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폭력 가해 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유형
Subtypes based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4, 2016년, pp.459 - 469  

이미영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장은진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 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6요인(인지충동성, 무계획충동성, 우울, 불안, 또래동조성, 주장성), 19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86명의 가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74명의 자료로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 '충동적 취약성 유형(군집1)', '정서적 취약성 유형(군집2)', 그리고 '사회적 취약성 유형(군집3)'으로 명명하였다. 각 군집의 특성은 첫째, 군집1은 다른 집단에 비해서 인지충동성과 무계획충동성의 점수는 높은 반면, 우울과 불안 점수는 낮았다. 둘째, 군집2는 다른 집단에 비해서 우울과 불안 점수는 높은 반면, 인지충동성과 무계획충동성 점수는 낮았다. 셋째, 군집3은 다른 집단에 비해서 또래동조성 점수는 가장 높았으며 동시에 주장성 점수는 가장 낮은 반면, 인지충동성과 무계획충동성, 우울과 불안은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에서 가해학생들을 지도하고 상담하는 교사들 및 상담자들과 보호자에게 가해학생들의 심리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개입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ubtypes of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lassify the students, questionnaires/interviews which consist of 6 factors (Cognitive Impulsivity, Unplanned Impulsivity, Depression, Anxiety, Peer Co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학교폭력 행위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폭력적인 행위를 유발하는 핵심적인 심리 기제에 초점을 맞추어 유형을 구분함으로써 심리적인 개입 및 치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 행동을 유발하는 서로 다른 핵심 기제를 적용하여, 학교폭력 가해 학생들의 심리적인 특성에 따른 유형을 구분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의 추세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은 오랫동안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1]. 학교폭력이 저 연령화, 집단화, 교묘화, 지속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2], 사이버 괴롭힘의 급증, 가해학생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둔감화, 피해학생이 가해학생으로 변하는 폭력의 악순환, 성추행과 성폭력의 점진적 증가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3].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14)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학교폭력 가해율은 2007년에 15.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은 오랫동안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1]. 학교폭력이 저 연령화, 집단화, 교묘화, 지속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2], 사이버 괴롭힘의 급증, 가해학생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둔감화, 피해학생이 가해학생으로 변하는 폭력의 악순환, 성추행과 성폭력의 점진적 증가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3].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14)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학교폭력 가해율은 2007년에 15.
가해 학생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요인별로 살펴보면 어떠한가? 지금까지 연구된 가해 학생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요인별로 살펴보면, 충동성과 공격성, 불안과 우울, 낮은 자아존중감, 낮은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의 부족, 신체적·정신적 장애,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의 부족, 스트레스 등과 같은 개인 요인[5,6], 부모의 독재적․ 방임적 양육방식, 부모와 자녀 간의 부정적인 관계, 부모의 불화, 부모의 지시와 감독의 부재 등과 같은 가족 기능과 관련된 가정 요인[7,8,9,10], 교사와의 부정적인 관계, 교사의 체벌, 부정적인 학교환경과 같은 학교 요인[2,11], 부정적인 또래관계, 또래동조성, 비행또래집단과의 접촉 등과 같은 또래 요인[12,2], 그리고 대중매체에서의 폭력, 유해환경, 경쟁적 사회풍토,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등과 같은 지역사회 요인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2,11]. 학교폭력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을 한 최운선(2005)의 연구에서, 가해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 중에서 개인 변인이 학교폭력 가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orea Association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School Violence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Seoul: Yangseowon. 2013. 

  2. Youth Violence Prevention Foundation. "2013 Press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Survey on School Violence". 2014. 

  3. J. J. Jeong. "Ecological consideration of factors inducing school violenc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Vol. 11, No. 3, pp. 331-350. 

  4. Bender, D., & Losel, F. "Bullying at school as a predictor of delinquency, violence and other anti-social behavior in adulthood". Criminal Behavior and Mental Health, Vol. 21, No. 2, pp. 99-106. 2011. 

  5. Y. S. Kim. "Influencing factors on bullying of elementary school pupil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6. H. J. Park, M. K. Jeong, J. H. Park. "Research on development of program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7. 

  7. H. J. Kang. "Studies on the rearing of parents and school violence of children :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chool social worker for parent interven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1998. 

  8. S. C.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concept and school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0. 

  9. M. S. Oh.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97-203, 2015. 

  10. C. O. Jang, "A Study on Convergence Family Function and parameter validation fusion of youth protect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21-126, 2015. 

  11. W. S. Choi. "The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school violence".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0, No. 2. pp. 95-111. 2005. 

  12. K. S. Kim. "The relations among attachment, peer conformity and mass bully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y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4. 

  13. S. Y. Han.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esteem and shame and their relationship to aggression in bully and bully-victim groups".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Vol. 17, No. 1, pp. 125-143. 2010. 

  14. Schwartz, D. "Subtypes of victims and aggression in children's peer group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 28, pp. 181-192. 2000 

  15. H. W. Kim, H. K. Lee.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behaviors of bullies and victims at school bullying".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4, No. 1. pp. 45-64. 2000. 

  16. Elliott, D. "The assumption that theories can be combined with increased explanatory power: theoretical Integrations". In R. F. Meier (Ed.), Theoretical methods in criminology (pp. 123-149). Beverly Hills, CA: Sage. 1985. 

  17. Macklem, G. L. "Bullying and teasing: Social power in children's groups".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 2003. 

  18. M. Y. Lee, E. J. Chang,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ntex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d by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8, No. 3, pp. 115-140. 2015. 

  19. H. Y. Kim, S. K. Ann.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llies and the bullies' types in school viol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3, No. 5. pp. 19-40. 2013. 

  20. 土屋基規, 添田久美子, P.K.スミス, 折出健二 . "いじめととりくんだ國?. ミネル ヴァ書房". 2005. 

  21. Evenden, J. L. "Varieties of impulsivity". Psychopharmacology, Vol. 146, pp. 348-361. 1999. 

  22. S. K. Lee, I. S. Oh. "Analysis on mediating effects of guilt between impulsivity, aggression, and direct/relational bullying".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4, pp. 2017-2032. 2012. 

  23. H. K. Lee. "Classroom story1: Bully,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Seoul: Beopmunsa. 2000. 

  24. K. M. Kang. "Christian Counseling for Adolescence school violence". Journal of Gospel and Counseling. Vol. 16, pp. 64-92. 2011. 

  25. Anthony, E. J. "The impact of mental and physical illness on family lif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0, pp. 1779-1791. 1970. 

  26. Yen, C. F., Ko, C. H., Yen, J. Y., Tang, T. C., Chang, Y. P.,& Chung, C. P.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t aggression perpetrators, victims, and perpetrator-victims". Comprehensive Psychiatry, Vol. 51, No. 1, pp. 42-48. 2010. 

  27. Wolff, J. C., & Ollendick, T. H. "The comorbidity of conduct problems and school childr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45, No. 7, pp. 618-623. 2006. 

  28. Lloyd, M. A. "Adolescence". New York, NY: Harper & Row. 1985. 

  29. E. J. Kim." On the relation adolescents' cultural tendency,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er conformity".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eokang university. 2001. 

  30. H. K. Lee. "The effects of empathy and conformity on perception of victims and assailants of school bullying".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Vol. 16, No. 4, pp. 23-40. 2002. 

  31. Eisler, R. M., Miller, P. M., & Hersen, M. "Components of assertive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7, pp. 295-299. 1973. 

  32. G. S. You. "The effects of aggression and conformity on peer victimiza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001. 

  33. Y. T. Kim, H. S. Park. "Juvenile Parent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Youth Counseling. pp. 1-146. 1997. 

  34. Heppner, P. P., & Heppner, M. J. "The gender role conflict literature: Fruits of sustained commitment".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 36, No. 3, pp. 455-461. 2008. 

  35. S. Y. Heo, J. Y. Oh, J. H. Kim.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II th version: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1, No. 3. pp. 769-782. 2012. 

  36. K. I. Kim, J H. Kim, H. T. Won. "SCL-90-R manual". Seoul: Jungangjuksung. 1984. 

  37. K. H. Oh. "A study on the peer conformity development of child".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ookmyoung girls' university. 1990. 

  38. H. K. Lee.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the reduction of child aggression and assertion promo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yeomyoung university. 1991. 

  39. Hair, J. F., Jr., & Black, W. C. "Cluster analysis". In L. G. Grim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40. Jenkins, R. C., & Glickman, S. "Patterns of personality organization among delinquents". Neurotic Child, Vol. 6, pp. 329-339. 1960. 

  41. Schalling, D. "Psychotherapy-related personality variables and the psychophysiology of socialization". In R. D. Hare & Schalling (Eds.), Psychopathic behavior. New York: Wiley. 1978. 

  42. Y. A. Chang, Y J. Lee, B K. Song. "The effect of personality and stress on bullying of teenager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 Vol. 11, No. 1. pp. 101-119. 2007. 

  43. Gorenstein, E., & Newman, J. P. "Disinhibitory psychopathology: A new perspective and a model for research". Psychological Review, Vol. 87, pp. 301-315. 1980. 

  44. H. Y. Cho. "A study on the juvenile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ersonality trait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