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한 노화를 위한 음악활용 : 국내·외 연구 고찰
The Use of Music for Healthy Elderly :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335 - 346  

이예빛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  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외 노인 대상 음악 활용 연구 내 음악 적용 방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수기 검색을 통해 선정 기준에 부합한 국내 연구 19편, 국외 연구 21편의 총 40편이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외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활용(중재) 연구 시작 시기가 1990년대 말로 유사하며 게재 논문 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문헌 모두에서 노인의 정서, 특히 우울에 개입한 음악 활용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음악 적용 방법에 있어 국내에서는 민요와 대중가요를 활용한 가창 활동, 국외에서는 클래식 및 명상음악의 감상이 주요한 활동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 연구 모두 기존 음악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국내 연구에서는 라이브 음악의 사용 비중이 국외 연구에 비해 높고 대상자의 선호가 반영된 음악을 선정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성공적 노화에 대한 노인 대상군의 높은 요구가 국내외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반면, 구체적으로 음악을 적용하는 데 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국내외 연구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문화적,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다차원적인 접근의 활용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review Korean-written and English-written studies on music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in terms of research variables and type of music application. Electronic databases and music-related journals were searched and a total of 40 studies, 19 Korean-written and 21 English-writ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연구 내 변인과 음악 활용 및 방법을 고찰하여 전체적인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노인의 건강한 노화를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음악 활동의 적용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 활용을 중심으로 국내·외 노인 대상 연구를 분석하여 노인의 건강한 노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음악 활동을 제시하여 향후 기초자료로써 제공하고 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란? 노화(Aging)는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인간의 전반적인 기능이 서서히 퇴행하여 변화 하는 총체적인 과정을 의미한다[1-3]. 이러한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질병이나 삶의 방식, 환경 등 개인 변인의 차이로 인하여 속도나 유형에 있어 개별적인 특성을 보이는 변화 과정을 포함한다[4].
심리적 측면에서 노년층은 노화에 따른 어떤 내적, 외적 변화를 경험하는가? 심리적 측면에서 노년층은 노화에 따른 내적, 외적 변화를 총체적으로 경험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의 저하를 보인다[5]. 사회적으로는 직장에서의 은퇴나 퇴직 등으로 인해 사회참여의 기회가 줄어들고 가족관계에 있어 역할의 변화를 경험한다[6]. 또한 주변인들의 상실 그리고 낮은 지지감 등으로 인해 상대적인 박탈감이나 소외감을 느끼게 되며[7] 이전에 비해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필요한 대처능력이나 자원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삶에 있어 경직성을 보인다.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은 삶의 질을 낮추는 것뿐만 아니라[8-11], 인지 저하 및 인지장애 발생 위험을 높인다[12-16].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는? 노화(Aging)는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인간의 전반적인 기능이 서서히 퇴행하여 변화 하는 총체적인 과정을 의미한다[1-3]. 이러한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질병이나 삶의 방식, 환경 등 개인 변인의 차이로 인하여 속도나 유형에 있어 개별적인 특성을 보이는 변화 과정을 포함한다[4]. 특히 개인 내적 요인과 사회에서의 역할, 적응 능력 등과 연관되는 심리적 노화는 의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유전적 요인에 따른 차이의 감소로 인해 최근에는 환경 요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이호선,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2012. 

  2. T. Flatt, "A new definition of aging", Frontiers in Genetics, Vol. 148, No. 3, pp. 1-3, 2012. 

  3. M. R. Rose, T. Flatt, J. L. Graves, L. F. Greer, D. E. Martinez, M. Matos, and P. Shahrestani, "What is aging?," Frontiers in Genetics, Vol. 134, No. 3, pp. 1-3, 2012. 

  4. 권인순, "생물학적 노화," 인제의학, 제23권, 제5호, pp. 67-74, 2002. 

  5. 남기민, 조명희, 조추용, 한규량, 현대노인교육론, 서울: 현학사, 2003. 

  6. 권중돈, 노인복지론(4판), 서울: 학지사, 2010. 

  7. 김태현, 노년학, 파주: 교문사, 2007. 

  8. 유수정, 임경춘, 서현미, 공은희, 김주현, "재가노인의 무력감 영향요인 분석," 노인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 103-111, 2013. 

  9. 조성자, 김병석, "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34권, 제1호, pp. 49-71, 2012. 

  10. 허준수, 유수연,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3권, pp. 7-35, 2002. 

  11. E. Sjogren, P. Leanderson, and M. Kristenson, "Diurnal saliva cortisol levels and relations to psychosocial factors in a population sample of middle-aged Swedish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 13, No. 3, pp. 193-200, 2006. 

  12. 구본미, "노년기 인지기능과 우울수준이 일상생활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3권, 제2호, pp. 315-333, 2013. 

  13. 김호영, "노년기 사회적 삶과 인지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제34권, 제1호, pp. 225-251, 2015. 

  14. 이민숙, 김나영,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4권, 제1호, pp. 161-176, 2007. 

  15. 차신영, 황선희, "노년기 환자의 신경 인지적 특성: 우울감이 있는 경도인지장애, 우울감이 없는 경도인지장애, 우울장애 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제33권 제1호, pp. 107-120, 2014. 

  16. J. W. Ashford, C. S. Atwood, J. P. Blass, R. L. Bowen, C. E. Finch, K. Iqbal, and G. Perry, "What is aging what is its role in Alzheimer's disease what can we do about it,"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Vol. 7, No. 3, pp. 247-253, 2005. 

  17. 권인순, "노화의 정의 및 분류," 대한의사협회지, 제50권, 제3호, pp. 208-215, 2007. 

  18. C. A. Depp and D. V. Jeste,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14, No. 1, pp. 6-20, 2006. 

  19. R.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1998. 

  20. 김미혜, "한국 노인의 생애주기별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2권, 제2호, pp. 697-715, 2010. 

  21. 지현진, "2009생활시간조사자료를 근거로 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 675-687, 2012. 

  22. 윤소영, "여가에 대한 생애주기 관점과 여가생활 주기 단계별 모형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4호, pp. 103-115, 2010. 

  23. H. Bruhn, "Musical development of elderly people," Psychomusicology, Vol. 18, No. 1-2, p.59, 2002. 

  24. A. C. Gibbons,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scores in an institutionalized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Vol. 20, No. 1, pp. 21-29, 1983. 

  25. L. L. Bryant, K. K. Corbett, and J. S. Kutner, "In their own words: a model of healthy aging,"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53, pp. 927-941, 2001. 

  26. K. Linde and D. Aftermann, "Single versus combined cognitive and physical activity effects on fluid cognitive abilities of healthy older adults: a 4-mon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follow-up," Journal of Aging & Physical Activity, Vol. 22, No. 3, pp. 302-313, 2014. 

  27. 김경식, 이은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424-432, 2010. 

  28. 박풍규, "노년기 여가생활을 위한 중년층의 여가 활동 요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pp. 45-69, 2014. 

  29. 권순호, "놀이문화로서의 음악활동," 음악과 문화, 제5권, pp. 13-38, 2001. 

  30. 이윤정, 김신미, "신체적 활동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제23권, 제4호, pp. 45-48, 2003. 

  31. 임영미, "율동적 동작이 치매노인의 신체적 기능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제21 권, 제3호, pp. 82-88, 2002. 

  32. D. D. Coffman, "Music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Cognition, Vol. 18, No. 1-2, pp. 76-88, 2002. 

  33. A. Sixsmith and G. Gibson, "Music and the wellbeing of people with dementia," Ageing and Society, Vol. 27, No. 1, pp. 127-145, 2007. 

  34. A. Creech, S. Hallam, H. McQueen, and M. Varvarigou, "The power of music in the lives of older adults," Research Studies in Music Education, Vol. 35, No. 1, pp. 87-102, 2013. 

  35. 강승미, 제주도내 노인 복지?여가 시설에서의 음악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신언미, 노인의 노래 부르기 활동이 음악개념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7. P. Laukka, "Uses of music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 8, No. 2, pp. 215-241, 2007. 

  38. G. De Niet, B. Tiemens, B. Lendemeijer, and G. Hutschemaekers, "Music assisted relaxation to improve sleep quality: Meta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5, No. 7, pp. 1356-1364, 2009. 

  39. P. Klainin-Yobas, W. N. Oo, P. Y. Suzanne Yew, and Y. Lau, "Effects of relaxation interventions on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ging & Mental Health, Vol. 9, pp. 1-13, 2015. 

  40. 조현아,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현황 분석,"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10권, 제2호, pp. 55-77, 2013. 

  41. 홍명선,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요법의 연구현황 및 분석,"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 243-256, 2004. 

  42. 전희운, 김수지, "음악요소와 노래 부르기를 활용한 호흡 및 구강훈련이 정상노인의 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 10호, pp. 380-387, 2011. 

  43.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 761-779, 2009. 

  44. 이동호, 빈성오, "노인들의 질환별 유병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 216-224, 2011. 

  45. 안영미,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 제12권, 제4호, pp. 576-585, 2003. 

  46. 최수정, 도구개발을 통한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47. 최말옥, 박혜령, "노인 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 감과 우울감에 대한 집단 음악 프로그램 효과성 비교 연구-시설,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연구, 제27권, pp. 303-324, 2005. 

  48. H. L. Lai and M. Good, "Music improves sleep quality in older adul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49, No. 3, pp. 234-244, 2005. 

  49. 김현주, 박성옥, "음악치료 효과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성인.노인을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0권, 제2호, pp. 219-239, 2014. 

  50. 이은애,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음악 활용 실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1. 조민서, 노인대학의 음악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연구: 서울특별시에 등록된 노인대학을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2. 허지혜, 노인복지관의 사회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노인음악교육 실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3. 구민재, 그룹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4. P. N. Juslin and P. Laukka, "Expression, perception, and induction of musical emotions: A review and a questionnaire study of everyday listening," Journal of New Music Research, Vol. 33, pp. 217-238, 2004. 

  55. C. J. Murrock and P. A. Higgins, "The theory of music, mood and movement to improve health outcom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5, No. 10, pp. 2249-2257, 2009. 

  56. M. J. Tramo, "Music of the hemispheres," Science, Vol. 291, No. 5501, pp. 54-56, 2001. 

  57. 김경혜, "노인의 음악선호도 조사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3권, 제1호, pp. 16-29, 2001. 

  58. M. Brotons, S. M. Koger, and Pickett-Cooper, "Music and dementias: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Music Therapy, Vol. 34, No. 4, pp. 204-245, 1997. 

  59.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 241-25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