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디 뮤지션의 삶과 직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Life and Job Satisfaction of Indie Musicia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262 - 274  

정윤경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전경란 (동의대학교 디지털문화콘텐츠학전공) ,  김종하 (한라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초록

인디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디뮤지션을 학술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기 위한 시도와 이들을 위한 제도적 평가는 미흡했다. 본 연구에서는 105명의 국내 인디뮤지션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이들의 음악 환경, 음악 활동의 특성, 인디뮤지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작업 시설과 50석 이상의 공연장 이용 기회가 부족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 경력이 6년 이상인 집단의 경우, 대형 공연장 공연 기회가 많으며, 음악 활동 횟수와 음악 활동 수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디뮤지션의 만족도에는 음악활동 횟수, 사회적인 인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디뮤지션에 대한 지원제도는 다양한 영역에서 제공되는 지원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집중해야할 것이며, 정부가 모든 것을 해야 한다는 가부장적 사고를 버리고 다양한 부문과의 조율을 통해 인디뮤지션의 창작을 독려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ademic interests have long left from the field of indie musicians, despite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is also means indie musician policies have enjoyed lack of evaluation.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die musicians' environment, music activities and their job sa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디 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모든 인디 문화는 상업적 주류 문화에 대한 반대급부에서 출발한다. 인디 문화는 음악이 되었든, 또 다른 예술이든 장르에 관계없이 차별적이며, 반문화적, 아방가르드적이다[8]. 인디뮤지션 역시 스타산업의 상업주의와 한탕주의에 대항하여 새로운 음악 장르와 스타일을 시도하며, 음악의 자유와 뮤지션의 독립을 추구한다는 점[9]에서 인디 문화의 궤적을 유지한다.
인디뮤지션이 주류 매체를 회피하는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의 소극성과 대비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디뮤지션 역시 스타산업의 상업주의와 한탕주의에 대항하여 새로운 음악 장르와 스타일을 시도하며, 음악의 자유와 뮤지션의 독립을 추구한다는 점[9]에서 인디 문화의 궤적을 유지한다. 이들은 주류 매체를 회피하는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의 소극성과는 대비되는데,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위해 독립된 장을 스스로 개척하는 적극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10]. 이 같은 저항과 전복, 통제와 이성에 대한 도전 성향은 인디들조차 스스로를 주변적이라 생각하게 만들며, 이러한 차별화는 인디 집단 내부의 결속력, 친근감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한다[11].
인디뮤지션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출발점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수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진입 장벽이 높지 않은 독립적인 창조 영역, 즉, 인디뮤지션이라는 무리에 합류하는 것이다. 인디뮤지션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출발점이 되는 것은 인디뮤지션이 되기 위해 특별한 기술이나 경험이 요구되지 않는 까닭이다[2]. 더욱이 간편한 홈레코딩을 통해 DIY 레이블 제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1인 레이블 또는 마이크로 인디의 시장 진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안정일, "음악시장 활성화를 위한 음원저작권의 합리적 가격 제도와 징수체제, 대중음악산업의 현쟁점과 대안 찾기," 문학과학, pp. 145-177, 2012. 

  2. K. Shaw, "Independent creative subcultures and why they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 19, No. 3, pp. 333-352, 2013. 

  3. R. Strachan, "Micro-independent record labels in the UK: discourse, DIY cultural production and the music industry,"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Vol. 10, pp. 245-265, 2013. 

  4. 김기덕, 최석호, "창조경제시대의 한국대중음악산업 수직계열화와 생산시스템 분석 2000-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 43-53, 2014. 

  5. 유승종,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0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0. 

  6. S. Homan, M. Cloonan, and J. Cattermole, "Introduction: popular music and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 19, No. 3, pp. 275-280, 2013. 

  7. 심두보, "케이팝 (K-pop)에 관한 소고," 사회과교육, 제52권, 제2호, pp. 13-28, 2013. 

  8. C. McAuliffe, "Selling secret lives: subcultures and cultural vitality," Overland, Vol. 174, pp. 103-105, 2004. 

  9. 유승호, "문화산업에 있어 '인디'공동체의 위상에 대한 고찰," 문화정책논총, 제12권, pp. 47-61, 2000. 

  10. 안혜영, 2000년 이후 인디 레이블의 영향력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 가요의 다양성에 관한 논의를 중점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 I. M. Young, "The ideal of communit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In L. Nocholson, (ed.) Feminism / postmodernism, London:Routledge, pp. 300-323, 1990. 

  12. 이정엽, "홍대 앞 인디음악 씬의 문화경제," 대중 음악, 제6권, 제11호, pp. 68-96, 2010. 

  13. R. Burnett, The global jukebox: the international music industry, London: Routledge, 1996. 

  14. S. Frith, Sound effects: youth, leisure and the politics of rock'n'roll, New York: Pantheon, 1981. 

  15. 김미나, 한국 인디음악과 인디뮤지션 지원프로그램의 예산 규모 및 집행현황 연구: 최근 3년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이충한, "무중력 시대, 예술이 무엇을 할 수 있을 까-유자살롱의 음악치유 프로그램 사례," 한국예술연구, 제7호, pp. 73-93, 2014. 

  17. 이규탁, "장르 브랜딩(Branding):모타운 소울 (Motown Soul)과 케이팝(K-Pop)의 이미지 형성 전략," 한국대중음악학회 정기학술대회, 2014. 

  18. 성완경, 홍대 앞 인디문화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9. 박근서, "테크노, 힙합, 하드코어-대중음악의 세가지 키워드," 저널리즘 비평, 제31권, pp. 64-72, 2000. 

  20. 유지연, "한국의 라이브 콘서트 소비 경험과 딜레마," 한국대중음악학회 정기학술대회, 2014. 

  21. 김수아, "버벌진트와 빈지노 읽기: 한국 힙합, 남성성 그리고 여성 팬덤의 구성," 한국대중음악학회 정기학술대회, 2014. 

  22. 장미혜, 이충환,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음악소비-소유에서 향유로, 전유에서 공유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언론학회 특별공동학술회의, pp. 173-197, 2006. 

  23. 서정민갑, "인디음악의 종 다양성과 비주류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언들, 대중음악산업의 현 쟁점과 대안 찾기," 문학과학, pp. 145-177, 2012. 

  24. 송예화, 최준란, 김상헌, "인디음악의 상업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2013. 

  25. 청년유니온, 청년뮤지션 생활실태 조사, 2011. 

  26.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http://www.mcst.go.kr/web/s_notice/news/newsView.jsp?pSeq1532 

  27. 오양열, "제도의 변화: 한국 문화예술 공공지원 정책의 변화와 현재, 제도의 팽창, 창의적 동기 : 예술가 공적 지원의 쟁점," 서울문화재단 세미나 자료, 2013. 

  28. 박준흠, "한국 대중음악의 현재 지형 2-'인디레이블'을 통해서 살펴본 음악창작자들의 지형도," 문화과학, 여름호(통권54호), pp. 241-261, 2008. 

  29. 이동연, "대중음악산업 지원체계의 새로운 대안, 대중음악산업의 현 쟁점과 대안 찾기," 문화과학, pp. 145-177, 2012. 

  30. D. Hesmondalgh, The cultural industries, Los Alngeles, CA:Sage, 2013. 

  31. M. Cloonan, “Steering a review: some reflections on a gig,”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 19, No. 3, pp. 318-332, 2013. 

  32. L. Petrova, "How different financial modes condition artistic motivation, 제도의 팽창, 창의적 동기 : 예술가 공적 지원의 쟁점," 서울문화재단 세미나자료, 2013. 

  33. M. Rengers and E. Plug, “Private or Public?,”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25, No. 1, pp. 1-20, 2001. 

  34. K. V. Mulcahy, "Cultural policy : Definitions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Vol. 35, No. 4, pp. 319-330, 2006. 

  35. D. O'Brien, "Measuring the value of culture: a report to the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London DCMS, 2010. Available from http://www.culture.ov.uk/publications/7660.aspx 

  36. J. Street, "Music, markets and manifesto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 19, No. 3, pp. 281-297, 2013. 

  37. V. Alexander, "Pictures at the exibition: Conflicting pressures in museums and the display of ar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101, pp. 797-839, 1995. 

  38. 조중걸, "공적지원과 창조성의 인과율: 국가 예술지원의 사적 예증, 제도의 팽창, 창의적 동기 : 예술가 공적 지원의 쟁점," 서울문화재단 세미나 자료, 2013. 

  39. B. S. Frey, "State support and creativity in the arts: Some new consideration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23, pp. 71-85, 1999. 

  40. R. Caves, Creative Inudstries: Contracts between arts and commer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41. B. Frey and R. Jegen, "Motivation Crowding Theory: A Survey of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Economic Surveys, Vol. 15, No. 5, pp. 589-611, 2001. 

  42. 정윤경, 김미선, "국내 창조산업 콘텐츠 진흥정책의 동기구축효과에 관한 연구-수혜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 210-22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