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비자요구도 조사
Consumer's Needs for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Self Care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729 - 740  

전재희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희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374명의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소비자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46.2세였다. 만성 B형간염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경로는 인터넷(41.3%), 의료진(23.8%), TV(15.6%) 순이었고 스마트폰은 6.2%에 불과하였다.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 이유는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이 없어서'(75.9%), '정보를 믿을 수 없어서'(15.0%)로 답하였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사용 의도는 '활발히 사용하겠다'(59.9%), '필요시 사용하겠다'(33.2%)로 조사되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요구되는 기능은 '질병 관련 지식 전달'(27.1%), '투약달력'(16.8%), '정보에 대한 참고문헌'(15.5%), '검사결과 기록'(14.6%) 등이었다. 나이 및 교육 정도에 따른 스마트폰 활용능력은 차이가 있었으나 스마트폰 개발 필요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나이 및 교육 정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요구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이에, 나이와 교육수준을 고려한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eeds of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self care performance of 37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6.2 years. The patients obtained information about chronic hepatitis B from the internet (41.3%), nurses or doc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애플리케이션 이용 실태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요구하는 콘텐츠를 조사하였고, 만성 B형간염 환자의 나이와 교육수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및 개발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소비자 요구도를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며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내용 및 콘텐츠 등의 요구도를 분석하여 IT 시대에 발맞추어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유헬스 서비스를 위한 초석을 마련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소비자 요구도 조사를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대상자들은 나이와 교육 수준에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개발 시 사용의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대상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실태 및 콘텐츠 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소비자요구도 조사를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B형간염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경로 중, 인터넷이 차지하는 비율은? 2세였다. 만성 B형간염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경로는 인터넷(41.3%), 의료진(23.8%), TV(15.
기존의 만성 B형간염에 대한 관리 프로그램의 한계점은? 하지만 만성 B형간염 보균자이나 본인이 감염되어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알고 있는 경우는 1/4 정도에 불과하며[4], 스스로 인식하고 있더라도 증상이 없다는 이유로 또는 바쁘다는 이유 등으로 정기적인 병원진료 및 자가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5]. 또한, 기존의 만성 B형간염에 대한 관리 프로그램은 일부 병원에서 치료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프로그램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어[6] 대중들이 손쉽게 교육 프로그램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만성 B형간염 환자는 증상이 없더라도 규칙적인 자가간호가 필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이를 도와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만성 B형간염 환자의 경우 발병 초기부터 평생에 거쳐 병원 정기검진 및 일상생활 관리 등 자가간호를 적극적으로 해야하는 이유는? 5명으로 감소 하였으나 전체 유병률은 7위에서 6위로 증가하였다. 또한, 전체 암 사망률 중 간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여전히 2위를 차지하고 있다[1]. 간암의 주요 원인 중 70% 정도는 B형간염으로 알려졌는데[2], 만성 B형간염에 걸리면 20∼30% 정도에서 간 경변, 간세포암 등의 만성 간 질환으로 진행하여 사망하게 된다[3]. 그러므로 만성 B형간염 환자의 경우 발병 초기부터 평생에 거쳐 병원 정기검진 및 일상생활 관리 등 자가간호를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중증 간 질환으로의 이환을 예방해야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2. 

  2. http://www.who.int/csr/disease/hepatitis/en 

  3. 미생물면역분과위원회, 신종합미생물학. 3rd ed, 신일북스, 2008. 

  4. 대한간학회,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2011. 

  5. 대한간학회 한국간재단, 간질환 바로알기, 2012. 

  6. 양진향, "만성 B형간염 환자를 위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42권, 제2호, pp. 258-269, 2012. 

  7. A. S. Miller, J. A. Cafazzo, and E. Seto, "A game plan: Gamification design principles in mHealth applications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Health Informatics J, 2014, 1460458214537511. 

  8. R. G. Jahns and P. Houck, Mobile Health Market Report 2013-2017, 2013. 

  9. http://www.e-allergy.org 

  10. B. Martinez-Perez, I. Torre-Diez, M. Lopez-Coronado, and J. Herreros-Gonzalez, "Mobile Apps in Cardiology: Review," JMIR mhealth and uhealth, Vol. 1, No. 2, p.15, 2013. 

  11. J. A. C. Martin, B. Martinez-Perez, I. Torre-Diez, and M. Lopez-Coronado, "Economic Impact Assessment from the Use of a Mobile App for the Self-management of Heart Diseases b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n a Spanish Region," J Med Syst, Vol. 38, No. 9, pp. 1-7, 2014. 

  12. E. Jeon and H. Park,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clinical-guidelinebased obesity management,"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21, No. 1, pp. 10-20, 2015. 

  13. 김헌성, 조재형, 최윤희, 오정아, 이진희, 윤건호, "만성 질환자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 한국통신학회지, 제27권, 제9호, pp. 3-8, 2010. 

  14. M. R. C. Cuenca, M. A. R. Cortes, M. D. C. Cuenca, and R. M. Verdugo, "A better regulation is required in viral hepatitis smartphone applications," Farm Hosp, Vol. 38, No. 2, pp. 112-117, 2014. 

  15. J. Wang, Y. Wang, C. Wei, N. Yao, A. Yuan, and Y. Shan, "Smartphone Interventions for Long-Term Health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 Integrative Review," Telemedicine and e-Health, Vol. 20, No. 6, pp. 570-583, 2014. 

  16. 이정은, 김소선, 김선아, 한광협, 김수현, 지은주, 오의금, "만성 B 형 간염환자의 건강행위 수준 및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20-30, 2011. 

  17. G. X. Ma, S. E. Shive, J. I. Toubbeh, Y. Tan, and D. Wu,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hinese hepatitis B screening and vaccina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Vol. 32, No. 2, pp. 178-187, 2008. 

  18. 오선주, "사용자 유형에 따른 모바일 앱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6권, 제1호, pp. 73-88, 2014. 

  19. 이은옥 외, 연구논문 분석과 실무 적용, 군자출판사, 2007. 

  20. 전재희, 김경희,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측정도구 개발," J.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3호, pp. 1599-1617, 2015. 

  21. 김숙배, 김정원, 김미현, 조영숙, 김세나, 임희숙, 김순경, "임신부의 건강식생활 가이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비자요구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8권, 제6호, pp. 588-598, 2013. 

  22. 김매자, 이선옥, 신계영, 김은경, 장미라,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관리실태 및 교육요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57-67, 2002. 

  23. N. S. Chung, O. S. Kwon, C. H. Park, Y. N. Kim, G. H. Cho, and J. J. Lee,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caused by hepatitis B virus, alcohol, or combination of hepatitis b virus and alcohol," Korean J Gastroenterol, Vol. 49, No. 6, pp. 369-375, 2007. 

  24. C. J. Lai, T. T. Nguyen, J. Hwang, S. L. Stewart, A. Kwan, and S. J. McPhee, "Provider Knowledge and Practice Regarding Hepatitis B Screening in Chinese-Speaking Patients," J. of Cancer Education, Vol. 22, No. 1, pp. 37-41, 2007. 

  25. 양진향, "만성 B 형간염 환자의 자가관리 이행에 대한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520-528, 2011. 

  26. M. R. C. Cuenca, M. D. C. Cuenca, and R. M. Verdugo, "Availability and medical professional involvement in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related to pathophysiology and pharmacotherapy of HIV/AIDS," European J. of Hospital Pharmacy: Science and Practice, ejhpharm-2013. 

  27. S. Shin,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nnovative servic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s on receptive attitude, Hong-Ik University, 2010. 

  28. C. Pettey and B. Tudor, Gartner says android to become no.2 worldwide mobile operating system in 2010 and challenge symbian for no.1 position by 2014, 2014. 

  29. http://www.research2guidance.com/shop/index.php/downloadable/download/sample/sample_id/262/ 

  30. S. R. Jafri and A. S. Lok, "Antiviral therapy for chronic hepatitis B," Clin Liver Dis, Vol. 14, No. 3, pp. 425-438, 2010. 

  31.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Vol. 18, No. 2, pp. 109-162, 2012. 

  32. 권경미, 김아람, 김승인, "사용성 평가를 통한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3호, pp. 391-39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