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조색(靑皁色)을 활용한 조선후기 조대(絛帶)의 재현 - 청주출토 김원택(金元澤, 1683-1766)일가 조대 중심 -
A Study on Replica Jodae(絛帶:Braided belt) through Cheungchosack(靑皁色:Bluish black) - Focused on the Excavated Jodae from Kim Won-taek's Family in Cheongju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3, 2016년, pp.135 - 146  

박봉순 (인천대학교 의류학과) ,  장인우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examines the replica of the excavated braided belt that tied the Daedae(大帶) of Simui(深衣).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structure and color of the excavated braided belt, and to reproduce the Jodae(braided belt) of Kim Won-taek(1683-1766) clan, which was excavated in Cheongju. Bl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조대(絛帶)에 관한 실물 연구인 조대의 구조와 재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더욱 색상에 관한 연구는 시도 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조대의 구조를 파악한 후 조대의 색상 중 검은색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3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출토된 김원택(金元澤:1683-1766)일가 유물 가운데 조대(絛帶) 재현에 관한 것이다. 출토된 김원택의 조대(絛帶)는 심의(深衣)의 대대(大帶)에 함께 묶였던 조(絛)이다.
  • 임원경제지의 청조색(靑皁色)은 염료의 종류는 언급하고 있으나 염색에 사용한 염료의 비율과 염색 방법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본 연구는 청조색 염색에 사용한 3가지 염료인 오배자, 진피, 백약전의 비율을 달리하여 염색한 후 김원택 일가 출토조대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출토조대의 색상과 구조를 파악하고 재현함으로써 조선후기 조대의 구성과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 진피를 10으로 하고 백약전, 오배자를 1로 하였으며 백약전과 오배자도 10과 1로 같은 차이를 두고 염색하였다. 이는 염색 결과를 통하여 동량의 혼합염료에 의한 염색과 다른 비율의 염료가 녹반 매염을 통하여 반응한 색상을 확인하여 유물에 보이는 검은색을 찾고자 하였다.
  • 이러한 청조색의 염재에는 푸른색을 발색하는 염료가 없는 점과 출토 조대의 검은색에서도 출토 심의의 연장식과 복건에 보이는 짙은 푸른색이 관찰되지 않는 유사성을 보인다. 이에 본 출토 조대의 검은색을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청조색으로 재현하고자 하였다.
  • 검은색의 염색 방법 중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청조색(靑皁色)은 재료 측면에서 살펴보면 오배자(五倍子), 녹반(綠礬), 진피(秦皮), 백약전(百藥煎) 등으로 푸른색의 염료인 쪽이 포함되지 않은 검은색의 염색법이다. 이에 어두운 갈색 기미를 보이는 조대의 검은색을 청조색의 염색법을 활용하여 재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청조색 방식의 검은색의 염색 방법은 어떤 방법인가? 검은색의 염색 방법 중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청조색(靑皁色)은 재료 측면에서 살펴보면 오배자(五倍子), 녹반(綠礬), 진피(秦皮), 백약전(百藥煎) 등으로 푸른색의 염료인 쪽이 포함되지 않은 검은색의 염색법이다. 이에 어두운 갈색 기미를 보이는 조대의 검은색을 청조색의 염색법을 활용하여 재현하고자 하였다.
조란 무엇인가? 출토된 김원택의 조대(絛帶)는 심의(深衣)의 대대(大帶)에 함께 묶였던 조(絛)이다. 조(絛)는 사례편람의 관례(冠禮)조에 복건(幅巾), 대대(大帶), 리(履)와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심의 복장을 한 사대부들의 초상화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심의의 일습 가운데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Saryepyenlam’, 1746; Sim, 2014). 검은색과 흰색으로 구성된 심의 일습에 보이는 검은색은 사례편람에서 흑증(黑繒), 흑주(黑紬), 흑견(黑絹) 등으로 모두 흑(黑)으로 기록 되었다.
김원택과 김상직의 조대를 짜기 위한 실 염색에서 염색을 위해 색깔별로 사용한 재료는 무엇인가? 청조색의 염료 진피(秦皮), 백약전(百藥煎), 오배자(五倍子)는 임원경제지의 기록에 따라 분말(末) 상태로 혼합하여 끓여서 찌꺼기를 걸러 낸 염액에 염색하였다. 황색(黃色)은 회화나무의 개화 전 꽃봉오리인 괴화를 사용하며 그 외 치자나무의 열매인 치자(梔子)와 황벽나무의 수피인 황벽(黃蘗)을 염료로 사용하였다. 적색(赤色)은 천근(茜根)과 잇꽃으로 꼭두서니의 뿌리와 홍화(紅花)의 꽃을 이용하였다. 청색(靑色)은 쪽(藍)의 잎을 따서 물을 넣어 삭힌 후 석회를 넣어 침전하여 만든 건조된 앙금을 사용하였다. 홍화와 쪽은 본인이 직접 재배하여 만든 염료이며 나머지는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ijing Ancient Library of Rare Collections [北京圖書館古籍珍本叢刊] 12. (2000). Geogapilyongsarujunzip [居家必用事類全集]. Seoul, Republic of Korea, Tadongseowon. (Imprint Source : Beijing : 書目文獻出版社, 1987) 

  2. Chang, l. W. (1998). A Study on the color of Daile Clothes of middle Era of the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1. 

  3. Cho, H. S. (2001). A Study of Fabrics Excavated from Inpyeongdaegunpa Uiwongun's family, Investigative report Costumes Excavated from Jeonju Lee′s Tomb. Republic of Korea, Kyonggi Provincial Museum. 

  4. Choi, E. S. (2010). A Study of Costumes Excavated from Yi, Jin-sung's Tomb, Costumes Excavated from Yi, Jin-sung's Tomb. Seoul,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5. Jodae. (n.d.).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Date Inpo], Retrieved from http://www.nfm.go.kr/Data/colSd_new.jsp 

  6. Kim, M. j. (2012). Study on black colored dyeing using persimmon juice as a main dyeing material.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pusan.ac.kr/ 

  7. Kim S. J. (2008). A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Jodae (?帶, Braided Belt) during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skku.edu/index.ax 

  8. Koh, B. J. (2001). A Study of Costumes Excavated from Ik-jung(1699-1782) of jeonju Lee from Sangamdong. Korean Costume, 19. 

  9. Lee, B. C. (2010). Imwonkyungjaeji-Jeonggongji-Dongyeom.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11. 

  10. Lee, E. J. (1994). A Study on the Blue and Black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1). 

  11. Lee, E. J. (2001). A Study of Costumes Excavated from Yiyoun-geung(1818-1879)'s Tomb, Investigative report Costumes Excavated from Jeonju Lee's Tomb. Republic of Korea, Kyonggi Provincial Museum. 

  12. Lee, J. (1746). Saryepyenlam [四禮便覽], Vol 1. 

  13. Lee, S. H., Yoo, S. L., Choi, M. G., Sin, S., & Choi, T. H. (2009). Natural Dyeing Characteristics of Black Color to Korea Traditional Hand-made Paper(Hanji). Mokchac Konghac, 37(4). 

  14. Lee, Y. S. (1991). A Study on the Dyeing of color-black from plant. Journal of Human Environment and Art, 14. 

  15. Lim, K. H. (2008). Restoration of Wide Braid Belt, GWANGDAHOE by Twill Construction in Joseon Perio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6. Park, Y. M. & Choi, Y. W. (2013). Review of trends in preceding studies of traditional dahoe and looms of weavers. Journal of Asian Ethno-Forms, 12. 

  17. Seo, Y. G. (1983). Yimwongyeongjeji [林園經濟志]. Seoul, Republic of Korea, Bogyeong Munhwasa. (Original work published 1842). 

  18. Sim, K. B. (2014). A Study of "Shimui Chosang" in Late Joseon Perio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rary.korea.ac.kr 

  19. Sim, Y. O. (2002). 5,000 years of Korean textiles. Seoul, Republic of Korea, Institute for studies of Ancient Textiles. 

  20. Sim, Y. O. (2010). A Study of Fabrics Excavated from Yi, Jin-sung's Tomb, Costumes Excavated from Yi, Jin-sung's Tomb. Seoul,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1. Son, H. J. (2009). An analysis on structure of waist strips of the early or mid chosun period from the tombs of the yeosan song family.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lib.pusan.ac.kr/ 

  22. Woo, J. Y. (2006). The Lifting of Kim Won-taek Graveyard Excavated Costumes, Kim Won-taek Graveyard Excavated Costumes. Republic of Kore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