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왕실 예복에 사용된 다회(多繪) 및 망수(網綬) 연구
A Study on Dahoe(多繪) and Mangsu(網綬) Used in Royal Formal Dresses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5, 2016년, pp.133 - 148  

최연우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박윤미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김명이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dahoe(多繪-braided cord) and mangsu(網綬-ornament of husu for ceremonial dress) used in myeon gwan(冕冠), daedae(大帶), and husu(後綬) among royal formal dresses in the Joseon Dynasty(1392-1910)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literature, relics, and paintings. The results of thi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7세기까지의 뉴약은 재료로 무엇을 사용했는가? 이렇게 17세기까지의 뉴약은 처음에는 장식으로 드리우다가 점차 대대를 묶는 실질적인 용도로 쓰이면서 위치에 변화가 나타났고, 재료는 아청색 견사로 만든 동다회를 썼다. 그런데 숙종대에 다시 한 번 변화가 나타난다.
관끈 영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한편 영은 본래 2가닥으로 된 관끈으로, 비녀가 없는 관모에서 실제 관모를 머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관끈을 양쪽 옆에서 내려서 턱 아래에서 바짝 잡아매는 것이다.
조선 전기와 후기에서 왕의 면관에 사용된 관끈의 종류와 색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관끈은 왕, 왕세자, 왕세손이 신분에 따른 차별 없이 같은 제도를 적용받고, 시기적으로는 변화가 나타난다. 조선전기에는 굉과 영 2종을 동시에 쓰다가 후기에는 영만 사용하고, 색은 전기에 주색 굉과 자주색 영을 썼으나 후기에 굉은 생략하고 영에 주색을 썼다. 굉은 비녀의 왼쪽에 한쪽 끝을 걸고 다른 한쪽은 턱 아래로 돌렸다가 위로 올려서 오른쪽 비녀에서 묶고 나머지를 늘어뜨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dong National University Museum (2000).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Kosong Yi graves at Chongsang-dong, Andong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Andong, Korea: Andong National University Museum. 

  2. Choi, K. S. (2006a). A Study on Su-focused on Su of Han dynasty.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 culture. Seoul, Korea: Seokjuseo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3. Choi, K. S. (2006b). A Study on Su of Chin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6(8), pp. 74-82. 

  4. Choi, K. S. (2010). A Study on the Costume System of Daehan-yejeon.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53(1), pp. 183-218. 

  5. Choi, Y. W. (2015a). Myeon-bok [면복]. Paju, Republic of Korea: Munhakdongne. 

  6. Choi, Y. W. (2015b). A Study on the Court uniform Worn by Government Officials in Late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8(3), pp. 131-148. 

  7. Chunguan-Tonggo [春官通考] (1788) vol. 12, 49. 

  8. Daehan-Yejeon [大韓禮典] (1898) vol. 4. 

  9. Gojong-taehuangje-eojang-jugam-uigwe [高宗太皇帝御葬主監儀軌] (1919). 

  10. Gukjo-oryeui-seorye [國朝五禮儀序例] (1474). Vol. 1. 

  11. Gukjo-sanglye-bopyeon [國朝喪禮補編] (1758). 

  12. Gukjo-sok-oryeui-bo-seorye [國朝續五禮儀補序例] (1751) 

  13. (Gyeongjong-Danui-hu) Garye-dougam-uigwe [(景宗端懿后)嘉禮都監儀軌] (1696). 

  14. (Gyeongjong-Senui-wanghu) Garye-dougam-uigwe [(景宗宣懿王后)嘉禮都監儀軌] (1718). 

  15. (Hyeonjong-Myeongseong-wanghu)Garye-dougam-uigwe[(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1651). 

  16. Hyojong-yeongleung-cheonleung-dougam-uigwe [孝宗寧陵遷陵都監儀軌] (1673). 

  17. Jo, G. S. (1893). Yagok-jib [冶谷集]. 

  18. Kim, S. J. (2008). A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Jodae(條帶, Braided Belt) during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Sungkyun 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82768705 

  19. Kim, Y. S. & Park, Y. M. (2007). The royal court dress of Joseon dynasty [朝鮮朝王室服飾], Seoul,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 Kwon, E. Y. & Lee, S. E. (2008). Study on Traditional Korean Intertwinement of Textile.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0(1), pp. 45-53. 

  21. Lee, M. J. (2012). The Process of Compiling Sangbang Jeongrye and it's Characteristics. Jangseogak, 27, pp. 70-108. 

  22. Lim, K. H. & Cho, W. H. (2009). A Review of the Restoration of Braid Belt, Gwangdahoe by Goryeojo Weaving Method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6), pp. 140-155. 

  23. Liu, X. (unkown). Ximing [釋名]. 

  24. Luo, Z. F. (1995). Hanyu-da-cidian [漢語大詞典] vol.13, Shanghai, China: Hanyu-da-cidian-chubanshe. 

  25.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2012). Daedae? 

  26. Okdae [大帶?玉帶(왕의 冕服복원 복제 제작기술서 6권)],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27. Park, J. Y. (2010). A Study on Decorations called Yuso(流蘇) for Portraits of Meritorious Retainers of Chosun Dynasty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892707 

  28. Park, Y. M. & Choi, Y. W.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tools of Dahoejangs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5), pp. 712-727. doi:10.7741/rjcc.2014.22.5.712 

  29. Park, Y. M. & Choi, Y. W. (2013). Review of Trends in Preceding Studies of Traditional Dahoe and Looms of Weavers. Journal of Asian Etho-Forms, 12, pp. 34-45. 

  30. Ryu, S. O. (1991). Royal Costume of Uigwe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宮中儀軌服飾]. Seoul, Republic of Korea: Suhaksa. 

  31. Sangbang-jeonglye [尙方定例] (1750-1751). 

  32. Seok Juseo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2001). Korean Traditional Costume [한국복식], 19. Seoul, Korea: Seok Juseon Memorial Museum. 

  33. Seok Juseo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2008). Jeongsagongshin, A military officer, Shin Gyung-yoo's tomb excatation costume study. Seoul, Korea: Seok Juseon Memorial Museum. 

  34. Seong, H. Y. (1840). Yeongyeongjae-jeonjib [硏經齋全集]. 

  35. Shanghai Shi Wenwu Guanli Weiyuanhui. (ed.) (2009). Shanghai-ming-mu [上海明墓]. Beijing, China: Wenwuchubanshe. 

  36. Son, H. J. (2009). An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Waist Strips of the Early or Mid Chosun Period from the Tombs of the Yeosan Song Family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702925 

  37. (Sukjong-Ingyeong-wanghu) Garye-dougam-uigwe [(肅宗仁敬王后)嘉禮都監儀軌] (1671). Sukjong-sillok [肅宗實錄]. 

  38.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NFMK]. (2000). Exhibition of Excavated Remains-Donated by Byun Family- [원주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Seoul,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39. Xu, S. (121). Shuowenjiezi [說文解字]. 

  40. Yeongjo-sillok [英祖實錄]. 

  41. Zhouli [周禮].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