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신체인지와 비만수용태도 및 의복행동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문화 연구
A Cross-Cultural Study of Plus-Size Consumer's Perception of Body, Attitude of Accepting Obesity and Clothing Behaviors in Korea and the U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3, 2016년, pp.75 - 92  

최미영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how sociocultural perspective of obesity, differences in consumers' perception of body and attitudes of accepting obesity affected individuals' clothing behaviors through cross-cultural studies. The data collected were composed of 612 Korean and US consumer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플러스 사이즈 제품 구매경험이 있는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신체인지 및 비만 태도에 대한 차이와 비만관련 의복행동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이다. 응답자들은 최근 1년 이내 한국 기준 77이상, 미국 기준 사이즈 14 이상의 플러스 사이즈 아이템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로 규정하고 설문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세분화된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마켓 현황에 대한 파악뿐 아니라 타겟 연령의 비만체형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문화적 인식을 고려한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심리특성과 행동특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을 밝혔다. 실무적으로는 아직까지 미분화된 한국의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미국 플러스 사이즈 마켓으로의 진출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편, 연구방법과 관련해서 비교문화연구에 있어 등가성은 연구의 절대적 전제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개념적 등가성을 가지는 사회문화현상으로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를 규정하고 동일한 측정도구를 통해 도구의 등가성을 갖춘 후 플러스 사이즈 제품 구매경험에 의해 응답자를 스크리닝함으로써 표본의 등가성을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추출에 제한을 받았기 때문에 표본의 등가성에 문제가 제기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플러스 사이즈 제품 구매경험이 있는 한국과 미국의 20~30대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신체인식과 비만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 및 의복을 통한 외모관리 행동 의지의 차이를 통해 비만으로 인한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비만관련 의복구매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사이즈 선택과 맞음새에 대한 평가, 구매 장소와 브랜드 선택 및 전반적인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국가 간 플러스 사이즈 제품에 대한 의복쇼핑행동의 차이를 비교하는 탐색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잠재력을 가진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플러스 사이즈 제품 구매경험이 있는 한국과 미국의 20~30대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신체인식과 비만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 및 의복을 통한 외모관리 행동 의지의 차이를 통해 비만으로 인한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비만관련 의복구매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사이즈 선택과 맞음새에 대한 평가, 구매 장소와 브랜드 선택 및 전반적인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국가 간 플러스 사이즈 제품에 대한 의복쇼핑행동의 차이를 비교하는 탐색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잠재력을 가진 플러스 사이즈 마켓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을 무시한 체형 관리가 불러오는 문제점은? 외적인 아름다움은 가꾸어지지만 건강을 무시한 체형 관리는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Kim & Sawano, 2010). 과거 비만 여성의 외모와 관련된 시각은 외모지상주의와 같은 왜곡된 사회적 고정관념의 영향을 받아 비만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한정시키고 자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켰다.
과거 비만 여성의 외모와 관련된 시각이 사회에 미친 영향은? 외적인 아름다움은 가꾸어지지만 건강을 무시한 체형 관리는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Kim & Sawano, 2010). 과거 비만 여성의 외모와 관련된 시각은 외모지상주의와 같은 왜곡된 사회적 고정관념의 영향을 받아 비만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한정시키고 자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켰다. 하지만 근래 들어 구매욕구와 구매력을 동시에 갖춘 젊은 비만 여성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비만 여성들도 외모와 관련된 사회적 욕구를 바탕으로 자아에 대한 긍정적 신체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한다는 사실이 주목되고 있다(Bickle, Burnsed, & Edwards, 2015).
외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비만 여성의 시선이 어떻게 바뀌었는가? 과거 비만 여성의 외모와 관련된 시각은 외모지상주의와 같은 왜곡된 사회적 고정관념의 영향을 받아 비만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한정시키고 자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켰다. 하지만 근래 들어 구매욕구와 구매력을 동시에 갖춘 젊은 비만 여성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비만 여성들도 외모와 관련된 사회적 욕구를 바탕으로 자아에 대한 긍정적 신체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한다는 사실이 주목되고 있다(Bickle, Burnsed, & Edwards,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ickle, M. C., Burnsed, K. A., & Edwards, K. L. (2015). Are U.S. plus-size women satisfied with retail clothing store environments?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28, 45-60. 

  2. Cash, T. F. & Pruzinsky, T. (2002). Body image: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ew York: Guilford. 

  3. Choi, B. Y. & Choi, M. O. (2008). The surver for body shape recognition fatness knowledge and fatness stress of college wom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4), 1052-1064. 

  4. Choi, Y. L., Cui, M. H., & Nam, Y. J.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proportion of women's body according to the obe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4), 487-493. 

  5. Choi, Y. S. & Kwon, S. G. (2001). Study on the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obese women in relation to interest in weight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7), 135-145. 

  6. Eloquii's Shape My Style feature helps you to shop for the perfect fit. (2011, November 1) Retrieved from http://www.examiner.com/article 

  7. Ha, H. J. & Kim, A. R.(2003).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us-sized women, by ag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1), 153-164. 

  8. Ha, H. J. (2008). An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sizing system and fitting on formal pants of the on-line shopping mall for plus-siz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1), 133-150. 

  9. Hong, K. H. (2006).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BMI on body image and body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Clothing Industry, 8(1), 48-54. 

  10. Jeon, Y. S. & Ahn, H. S. (2006). Influence of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weight management on obesity stress i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s & Cosmeceutics, 1(2), 13-26. 

  11. Kim, J. Y., Son, S, J., Lee, J. E., Kim, J. H., & Jung, I. K. (2009). The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on obesity stress, weight control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4), 49-59. 

  12. Kim, M. O. & Sawano, K.(2010).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obesity recognition and life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5), 2010, 699-708. 

  13. Kim, S. W. (2013). A cross-cultural study of women's perception of physical beauty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4. Kind, K. O. & Hathcote, J. M. (2000). Speciality-size college females: Satisfaction with retail outlets and apparel fit,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4(4), 315-324. 

  15. Kwon, Y. S. (2008). A study on obesity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431-442. 

  16. Lee, H. O. & Ku, Y. S.(2006). A study on the motives of women's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Focusing on Plastic Surgery and Obesity Trea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Clothing Industry, 8(1), 113-122. 

  17. Lee, S. Y. (2012). Obesity stress and self-esteem by BMI and body type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8. Let's Talk About Lane Bryant's Complicated #PlusIsEqual Campaign (2015, September, 28). Retrieved from http://www.refinery29.com/lane-bryant-plus-equal-campaign-event 

  19. Park, W. M. (1999). Preferred Style of Clothing with Body Cathexis by Korean and American Femal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48, 25-36. 

  20. Ryu, J. Y., Syn, H. Y., & Lee, I. S. (2014). A study on the comparing about young plus size fashion design application on plus size body types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focusing on USA Market.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3), 163-178. 

  21. Simmons, K., Istook, C. L., & Devarajan, P. (2004). Female figure identification technique(FFIT) for apparel-part II: development of shape sorting software. Journal of Textile and Apparel, Technology and Management, 4(1). 

  22. Sizing Up The Plus Sized Market: Segment Up 5 Perce nt, Reaching $17.5 Billion (2014, June, 30) Retriev ed from https://www.npd.com/wps/portal/npd/us/news/press-releases/ 

  23. Song, K. J. & Lee, M. S. (2009)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perceptual, attitudinal body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2), 97-110. 

  24. Sutin, A. R., Ferrucci, L., Zonderman, A. B., & Terracciano, A. (2011). Personality and obesity across the adult life 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1(3), 579-592. 

  25. Thompson, J. K. (1990).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New York: Pergamon Press. 

  26. Wang, M. (2007). The United States plus-size female consumer: Self-perception, clothing involvement,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27. WHO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Lancet, 363(9403). 157-163. 

  28. Wicklund, R. A. & Gollwitzer, P. M. (1981). Symbolic self-completion, attempted influence, and self-deprecation.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 89-114. 

  29. Wood-Barcalow, N. L., Tylka, T. L., & Augustus-Horvath, C. L. (2010). But I like my body: Positive body image characteristics and a holistic model for young-adult women. Body Image, 7, 106-116. 

  30. Yi, K. H. (2009). A study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Korean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2), 1979-1990. 

  31. Yoon, J. W., Yoon, H. J., & An, J. S. (2013). An Analysis of Upper-Body Shapes in Obese Women for Apparel Pattern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130-137. 

  32. Yu, H. K., Ko, S. Y., & Kim, C. J. (2013a). Plus-size women and appearance management with a focus on clothing: Grounded theory based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37(3), 306-319. 

  33. Yu, H. K., Lee, S. M., & Ko, S. Y. (2013b). Segmenting the plus-size women's apparel consumers using store patron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35-45. 

  34. Zaborskis, A., Petronyte, G., Sumskas, L., Kuzman, M., & Iannotti, R. J. (2008).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among adolescents in Lithuania, Croati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context of global obesity. Croatian Medical Journal, 49(2), 233-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