보건진료소 이용 노인의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와 요구도, 경북대 석사논문, 2007
강승영, 박혜경, Color image of public healthcare branch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atial Design & Research 12(1), 2012
박연선, 송선아, 20대의 선호색 및 색채 이미지 조사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8(3), 2014.8
박유선, 노인세대의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색채이미지와 선호도, 조형미디어학 15(1), 20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