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요소 연구 :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 요인 중심으로
A Study on Psychotherapy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Compon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488 - 502  

장세미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장성숙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퍼비전은 상담자 교육의 중요한 핵심 요인이고 수퍼바이저는 수퍼비전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퍼바이저를 위한 교육과 훈련은 공식적으로 요구되고 있지 않으며, 수퍼바이저가 전문적인 수퍼비전 교육과 훈련을 받지 않은 채 활동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수퍼바이저 발달이론, 그리고 수퍼바이저 역량과 관련된 문헌 검토를 통해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 요인을 중심으로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을 통해 발달 및 성장시켜야 하는 구체적 요소들과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의 주요한 방법 요소가 무엇인지를 정리하였다. 선행 이론과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수퍼바이저의 발달 및 역량을 나타내고 수퍼바이저 훈련에서 다루어야 하는 구체적 요소로서 수퍼바이저의 정체성, 수퍼비전 관계형성 능력, 효과적인 피드백전달 능력, 수퍼비전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수퍼바이저가 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대한 가치임을 정리하였다. 또한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방법의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이론수업과 경험실습이라는 것에 많은 연구들에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논의에서는 국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 수퍼바이저 발달적 관점과 역량에 근거한 수퍼바이저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수퍼바이저의 발달과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ychotherapy supervision has long been regarded as a crucial component of psychotherapy education. Supervisory role is very important in supervision outcomes but the absence of and need for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have continued to be emphasized. Supervisor's education and training c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alender와 Shafranske[67]는 역량에 근거한 수퍼비전 훈련이 제정되기 위해서는 수퍼비전 과정이 보다 엄격하게 연구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그럼으로써 수퍼바이저를 교육시키는 사람들로 하여금 내담자와 수련생들에 대한 수퍼비전의 영향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하기 위해서 수퍼바이저들에게 무엇을 훈련시켜야 하는지를 알게 한다.
  • 아래에서는 훈련의 성과를 의미하고 수퍼바이저의 발달과 성장을 나타내는 수퍼바이저 훈련 요소로서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수퍼바이저 발달관련 연구와 수퍼바이저 역량관련 연구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수퍼바이저 훈련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수퍼바이저 훈련방법과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훈련의 성과를 나타내고 수퍼바이저의 발달과 성장을 의미하는 지표로서 수퍼바이저 훈련의 초점이 되는 훈련 요소에 대하여 수퍼바이저 발달과 수퍼바이저 역량을 중심으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효과적인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훈련의 주요 방법요소와 그 내용이 무엇인지를 문헌 검토를 통해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국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앞으로의 수퍼바이저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수퍼바이저가 발달 및 성장시켜야하는 훈련 요소들을 고찰해보는 것은 행동적 용어로 관찰 가능한 훈련 결과물을 수립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 방법과 구체적인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해 적절한 훈련방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훈련의 성과를 나타내고 수퍼바이저의 발달과 성장을 의미하는 지표로서 수퍼바이저 훈련의 초점이 되는 훈련 요소에 대하여 수퍼바이저 발달과 수퍼바이저 역량을 중심으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효과적인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훈련의 주요 방법요소와 그 내용이 무엇인지를 문헌 검토를 통해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국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앞으로의 수퍼바이저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이것은 수퍼바이저 발달로 인한 기술향상 및 행동변화에 대한 타당한 측정을 불가능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수퍼바이저 훈련에서 무엇을 교육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에 어려움을 준다. 수퍼바이저 발달 이론에서 나타난 발달 및 성장의 불명확함을 극복하기 위해 [표 2]에 선행연구들에서 경험적으로 나타난 발달 및 성장 요인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아래에서는 수퍼바이저 발달개념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수퍼바이저 역량의 구성개념과 관련 연구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의 중요성을 많은 문헌에서 언급하고, 수퍼비전을 상담자 훈련의 초석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수퍼바이저들을 훈련시키기 위한 노력은 매우 부족하다[26]. 아래에서는 훈련의 성과를 의미하고 수퍼바이저의 발달과 성장을 나타내는 수퍼바이저 훈련 요소로서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수퍼바이저 발달관련 연구와 수퍼바이저 역량관련 연구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수퍼바이저 훈련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수퍼바이저 훈련방법과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수퍼바이저 훈련의 초점이 되는 훈련 요소로서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 구성 요인 및 효과적인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의 주요 방법요소와 그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여러 수퍼바이저 연구 문헌을 통해 수퍼바이저들이 교육과 훈련을 받지 않고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문제의식이 증가되고 있으며, 공식단체에 의해 핵심 역량 모델 안에서 수퍼비전 역량이 설명되면서 느리지만 점진적으로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에 대한 중요성이 심리학분야에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퍼바이저의 발달 개념은 무엇인가? 수퍼바이저의 발달 개념은 수퍼바이저가 수퍼비전 경험을 획득하면서 각 발달단계에서 도전하고 극복해야 하는 발달과제를 통해 변화한다는 것이다. 즉, 수퍼바이저가 성장하면서 수퍼바이저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발달시키고, 수퍼바이지를 수용하며, 수퍼비전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역량-기반 교육모델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USDE[47]에서는 역량에 대한 정의를 전문적인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능력, 및 지식의 조합으로 개념화하였고, 교육장면에서는 역량 발달과 평가를 개념화하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학습의 기초가 되는 한 개인의 타고난 ‘특성과 성격’, 이론교육과 같은 다양한 학습경험을 통해 발달되는 ‘기술, 능력 및 지식’, 그리고 수퍼비전처럼 기술, 능력 및 지식 사용을 극대화 시키는 ‘통합적 학습경험’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역량이 형성되고 발달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이 모델의 마지막 ‘설명단계’에서는 역량을 적용한 결과와 수행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48]. 역량-기반 교육모델을 [그림 1]에 제시하였다.
수퍼바이저 발달 이론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한 것은 무엇인가? 수퍼바이저 발달 이론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활성화시킨 것은 척도개발이다. Watkins 외[40]는 수퍼바이저 발달 연구가 제한된 관심을 받아온 것이 수퍼바이저 발달을 평가하는 도구의 부재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J. M. Bernard and R. K. Goodyear,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5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2014. 

  2. B. E. Wampold and E. L. Holloway, Methodology, design, and evaluation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research. In C. E., 1997. 

  3. J. M. Bernard, "Approved clinical supervisor: a new NBCC credential," Counseling Today, Vol. 41, No. 1, p.19, 1998. 

  4. M. J. Lambert and B. M. Ogles,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Handbook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pp. 421-446, 1997. 

  5. C. E. Jr. Watkins, "Development of the Psychotherapy supervisor,"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Vol. 27, No. 4, pp. 553-560, 1990. 

  6. 소수연, 수퍼바이저의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탐색과 수퍼비전 수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 손진희, "수퍼바이저 행동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연구," 상담학연구, 제5권, 제2호, pp. 243-261, 2004. 

  8. 손은정, "수퍼비전에 대한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3권 제3호, pp. 1-21, 2010. 

  9. 이홍숙, 최한나,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력수준에 따른 수퍼비전 수행과 성과의 차이,"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 1679-1698, 2013. 

  10. 지승희, 주영아, 김영혜, "수퍼비전 경험과 되고 싶은 수퍼바이저 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5권, 제5호, pp. 1671-1693, 2014. 

  11. K. Bang and J. Park, "Korean Supervisors' experiences in clinical supervis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 37, No. 8, pp. 1042-1075, 2009. 

  12. P. Rodenhauser, "Toward a multidimensional model for psychotherapy supervision based on developmental stage," J.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Vol. 3, pp. 1-15, 1994. 

  13. C. E. Jr. Watkins, "Development of the Psychotherapy Supervisor: Review of and Reflections on 30 Years of Theory and Research," American J. of Psychotherapy, Vol. 66, No. 1, pp. 45-83, 2012a. 

  14. C. E. Jr. Watkins, "Educating Psychotherapy Supervisors," American J. Of Psychotherapy, Vol. 66, No. 3, pp. 279-307, 2012b. 

  15. H. A. Dye and L. D. Borders, "Counseling supervisors: Standards for preparation and practice," J.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 69, No. 1, pp. 27-29, 1990. 

  16. C. E. Jr. Watkins, "The ineffective psychotherapy supervisor: Some reflections about bad behaviors, poor process, and offensive outcomes," The Clinical Supervisor, Vol. 16, No. 1, pp. 163-180, 1997. 

  17. C. A. Falender and E. P. Shafranske, Getting the most out of clinical training and supervision: A guide for practicum students and inter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18. R. C. Lyon, A. Heppler, L. Leavitt, and L. Fisher, "Supervisory training experiences and overall supervisory development in predoctoral interns," The Clinical Supervisor, Vol. 27, pp. 268-284, 2008. 

  19. S. M. Whitman, M. B. Ryan, and D. F. Rubenstein, "Psychotherapy supervisor training," Academic Psychiatry, Vol. 25, No. 3, pp. 156-161, 2001. 

  20.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수퍼비전의 현재,"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대학생활연구, 제17권, 제1호, pp. 1-18, 1999. 

  21. 방기연, 상담 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2011. 

  22. 소수연, 장성숙,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 연구," 상담학연구, 제12권, 제3호, pp. 1051-1067, 2011. 

  23. 오효정, 최한나, "초보 수퍼바이저가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상담학연구, 제16권, 제5호, pp. 75-94, 2015. 

  24. D. L. Milne, A. I. Sheikh, S. Pattison, and A. W. Wilkinson, "Evidence-based training for clinical supervisors: A systematic review of 11 Controlled Studies," The Clinical Supervisor, Vol. 30, pp. 53-71, 2011. 

  25. S. H. Spence, J. Wilson, D. Kavanagh, J. Strong, and L. Worrall, "Clinical supervision in four mental health professions: A review of the evidence," Behaviour Change, Vol. 18, pp. 135-155, 2001. 

  26. D. L. Milne and I. A. James, "The observed impact of training on competence in clinical supervision," British J. of Clinical Psychology, Vol. 41, pp. 55-72, 2002. 

  27. A. Alonso, "A Developmental Theory of Psychodynamic Supervision," The Clinical Supervisor, Vol. 1, No. 3, pp. 23-36, 1983. 

  28. A. K. Hess, "Growth in Supervision: Stages of Supervisee and Supervisor Development," The Clinical Supervisor, Vol. 4, pp. 51-67, 1986. 

  29. C. D. Stoltenberg, U. Delworth, and B. McNeill, IDM supervision: An Integrated Developmental Model for supervising counselors and therapists, San Francisco: Jossey-Bass, 1998. 

  30. C. E. Jr. Watkins, "Researching Psychotherapy Supervisor Development: Four Key Considerations," The Clinical Supervisor, Vol. 13, No. 2, pp. 111-118, 1995. 

  31. L. D. Borders, Principles of best practice for clinical supervision training programs. In J. R. Culbreth & L. L. Brown (Eds.), State of the art in clinical supervision, pp. 127-150, New York: Routledge, 2010. 

  32. C. E. Jr. Watkins, "Development of the Psychotherapy supervisor: Concepts, assumptions, and hypotheses of the supervisor complexity model,"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Vol. 47, No. 1, pp. 58-74, 1993. 

  33. R. A. Hogan, "Issues and approaches in supervision,"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 1, pp. 139-141, 1964. 

  34. C. D. Stoltenberg, "Approaching Supervis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ounselor Complexity Model,"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8, pp. 59-65, 1981. 

  35. C. A. Falender and E. P. Shafranske, Clinical supervision: A competency-based approac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36. Psychology Board of Australia, Exposure draft: Guideline for supervisors and supervisor training providers, 2011. 

  37. E. I. Worthington and H. J. Roehlke, "Effective supervision and perceived by beginning counselor in training,"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6, pp. 64-73, 1979. 

  38. M. O'L. Wiley, Developmental counseling supervision; Person-environment congruency, satisfaction, and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1982. 

  39. D. T. Stevens, R. K. Goodyear, and P. Robertson, "Supervisor development: An exploratory study in changes in stance and emphasis," The Clinical Supervisor, Vol. 16, No. 2, pp. 73-88, 1997. 

  40. C. E. Jr. Watkins, L. J. Schneider, J. Haynes, and R. Nieberding, "Measuring Psychotherapy Supervisor Development: An Initial Effort a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Clinical Supervisor, Vol. 13, No. 1, pp. 77-90, 1995. 

  41. J. C. Bencivenne, An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 supervisor and supervisee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ton Hall University, New Jersey, 1999. 

  42. N. J. Pelling, "The relationship of supervisory experience, counseling experience and training in supervision to supervisory development," International J.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Vol. 30, pp. 235-248, 2008. 

  43. N. W. Vidlak, Identifying important factors in supervisor development: An examination of supervisor experience, training, and attribu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2002. 

  44. 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doctoral programmes and internships in professional psychology, Ottawa, ON: 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45. I. W. Hoffman, "The training of psychotherapy supervisors: A barren scape," Psychotherapy in Private Practice, Vol. 13, pp. 23-42, 1994. 

  46. E. L. Jr. Worthington, "Changes in supervision as counselors and supervisors gain experience: A review",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Vol. S20, pp. 133-160, 2006. 

  47.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Defining and assessing learning: Exploring competency-based initiatives, Washington, DC: Author, 2002. 

  48. C. E. Jr. Watkins, "On psychoanalytic supervisor competencies, the persistent paradox without parallel in psychoanalytic education, and dreaming of an evidence-based psychoanalytic supervision," Psychoanalytic Review, Vol. 100, No. 4, pp. 609-646, 2013. 

  49. J. Hunsley and K. K. Barker, "Training for competency in Professional psychology: A Canadian perspective," Australian Psychologist, Vol. 46, pp. 142-145, 2011. 

  50. J. Gosselin, K. K. Baker, C. S. Kogan, M. Pomerleau, and M. P.d' Ioro, "Setting the stage for an evidence-based model of psychotherapy supervisor development in clinical psychology," Canadian Psychology, pp. 1-15, 2015. 

  51. C. A. Rapisarda, K. J. Desmond, and J. R. Nelson, "Student reflections on the journey to being a supervisor," The Clinical Supervisor, Vol. 30, No. 1, pp. 109-123, 2011. 

  52. 소수연, 장성숙,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2호, pp. 193-222, 2014. 

  53. R. K. Russell and T. Petrie, "Issues in training effective supervisor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Vol. 3, pp. 27-42, 1994. 

  54. D. L. Milne, "Can we enhance the training of clinical supervisors? A national pilot study of an evidence-based approach," British J. of Clinical Psychology, Vol. 17, pp. 321-328, 2010. 

  55. H. Riess and J. B. Herman, "Teaching the teachers: A model course for psychodynamic psychotherapy supervisors," Academic Psychiatry, Vol. 32, No. 3, pp. 259-264, 2008. 

  56. L. D. Borders, J. M. Bernard, H. A. Dye, M. L. Fong, P. Henderson, and D. W. Nance, "Curriculum guide for training counseling supervisors: Rational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 3, No. 1, pp. 58-80, 1991. 

  57. C. Loganbill and E. Hardy,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for clinical supervisors," The Clinical Supervisor, Vol. 1, pp. 15-21, 1983. 

  58. C. F. Newman, "Train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upervisors: Didactics, simulated practice, and meta-supervision," J. of Cognitive Psychotherapy, Vol. 27, pp. 5-18, 2013. 

  59. S. B. Baker, H. A. Exum, and R. E. Tyler,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linical supervisors in training: An investigation of the supervisor complexity model,"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 42, No. 1, pp. 15-30, 2002. 

  60. J. Majcher and J. C. Daniluk, "The process of becoming a supervisor for students in a doctoral supervision training course,"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Vol. 3, No. 2, pp. 63-71, 2009. 

  61. M. McMahon and R. Simons, "Supervision training for professional counselors: An exploratory study,"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 43, pp. 301-309, 2004. 

  62. S. D. Peace and N. A. Sprinthall, "Training school counselors to supervise beginning counselor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Vol. 22, pp. 68-74, 1998. 

  63. K. W. Nelson, M. Oliver, and F. Capps, "Becoming a supervisor: Doctoral student perceptions of the training experience,"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 46, No. 1, p.17, 2006. 

  6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Assessment of competency benchmarks work group: A developmental model for defining and measuring competence in professional psychology, Washington, DC: Author, 2007. 

  65. D. L. Milne, J. Scaife, and T. Cliffe, "How should we train effective supervisors? A British consensus on facilitating experiential learning," In Clinical Psychology Forum, Vol. 203, pp. 7-12, 2009. 

  66. 전정운, 한재희, "초심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 2607-2624, 2012. 

  67. C. A. Falender and E. P. Shafranske, "Psychotherapy-based supervision models in an emerging competency-based era: A commentary," Psychotherapy, Vol. 47, pp. 45-50,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