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f the Need for Supervision Education for Novice Superviso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573 - 594  

김명화 (명지대학교 심리재활학학과간협동과정) ,  홍혜영 (명지대학교 심리재활학학과간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취득한 5년 미만의 수퍼바이저 8명을 인터뷰하였다. 합의적 질적 연구(CQR)를 통하여 의미를 도출한 결과 '수퍼바이저로서 갖는 역할기대'와 '수퍼비전 교육받은 경험', '수퍼비전 실시과정에서 수퍼바이저로서 느끼는 경험', '수퍼바이저로서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총 4개의 영역과 12개의 하위영역, 33개의 범주로 최종 구성되었다. 첫째, 초심수퍼바이저들은, 대가들의 모습을 따뜻하고 사례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다고 보았고, 자신이 생각하는 수퍼바이저의 역할은 사례이해능력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대답하였다. 둘째, 초심 수퍼바이저들은 자신의 수퍼바이저나 대가들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퍼비전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는 높았으나, 실제로 수퍼비전 교육을 받은 경험은 많지 않았다. 셋째, 전문가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꼼꼼하게 공부하고 준비를 하지만, 수퍼바이지에게 전달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동료 수퍼비전이나 전문가에게 자문구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었고, 여전히 스스로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수퍼바이저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기 돌봄이 필요하고, 수퍼비전에 대한 교육과 수퍼비전의 가이드 및 매뉴얼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에 대한 제언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terviewed Eight novice supervisors (i.e., counselling psychologists with fewer than 5 years of experience) to investigate the need for formal supervision train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and the result found four main domains, 12 sub-d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퍼비전의 목적은 무엇인가? 수퍼비전은 상담에서 분리 된 전문적인 분야로[12], 수퍼바이저가 된다는 것은 새롭고 더 복잡한 영역으로 기술을 확장하여[3] 발달에 있어서 한 단계 더 나아가는 것이다. Bernard[68]는 수퍼바이저에 대해 교사(Teacher), 상담자(Counselor), 자문 (Consultant)의 세 가지 역할로 구분하였고[19], 수퍼비전의 목적은 규범적(normative), 발달형성(formative), 회복기능(restorative functions)으로 요약할 수 있다 [50][74].
경험이 많은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그들은 수퍼비전 발달에 대한 연구(CQR)를 실시하였는데 수퍼비전을 수행하면서 겪는 주요 어려움으로, 부족한 수퍼바이지의 역량, 광범위한 윤리적 문제, 수퍼바이저의 특성, 수퍼바이저의 역전이, 수퍼비전 내 관계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그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관계맺기(relational-명명하기, 조율하기, 실수인정하기, 예측하기, 병렬적 프로세스 탐색), 숙고하기(reflective-주의깊게 모니터링하기, 수퍼비전하기, 사례개념화하기, 역전이 인식하기), 대면하기(confrontative-직면하기),회피하기(avoidant interventions- 철회하기)의 4가지 요인으로 설명하였다.
수퍼비전이란 무엇인가? 수퍼비전은 “뚜렷하게 구분되는 전문적인 활동”[8], “개입”[4] 그리고 경험이 적은 수퍼바이지가 현장의 경험이 “풍부한” 수퍼바이저를 참고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9-11]. 수퍼비전은 일생동안 계속되는 활동[61] 으로 상담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경험을 통합시키고, 상담자 훈련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교육방 법이므로 상담 분야의 전문성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64]. 수퍼비전은 상담에서 분리 된 전문적인 분야로[12], 수퍼바이저가 된다는 것은 새롭고 더 복잡한 영역으로 기술을 확장하여[3] 발달에 있어서 한 단계 더 나아가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7)

  1. L. D. Borders, C. S. Cashwell, and J. P. Rotter, "Supervision of counselor licensure applicants: A comparative study,"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35, pp.54-69, 1995. 

  2. M. H. Ronnestad, D. E. Orlinsky, B. K. Parks, and J. D. Davis, "Supervisors of psychotherapy: Mapping experience level and supervisory confidence," European Psychologist, Vol.2, pp.191-201, 1997. 

  3. R. Goodyear, J. W. Lichtenberg, K. Bang, and J. B. Gragg, "Ten changes psychotherapists typically make as they mature into the role of supervis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70, No.11, pp.1042-1050, 2014. 

  4. J. M. Bernard and R. K. Goodyear,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2014. 

  5. www.krcpa.or.kr/default.asp 

  6. http://www.counselors.or.kr/ 

  7. 이홍숙, 최한나,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력 수준에 따른 수퍼비전 수행과 성과의 차이,"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679-1698, 2013. 

  8. C. A. Falender and E. Shafranske, Clinical supervision: A competency-based approac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9. M. Gilbert and K. Evans, Psychotherapy supervision, McGraw-Hill International, 2000. 

  10. Carlo Perris "Supervising Cognitive Psychotherapy and Training Supervisors,"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Quarterly, Vol.8, No.2, pp.83-103, 2000. 

  11. M. Townend, L. Iannetta, and M. H. Freeston, "Clinical supervision in practice: A survey of UK cognitive behavioural psychotherapists accredited by the BABCP,"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Vol.30, No.04, pp.485-500, 2002. 

  12. H. A. Dye and L. D. Borders, "Counseling supervisors: Standards for prepar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69, No.1, pp.27-29, 1990. 

  13. Jason Thomas Duffy, Douglas A. Guiffrida "The Heroic Supervisor: Using the Hero's Journey to Facilitate Development in Supervisors-in-Training," The Clinical Supervisor, Vol.33, pp.144-162, 2014. 

  14. J. M. Bernard and R. K. Goodyear,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009. 

  15. Counsel for Accreditation of Counseling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CACREP). 2009 standards for accreditation. Retrieved from http://www.cacrep.org/wp-content/uploads/2013/12/2009-Standards.pdf 

  16. M. H. Ronnestad and T. M. Skovholt, "En modell for utvikling og stagnasjon hos terapeuter/rdgivere(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stagnation of therapist/ counselors)," Journal of the Norweg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idsskrift for Norsk Psykologforening, Vol.28, pp.555-567, 1991. 

  17. M. H. Ronnestad and T. M. Skovholt, "Supervision of beginning and advanced graduate student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71, No.4, pp.396-405, 1993. 

  18. AAMFT: American Association of Mmrriage and Family Therapy. 

  19. 김계현, "상담교육방법으로서의 개인 슈퍼비젼 모델에 관한 복수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4권, 제1호, pp.19-53, 1992. 

  20. 소수연, 장성숙,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2호, pp.222-253, 2014. 

  21. 라수현, 이유정, 최명식, "수퍼바이저들의 수퍼바이지 평가 항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연구," 인간이해, 제33권, 제1호, pp.103-122, 2012. 

  22. 방기연, "상담심리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2호, pp.233-254, 2006. 

  23. 강민지, 근거이론에 의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4. 권경인, 김창대, "집단상담: 한국 집단상담가의 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제8권, 제3호, pp.979-1010, 2007. 

  25. http://www.snue.ac.kr/education 

  26. http://nursing.snu.ac.kr/academics/undergraduate/curriculum 

  27. http://www.youthcounselor.or.kr/file/ 

  28. 전정운, 초심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발달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9. 심흥섭, "상담슈퍼비젼에 대한 소고," 人間理解, 제17권, pp.1-14, 1996. 

  30. 지승희,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과정 및 변화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1. 

  31. 박승민, "상담학 분야의 질적 연구 경향 분석.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953-977, 2012. 

  32. C. E. Hill, "Introduction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 C. E. Hill (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pp.3-2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33. C. E. Hill, S. Knox, B. J. Thompson, E. N. Williams, S. A. Hess, and N. Ladan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No.2, pp.196-205, 2005. 

  34. 전정운, 한재희, "초심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2607-2624, 2012. 

  35. D. M. Kivlighan, and S. T. Quigley, "Dimensions used by experienced and novice group therapists to conceptualize group proces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8, pp.415-423, 1991. 

  36. Len Jennings, Michael Goh, Thomas M. Skovholt, Matthew Hanson, and Devjani Banerjee-Stevens, "Multipl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he Expert Counselor and Therapis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30, No.1, pp.59-72, 2003. 

  37. Thomas M. Skovholt and Michael H. Ronnestad, "Struggles of the Novice Counselor and Therapis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30, No.1, pp.45-58, 2003. 

  38. 지승희, 주영아, 김영혜, "수퍼비전 경험과 되고 싶은 수퍼바이저 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학연구, Vol.15, No.5, pp.1671-1693, 2014. 

  39. 유성경, 두경희, 김은하, 정여주, "수퍼비전 형식, 방법 및 내용에 대한 수퍼바이지 인식,"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907-1927, 2009. 

  40. 허재경, 김지현,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통한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 탐색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719-740, 2009. 

  41. Yogev Sara; Pion, Georgine M "Do supervisors modify psychotherapy supervision according to supervisees' levels of experience?," American Psychotherapy Association, Vol.21, No.2, pp.206-208, 1984. 

  42. L. DiAnne Borders, "The Good Supervisor," ERIC Digest, EDO-CG-94-18. April. 1994. 

  43. KrisUn L. Barnes, "Applying Self-Efficacy Theory to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A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ProQuest Psychology Journals, Vol.44, No.1, pp.56-69, 2004. 

  44. Allen K. Hess, Kathnyn D. Hess, and Tanya H. Hass, ".PSYCHOTHERAPY SUPERVIS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008. 

  45. Sangganjanavanich, Varunee Faii; Black, Linda L. "Clinical supervision for international counselors-in-training: implications for supervisors," Journal of Professional Counseling; Practice, Theory and Research, Vol.37, pp.52-65, 2009. 

  46. Thomas M. Skovholt and Michael Helge Ronnesta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70, pp.505-515, 1992. 

  47. M. King, O. Davidson, F. Taylor, A. Haines, D. Sharp, and R. Turner, "Effectiveness of teaching general practitioners skills in brief cognitive behaviour therapy to treat patients with depressio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4, pp.947-950, 2002. 

  48. S. T. Walters, S. A. Matson, J. S. Baer, and D. M. Ziedonis, "Effectiveness of workshop training for psychosocial addiction treatm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29, No.4, pp.283-293, 2005. 

  49. D. Westbrook, A. Sedgwick-Taylor, J. Bennett-Levy, G. Butler, and F. McManus, "A pilot evaluation of a brief CBT training course: Impact on trainees' satisfaction, clinical skills and patient outcomes,"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Vol.36, No.05, pp.569-579, 2008. 

  50. P. K. Gordon, "Ten steps to cognitive behavioural supervision," The Cognitive Behaviour Therapist, Vol.5, No.04, pp.71-82, 2012. 

  51. 이숙영, 김창대,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敎育學硏究, 제40권, 제2호, pp.231-250, 2002. 

  52. 이윤주, "상담 사례개념화 요소목록 개발 및 수퍼비전에서 중요하게 지각되는 사례개념화요소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1호, pp.79-93, 2001. 

  53. 소수연, 장성숙,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 연구," 상담학연구, 제12권, 제3호, pp.1051-1067, 2011. 

  54. 송은화, 정남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도와 실태, 만족도 연구-숙련과정에 있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2호, pp.317-334, 2005. 

  55. 이동혁, 유성경, "상담연구의 주제 및 연구 대상 분석: 학위논문 및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8권, 제1호, pp.37-58, 2000. 

  56. 조성호, "상담심리학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4호, pp.811-832, 2003. 

  57. 김지연, 김광웅, "국내의 상담 수퍼비전 연구 고찰,"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1권, 제4호, pp.1-22, 2008. 

  58. 홍지영,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59. 홍지영,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9권, 제4호, pp.1489-1504, 2008. 

  60. 오효정, 최한나, "초보 수퍼바이저가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상담학연구, 제16권, 제5호, pp.75-94, 2015. 

  61. William Farrell,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Ray Woolfe & Windy Dryden, ed. London:Sage, 1996. 

  62. 최해림, 김영혜,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상담심리 석, 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4호, pp.713-729, 2006. 

  63. 손진희, "수퍼바이지 행동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연구," 상담학연구, 제5권, 제2호, pp.243-261, 2004. 

  64. 심수명, "상담자 발달수준에 따른 수퍼비전의 통합 모델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 제10권, pp.187-233, 2008. 

  65. 방기연,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에 대한 고찰," 연세교육연구, 제15권, 제11호, pp.119-131, 2002. 

  66. 방기연, "상담 수퍼비전에서 제기되는 윤리적인 문제들," 가족과 상담, 제2권, 제1호, pp.1-16, 2012. 

  67. 문수정, 김계현, "상담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18, 2000. 

  68. Jennifer S. Ripley, Latrelle D. Jackson, and Rhonda L. Tatum Edwrd, "A Developmental Model of Supervisee Religious and Spiritual Development,"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Vol.26, No.4, pp.298-306. 

  69. Shim, S. Sangkwon, "Cultural landscapes of pastoral counseling in Asia: The case of Korea with a supervisory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Pastoral Counseling, Vol.5, pp.77-97, 2008. 

  70. 이소연, 최바울, 이정선, 서영석,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상담수련생의 전문적 역량의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2호, pp.245-270, 2014. 

  71. 김진숙, "성찰적 수퍼비전 접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4호, pp.673-694, 2006. 

  72. N. Ladany, S. Morotta, and J. L. Muse-Burke, "Counselor experience related to complexity of case conceptualization and supervision preference,"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Vol.40, pp.203-219, 2001. 

  73. 전정운, 초심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4. F. Inskipp and B. Proctor, The Art, Craft and Tasks of Counselling Supervision Part 1: Making the Most of Supervision, Twickenham. UK:Cascade. 

  75. L. DIANNE BORDERS, "A Systematic Approach to Peer Group Supervis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69, pp.248-252, 1991. 

  76. G. M. Hart, The process of clinical supervision.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1982. 

  77. S. A. Roth, "Peer supervision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 analysis and critique. The Clinical supervisor, Vol.4, pp.159-168, 1986. 

  78. M. D. Paul Rodenhaljser, "Toward a Multidimensional Model for Psychotherapy Supervision Based on Developmental Stages," The Journal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Vol.3, pp.1-15, 1994. 

  79. 소수연, 수퍼바이저의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탐색과 수퍼비전 수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80. Clara E. Hill, Catherine Sullivan, Sarah Knox, Lewis Z. Schlosser, "Becoming Psychotherapists: Experiences of Novice Trainees in a Beginning Graduate Class," Education Faculty Research and Publications, Vol.12, No.1, pp.1-34, 2007. 

  81. S. M. Kilminster and B. C. Jolly, "Effective supervision in clinical practice settings: a literature review," MEDICAL EDUCATION, Vol.34, pp.827-840, 2000. 

  82. Marna S. Barrett and Jacques P. Barber, "A Developmental Approach to the Supervision of Therapists in Training,"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Vol.35, No.2, pp.169-183, 2005. 

  83. Nicola Gazzola, Anne Theriault, "Relational Themes in Counselling Supervision: Broadening and Narrowing Processes," Canadian Journal of Counselling, Vol.41, No.4, pp.228-243, 2007. 

  84. A. K. Hess, The interpersonal approach to supervision. In C. E. Watkins, Handbook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New York: Wiley, pp.63-83, 1997. 

  85. Nadine Pelling, "The Relationship of Supervisory Experience, Counseling Experience, and Training in Supervision to Supervisory Identity Development," Int J Adv Counselling, Vol.30, pp.235-248, 2008. 

  86. L. D. Borders, L. M. Raincy, L. B. Crutchficld, and D. W. Martin, "Impact of counseling supervision course on doctoral students' cognition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35, pp.204-217, 1996. 

  87. 장세미, 장성숙,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요소 연구: 수퍼바이저 발달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요인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pp.488-50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