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화약제 누기 감시장치의 모듈개발 및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Leakage Monitoring Module and its Performance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2, 2016년, pp.43 - 48  

손봉세 (가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  홍성호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고아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스계소화설비는 소화약제의 자연 누기와 소화설비 노후로 인한 누기 등으로 화재진압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화약제의 누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압력누기 체크센서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 모듈에 대한 성능평가를 하였다. 국내 외적으로 압력누기 감시 시스템에 대한 명확한 시험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외 유사 기준 ISO 7240, FM 1421와 국내 수신기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을 참고하여 개발 모듈에 맞게 기본 성능과 내환경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평가를 실행하였다. 기본 성능 평가는 압축공기를 모듈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최저작동 압력이 0.3 bar인 것을 확인하였다. 내환경성 검증은 통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에도 오작동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온($50^{\circ}C$) 및 저온($-10^{\circ}C$) 환경 기준에서 이상 없이 정상 작동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main problems with gaseous fire extinguishers is the decrease in fire suppression capability due to the leakag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s, either naturally or caused by obsolete equi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real-time detector module for monitoring pressure leakages was d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도 가스계소화설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며 그 동안 연구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팬 실험(door fan test)을 통해 방호구역 내의 누기 면적과 설계농도 유지시간을 확인함으로써 가스계소화설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를 하였다(5). 또한 가스계소화설비의 누출되는 소화약제의 양은 개구 면적뿐만 아니라 개구부의 위치, 소화약제의 농도 및 누출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 또한 로드셀을 이용하여 소화약제량 감시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일부 개발되어 있지만 정밀하게 약제량의 누기를 감시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평가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 기준을 참고하여 압력누기 감시장치에 최적화된 성능 검증 기준을 마련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소방시설 설치 ·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는 전기실, 변 · 발전실, 축전지실, 통신기기실, 전산실,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용도의 방호구역으로 바닥면적이 300 m2 이상인 경우에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2). 따라서 이산화탄소가스, 할로겐화합물소화약제, 청정소화약제 등을 사용하여 특수방호구역인 전기실, 발전실, 전산실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가스계소화설비에 대한 성능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소화설비는 인명안전과 재산피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완벽한 시공에 의한 작동 및 신뢰성이 요구되는 소화설비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용기밸브에 압력체크센서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약제 누기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네트워크 기술에 접목하여 중앙감시센터나 원격관리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상황이 모니터링 되며, 이상상태 시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 경우 사람이 직접 점검하기 때문에 휴먼에러가 발생될 수 있으며, 관리 비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을 보완할 수 있는 압력누기 감시장치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화 약제를 점검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현행법상 가스소화설비의 소화약제는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5%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할 경우(불활성가스 청정소화약제는 압력손실 5% 초과 시)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2). 소화 약제를 점검하는 방법으로는 약제용기의 무게를 저울 등으로 직접 측정하는 중량 측정법과 액화가스 레벨메터를 이용한 측정법 등이 있다. 이러한 기존 소화약제량 점검 방법은 인력의 과다 투입 및 현장 접근을 통하여 확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서술하는 가스계소화설비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가스계소화설비는 소화약제의 자연 누기와 소화설비 노후로 인한 누기 등으로 화재진압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화약제의 누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압력누기 체크센서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 모듈에 대한 성능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스계소화설비의 화재진압 능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은 무엇인가? 가스계소화설비는 소화약제의 자연 누기와 소화설비 노후로 인한 누기 등으로 화재진압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화약제의 누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압력누기 체크센서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 모듈에 대한 성능평가를 하였다. 국내 외적으로 압력누기 감시 시스템에 대한 명확한 시험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 H. Jun, "Case Analysis and Prevention Measures Study of the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Discharge at Non-fire Condition", Yeungnam University (2010). 

  2. NEMA, "Enforcement ordinance on Fire Protection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Management" (2015). 

  3.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Safety inspection result analysis", http://www.kfpa.or.kr/date/da_02_01.asp (2008-2014). 

  4. A. R. Hong, C. W. Lee, A. R. Ko and B. S. Son,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cident cases for Gaseous Fire Fighting Extinguish System", Proceedings of 2014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189-190 (2014). 

  5. Y. G. Park, "Reliability Test of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at Protecrion Zon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4, No. 1, pp. 27-31 (2008). 

  6. T. G. Lee, "Misunderstandings and Problems of Gaseous Fire Fighting Extinguish System", Korea Fire Safety Association, pp. 15-28 (2009). 

  7. M. H. Jee, C. K. Moon and H. T. Kim, "Improvement of Fire Suppression Capability by ues of Air Early Release Equipment", Proceedings of 2012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143-146 (2012). 

  8. J. H. Son, "A Study on Continuous Gas Weight Monitoring for Gas 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s", Gachon University (2014). 

  9. S. H. So, J. H. Oh, C. W. Cha and D. K. Lee, "Development of Monitoring RF System on Leakage of Gas Cylinder in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Proceedings of 2008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7-10 (2008). 

  10.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KOFEIS 0304 (2015). 

  11. ISO 7240-2,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s-Part 2 : Control and indicating equipment (2003). 

  12. FM 1421, Approval Standard for Monitor Assembl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