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외 코호트 사업 고찰 및 한의학 코호트 구축
Review on Cohort Projects in Domestic and Overseas and Establishment of Cohort on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0 no.1, 2016년, pp.65 - 73  

김지영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고광필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  유종향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rends of cohort project in domestic and overseas,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hort on korean medicine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Methods : The papers which include cohort in the title and published by 2015 were searched using PubMed. In or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4년부터 사상체질 유전체 코호트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나, 장기간 추적조사로 이어지지 못한 채 조기 종료되었다23). 2013년부터 고혈압 중재 코호트 연구가 한국한의학연구원 주도로 진행 중에 있으며, 폐경기 고혈압 위험군 여성을 대상으로 침요법의 장기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본 연구의 경우 중재연구의 성격이 강하여 교과서적 의미의 관찰 코호트 연구로 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이러한 필요성을 근간으로 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대전대학교 교직원 코호트(이하 대전대 교직원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대전대 교직원 코호트는 한의학을 표방한 국내 최초의 코호트로서 일회성 자료 수집을 통해 획득한 단면적인 정보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대상자의 시계열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대상자의 건강상태 및 질병 상태의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한의학적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의학적 진단 지표로서 망문문절(望聞問切)의 사진(四診)에 따라 프로토콜 및 증례 기록지(Case Report Form, CRF)를 개발하였고, 한열, 체질, 미병 정보와 같은 한의학 정보와 기본 인구학적 정보, 운동, 생활습관을 포함한 설문 정보와 함께 맥파, 심박변이도, 체성분, 골밀도, 설사진과 같은 기기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코호트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의 기반 코호트 연구의 필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코호트 사업의 연구 목적, 연구기간, 대상자, 수집항목, 성과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코호트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의학 관련 코호트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 외, 국내외 코호트 역사 및 국내에서 진행된 한의학 기반 코호트 연구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각 코호트 사업의 홈페이지와 전통의학 검색엔진 오아시스를 참고하여 내용을 정리하였다.
  •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정밀의학 도입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에서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정밀하고 정확한 치료법 개발을 위해 정밀의료코호트프로그램(The PMI Cohort Program, PMICP)을 추진 중에 있다31). 최소 백만 명 이상의 코호트 구축을 통한 강력한 통계 검증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질병연구 및 환경과 유전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연구를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2-33).
  • 코호트 소개 논문으로 분류할 수 있는 67편을 선별하여, 대상자 분류 및 국가별 코호트 진행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선별된 논문에서 대상자를 크게 생애 주기별로 구분 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출생, 아동, 성인, 노인으로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외 여성, 쌍둥이에 대한 연구로 구분이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호트는 어떤 연구 방법인가요? 코호트는 대상자들을 추적 관찰하여 사망, 질병의 유병, 생물학적 측정 또는 건강 상태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 나이, 환경 노출 같은 변화하는 요인에 따라 대상자들의 건강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1).
대전대학교 교직원 코호트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러한 필요성을 근간으로 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대전대학교 교직원 코호트(이하 대전대 교직원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대전대 교직원 코호트는 한의학을 표방한 국내 최초의 코호트로서 일회성 자료 수집을 통해 획득한 단면적인 정보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대상자의 시계열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대상자의 건강상태 및 질병 상태의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한의학적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의학적 진단 지표로서 망문문절(望聞問切)의 사진(四診)에 따라 프로토콜 및 증례 기록지(Case Report Form, CRF)를 개발하였고, 한열, 체질, 미병 정보와 같은 한의학 정보와 기본 인구학적 정보, 운동, 생활습관을 포함한 설문 정보와 함께 맥파, 심박변이도, 체성분, 골밀도, 설사진과 같은 기기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정밀의학은 무엇인가요? 최근 미국 오바마 정부는 정밀의학추진계획(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PMI)을 우선정책과제로 2016년부터 100만 명 이상의 대규모 코호트를 구축 중에 있다. 정밀의학은 미래 의학의 핵심 개념으로 의료와 관련된 정보뿐 아니라 진단부터 치료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환자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 유전, 환경,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축적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치료법을 도출2)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의 정밀의학추진계획 발표에 이어, 중국도 2015년 3월 정밀의학 연구를 위한 계획을 발표하였고 확정되지 않았지만 15년간 약 11조 규모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Jonathan M. Samet and Alvaro Munoz. Evolution of the Cohort Study. Epidemiol Rev. 1998;20(1):1-14. 

  2. http://www.nih.gov/precision-medicine-initiative-cohort-program 

  3. Cyranoski D. China embraces precision medicine on massive scale. Nature 529. 6 Jan. Vol. 529;9. 

  4. 한지연. 암 유병률 고려 대규모 암 정밀의료 코호트 구축 계획: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동향. Vol. 47. 2015;10-12. 

  5. 한재민, 양웅모. 한의학과 개인맞춤의학에 대한 소고; 변증논치에 근거한 '증 기반 개인맞춤의학'. 대한한의학회지. 2014:35(3):40-48. 

  6. 이은경, 송애진, 정명수. 중국의 치미병사업에 관한 고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4;18(2):47-58. 

  7.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의료기술연구그룹. 한의임상정보편람 체질정보은행 증례 백서. Vol.3. 2014; 42. 

  8. Ralph B. Epidemiological Background and Design : The Framingham Study. Reprinted from th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Sesquicentennial Invited Paper Sessions. 1989 & 1988. 

  9. https://www.framinghamheartstudy.org/index.php 

  10. Doll R, Hill AB. The mortality of doctors in relation to their smoking habits. Brit Med J. 1954;1(4877):1451-1455. 

  11. Doll R, Peto R, Boreham J, Sutherland I. Mortality from cancer in relation to smoking: 50 years observations on British doctors. Brit J Cancer. 2005;92:426-429. 

  12. http://www.channing.harvard.edu/nhs/?page_id70 

  13. Graham A. Colditz, Susan E. Hankinson. The Nurses' Health Study: lifestyle and health among women. Nat Rev Can. 2005;5;388-396. 

  14. http://www.mc.vanderbilt.edu/swhs-smhs/ 

  15. Zhng W, Chow W.H., Yang G, Jin F, Rothman N, Blair A, Li H.L., Wen W, Ji B.T., Li Q, Shu X.O., Gao Y.T. The Shanghai Women's Health Study: Rationale, Study Design,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Am. J. Epidemiol. 2005;162(11):1123-1131. 

  16. Chen Z, CHen J, Collins R, Guo Y, Peto R, Wu F, et al. China Kadoorie Bio -bank of 0.5 million people: survey methods,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follow-up. Int J Epidemiol. 2011;40:1652-1666. 

  17. 오희철. 남정모. 이선희. 농약사용과 사망률과의 관계에 대한 코호트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1;24(3): 390-399. 

  18. Yoo KY, Shin HR, Chang SH, Lee KS, Park SK, Kang D, Lee DH.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Study including a biological materials bank (KMCC-I). Asian Pac J Cancer Prev. 2002; 3(1): 85-92. 

  19. Yoo KY, Shin HR, Chang SH, Choi BY, Hong YC, Kim DH, et al. Genomic epidemiology cohorts in Korea: present and the future. Asian Pac J Cancer Prev. 2004;6(3):238-243. 

  20. http://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24542&viewTypeCDC&menuIdsHOME001-MNU1215-MNU1216-MNU1307 

  21. 박소연, 김연정, 이은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역학자료 온라인 분양 절차 소개: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감염병 감시과. 주간건강과 질병: 질병관리본부. 2015;8(21): 481-484. 

  22. 박만석. 안성.안산 지역사회 코호트 2차 추적조사 보고서. 질병관리본부 유전체센터 유전체 역학팀. 2008;37-50. 

  23. 오혜원, 고병희. 체질진단의 과학화 방안. 경희의학. 2014;29(1):37-46. 

  24. 윤우영, 유준상, 박종구. 사상체질과 대사증후군 유발에 관한 코호트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13; 25(1):1-13. 

  25. 송학수, 최재완, 유준상, 박종구. 원주농촌코호트에서 사상체질별 심혈관위험인자와 골다공증의 관계. 사상체질의학회지. 2013;25(2) :81-97. 

  26. 신철. 사상체질 분류 향상 및 임상,유전정보 교류 협력을 위한 연구수행 표준화에 대한 예비연구. 전통 체질의학에 기반한 진단 및 약물치료 시스템 개발 연차실적 계획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27. 고병희. 사상체질코호트. 학술용역사업보고서. 질병관리본부. 2006;1-23. 

  28. 최선미. 고혈압 위험군 한의학 예방관리 기술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 2014;130-131. 

  29. Goldacre M. The role of cohort studies in medical research.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1;10:5-11. 

  30. 최기춘, 박일수, 한은정, 이정면, 백수진. 국민건강보험 코호트 구축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0;57-71. 

  31. Jaffe S. Planning for US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underway. Lancet. 2015;385:2448-2449. 

  32.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PMI) Working Group Report to the Advisory Committee to the Director. The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Cohort Program-building a research foundation for 21st century medicine. NIH, September 17, 2015;1-23. 

  33. 문상훈, 김영진, 김봉조. 미국 정밀의료 프로젝트 소개: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감염병 감시과. 주간건강과 질병: 질병관리본부. 2016;9(4): 70-72. 

  34. 김상혁, 주종천, 황동욱, 이시우. 중의체질의학과 치미병(治未病)센터에 대한 보고. 사상체질의학회지. 2010;22(3):59-66. 

  35. 이은규, 김청식, 강성임, 김정기. 코호트연구 우수성과 50선.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역학과. 2015.12. 

  36. 신명희. 코호트 추적조사 자료 질 관리 및 통합 전략 수립. 최종결과 보고서. 질병관리본부. 2014;5-10. 

  37. 백영화, 진희정, 김호석, 장은수, 이시우. 체질정보은행 구축현황에 관한 소고. 사상체질의학회지. 2012;24(2):47-53. 

  38. 이시우. 미병의 분류기준 및 관리기술 개발 기반연구. 연차실적.계획서. 한국한의학연구원. 2015. 

  39. 안윤진. 간호사 건강연구: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감염병 감시과. 주간건강과 질병: 질병관리본부. 2013;6(20):392-394. 

  40. Singh J.A., Shah N, Edwards N.L. A crosssectional internet-based patient survey of the management strategies for gout.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6;16: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