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언니>의 성매매문제와 사회적 영향력
Prostitution and Social Power i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Unni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241 - 249  

계운경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우리사회의 성매매문제를 다루고 있는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언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언니>를 둘러싸고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담론 중 '영화의 정치성', '투쟁의 도구로서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영화의 사회적 영향력', '성매매문제와 성매매여성인권', '반성매매와 성노동 진영의 논쟁', '<언니>의 반성매매를 위한 내러티브 구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언니>를 통한 '관객의 인식변화'와 '참여적인 관객성'의 가능성에 관해 진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Unnie dealing with prostitution in Korean society. Not only does it discuss profuse discourse about Unnie such as politics of the film,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as a tool of struggle, an organized narrative for anti-prostitution and soci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치인, 학자, 활동가 등 성매매를 정의하고, 문제를 풀어내려 하지만 늘 해결불가능이라는 결과에 봉착하고 만다. 그래서 성매매를 경제적, 사회적, 정신분석적, 통계학적, 종교적 의미와 연결하여 해석을 시도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그러나 이 역시도 여러 가지 모순에 직면하며 성매매문제의 해결을 어렵게 한다.
  • 첫째, 영화와 정치는 서로 직·간접적으로 긴밀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영화의 역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우리사회의 성매매문제와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관점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두 진영 모두 성매매여성에 대한 인권보호의 차원에서 출발하되, 성매매 반대진영은 성매매여성이 탈성매매를 하게 한 후, 또 성노동 진영은 성노동자로서 그대로 사회에 통합시키고자 하는 점이 서로 다르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성매매 근절이라는 뚜렷한 목적으로 제작된 가 관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 성매매에 대한 관객의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검증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도 제5공화국 때 뉴스영화를 정권선전용으로 활용하고, 3S(Sex, Sports, Screen) 정책을 만들어 섹스영화의 양산을 가속화시켜 정치로부터의 관심을 막고자했다.

가설 설정

  • 감독은 약자의 편에서 권력의 횡포를 고발하고 관객의 동의를 얻어내기 위해 설득하는 방식을 취한다. 둘째, 무겁고 엄숙한 분위기이다. 물론 무거운 주제를 가볍게 담아내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엄숙한 분위기로 일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매매 불법화 진영의 입장은 무엇인가? 합법화 진영은 성매매를 성노동으로 인정하여 성매매여성들이 법적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자고 주장한다. 그러나 불법화 진영은 성매매가 여성피해자를 양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불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합법화 진영은 ‘성노동’, ‘매춘’, ‘매매춘’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불법화 진영은 ‘성매매’를 정치적으로 올바른 용어로 인정한다.
다큐멘터리 영화 <언니>의 제작 목적은 무엇인가? <언니>는 반성매매 관점에서 관객의 인식을 변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이처럼 영화가 도구로 활용되는 사례는 영화의 역사 속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호스티스영화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영화들은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욕망의 담론, 성적 대상 혹은 주체로서의 여성, 섹스와 사회구조적 모순의 관계[1], 기존 정권에 대한 반발이나 탈정치화 과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여성의 문제를 드려다 보게 하여 여성담론의 확장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들 영화에서 성매매여성은 남성의 성적 욕구를 자극하는 대상, 성적 타락, 수동적, 타자화된 인물로 그려지는 문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극영화와 달리 한국 독립다큐멘터리에서 제시되는 성매매여성들은 확연히 다르게 재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금녀, "1980년대 한국영화의 성적 욕망 담론에 관한 연구- 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4호, p.8, 2000. 

  2. 이선자, "영화 속의 장애인 이미지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 제7권, p.81, 2007. 

  3. 이충직, 주진숙, "식민지 아시아 국가들의 영화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대만 뉴 웨이브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16호, p.7, 1997. 

  4. D. Bordwell and K. Thompson, 영화예술, 주진숙, 이용관 역, 이론과실천, p.558, 1993. 

  5. T. Clark, 20세기 정치선전 예술, 이순령 역, 예경, pp. 14-114, 2000. 

  6. J. Hill and P. C. Gibson, 영화연구, 안정효 외 역, 현암사, pp. 141-412, pp. 241-242, 2004. 

  7. 남인영, "타자들의 '목소리':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의 사운드와 이미지의 관계," 영상예술연구, 제13호, p.114, 2008. 

  8.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2권, 인물과 사상사, p.59-71, 2002. 재인용 

  9. 고정갑희, "매춘 성노동의 이론화와 성/노동/상품의 위계화," 경제와사회, 제81호, p.113, 2009. 

  10. 유숙란, "네덜란드 성매매 합법화의 효과: 불법 이주 성매매자의 배제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제1권, 제1호, pp. 12-16, 2008. 

  11. 김경미, "'피해'와 '보호'의 이중주-성매매방지법을 넘어서," 여성이론, 제13호, p.67-69, 2005. 

  12. 이하영, ""당신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2004년 이후 한국의 '성매매' 운동의 지형도 읽기," 여성이론, 제23호, pp. 166-67, 2010. 재인용 

  13. 정문영, "아톨 푸가드의 관객성의 정치성-The Road to Mecca," 현대영미드라마, 제14권, 제1호, pp. 246-247, 2001. 

  14. R. Stam, 어휘로 풀어 읽는 영상기호학, 이수길 외 역, 시각과언어, p.276, 2003. 

  15. 유선영, "초기 영화의 문화적 수용과 관객성-근대적 시각문화의 변조와 재배치," 언론과사회, pp. 12-13, 2003. 

  16. R. Barthes, 텍스트의 즐거움, 김희영 역, 동문선, pp. 34-35, 1997. 

  17. 안영순, "서사담론의 변화와 관객성: 소설과 영화 '모던보이'를 중심으로," 외국문화연구, p.134, 2009. 

  18. P. Levy, 디지털시대의 가상현실, 전재연 역, 궁리, p.32, 2002. 

  19. 최항섭,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28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