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단독주택의 사례조사를 통한 내부공간의 변화와 요인 고찰
A Case Study on Change and Factor of Interior Spaces in Detached Houses of Rural Area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2, 2016년, pp.33 - 42  

서태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건축학과) ,  변경화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course of time, changes occur in family composition and members, and such changes impact housing life as well. In contrast to shared housing structures such as apartments, detached houses show a greater variety of changes to interior spaces such as family composition, rural area, natural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내부공간의 변화와 요인을 고찰하였다. 내부공간의 변화요인은 가족구성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가족확대기와 축소기라는 관점에서 주거공간의 규모가 커지거나 축소되는 방식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각각의 단계에서 보다 다각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지 않은 농촌지역 단독주택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변화와 요인을 시계열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 연구는 농촌지역의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가족구성원의 변화에 따른 주택 내부공간의 변화에 대한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에 실측조사가 이루어져 주택의 배치도와 평면도가 존재하는 강릉지역 40개 단독주택을 1차 대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1995년에 조사하였던 농촌지역 단독주택을 2015년에 재조사하여, 동일한 주택을 대상으로 20년 시간의 흐름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그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독주택의 특징은 무엇인가? 단독주택은 공동주택과 달리 외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간과의 연계를 통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주거공간을 변화하고 대응할 수 있다. 가족구성원의 변화는 주거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 중에 하나로서 가족의 변화에 따라 주거공간도 이에 대응할 것이 요구된다.
내부공간의 변화 요인은 무엇인가? 조사결과, 내부공간의 변화 요인은 가족구성원의 영향, 새로운 도로의 신설로 주택공간의 재배치,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공간의 내부화, 농사일이나 외부에서의 작업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공간변화, 그리고 현대적인 설비의 요구로 보일러실의 추가가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에 있어서는 가족구성원의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내부공간에서만의 변화뿐만 아니라 외부공간의 내부화를 통한 내부공간 전체의 영역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촌 지역의 일반적인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주거 공간의 대응은 어떠한가? 일반적인 가족생활주기의 따른 주거공간의 대응을 보면, 남녀가 결혼하여 가족을 형성하여 자녀의 출산과 양육, 그리고 자녀가 성장하면서 주택 규모도 더 확대되고, 가족이 축소되면서 주거공간도 축소되고 보다 더 기능적인 공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농촌지역 단독주택에서 오랜 세월 거주하는 경우에는 자녀의 출산과 양육, 그리고 독립 등과 같은 가족의 변화가 동일한 주택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다보니 가족의 변화에 따라 주거공간도 이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질적으로 주택이라는 물리적 공간을 변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yun, K. H. & Kang, B. I. (2016). A research on change in use of outdoor lavatory of detached housing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8(1), 2016, 29-37. 

  2. Byun, K. H., Lee, Y. J., & Kwon, Y. K. (2015). Changes in use and functions of second doors in detached houses of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Association, 17(4), 52-65. 

  3. Choi, B. S. (2010). The implication of changes on unit plans of condominium apartments in rural area depended on women's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Association, 12(2), 13-21. 

  4. Choi, J. S. (2013). The residential space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current housing life of rural traditional house in Taeback Mountainous reg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Association, 15(3), 33-40. 

  5. Choi, J. S. & Kim, J. W. (2013). A study on the housing space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Samcheok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Association, 15(2), 25-32. 

  6. Kim, S. H. (2007).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rural housing planning in the suburbs of Masa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ssociation, 9(3), 129-137. 

  7. Lee, S. J. (2008). A study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internal sp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ssociation, 1(3), 91-98. 

  8. Lee, J. S., Lee, H. A., & Yoon, C. S. (2002). A study on resid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storag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15(5), 51-58. 

  9. Ryou, O. S. & Choi, B. S. (2007). An analysis on floor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in Na-po Munhwa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15(5), 23-32. 

  10. Seol, Y. K. & Lee, S. H. (2013). A study on the features of physical internal space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external space in contemporary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ssociation, 29(1), 41-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