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을 달리한 달맞이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enothera biennis extracted by different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2, 2016년, pp.233 - 238  

김진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달맞이꽃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성분과 항산화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온교반 추출(SE, stirrer extraction), 초음파 추출(U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환류 추출(RE, reflux extraction), 고온가압추출(AE, autoclave extraction), 저온고압추출(LE,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법을 사용한 결과 RE법이 추출수율(46.33%), 총 폴리페놀(463.05 mg GAE/g)과 플라보노이드(71.71 mg RHE/g) 함량이 다른 추출방법 보다 높았다. 달맞이꽃 추출물은 B.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철이온 흡착능 시험에서도 RE법을 이용한 추출물이 각각 74.40%, 65.29%, 1.370 ($OD_{700}$), 90.14%를 나타내어 다른 추출방법에 비해 높았다. 달맞이꽃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유용한 천연물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며, B. cereus가 주 원인이 되는 식중독의 예방이나 오염된 식품의 보존성 증진을 위한 천연 소재로 할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including stirrer extraction method (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method (USE), reflux extraction method (RE), autoclave extraction (AE) and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 (LE) method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달맞이꽃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과 유용성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출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항균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달맞이꽃을 한방에서는 어떻게 활용하는가? 달맞이꽃 종자에는 호르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을 비롯하여 지방산과 sterol류가, 잎에는 플라보노이드와 oenoth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물체에는 antiarthritic, antitumor, antithrombin성분(5)이, 뿌리에는 항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 달맞이꽃은 한방에서 해소초라 하여 해열 및 소염제로 사용하였고, 민간요법으로는 달인물로 인후염이나 피부염의 환부를 세척하는 것으로 전해지며, 뿌리와 전초를 감기, 해열, 인후염, 신장염, 고혈압 등에 사용한 보고가 있다(7).
식물체 성분의 추출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달맞이꽃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성분의 추출방법 확립은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체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은 열수추출법, 상온교반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고온가압추출법 그리고 저온고압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8-10).
달맞이꽃이란? 달맞이꽃은 바늘꽃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서, 남아 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 중 하나로 전국의 산과 들에 널리 서식하고 있으며, 큰달맞이꽃, 겹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 등 4종이 알려져 있다(4). 달맞이꽃 종자에는 호르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을 비롯하여 지방산과 sterol류가, 잎에는 플라보노이드와 oenoth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물체에는 antiarthritic, antitumor, antithrombin성분(5)이, 뿌리에는 항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Thannickal VJ, Fanburg BL (2000)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 1005-1029 

  2. Ahn BS, Kim JW, Kim HT, Lee SD, Lee KW (2010) Antioxidant effects of Hovenia dulcis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Veterinary Clinics, 27, 366-373 

  3. Bae JH, Jang HJ, Jung JI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89-394 

  4. Lee JA, Kim JY, Yoon WJ, Oh DJ, Jung YH, Lee WJ, Park SY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Onagraceae, Myrta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810-815 

  5. Yoshida T, Chou T, Matsuda M, Yasuhara T, Yazaki K, Hatano T, Nitta A, Okuda T (1991) Woodfordin D and Oenothin A, trimer hydrolysable tannins of macro-ring structure with anti-tumor activity. Chem Pharm Bull, 39, 1157-1162 

  6. Stivastava A, Shukla YM, Kumar S (1988) Chemistry and phamacology of the evening-primrose Oenothera biennis and related species-a review. J Med Aromatic Plants Sci, 20, 432-440 

  7. Varro ET, Lynn RB, James ER (1988) Pharmacognosy 9th edition, Lea and Feberger, Philadelphia, USA, p 471 

  8. Shin SL, Lee CH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ostrich fern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solvents. J Life Sci, 21, 56-61 

  9. Hwang IG, Woo KS, Jeong HS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heat treatment processing of foods. Food Sci Ind, 44, 56-65 

  10. Kim JH, Sung NY, Kwon SK, Jung PM, Choi JI, Yoon YH, Song BS, Yoon TY, Kee HJ, Lee JW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leaf extracts prepared by various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13-318 

  1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2. Abdel-Hameed ESS (2008)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1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 26, 1231-1237 

  1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6. Yen GC, Duh PD, Tsai H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 

  17. Kang KM, Lee SH (2013)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 sp.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249-1254 

  18. Kim JW, Kim JK, Song IS, Kwon ES, Youn KS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8-75 

  19. Hwang JK, Kim CT, Hong SI, Kim CJ (1994) Solubilization of plant cell walls by extrus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358-370 

  20. Woo JH, Shin SL, Jeong HS, Lee CH (2010) Influence of applied pressure and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leaves from Achillea alpina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Korean J Plant Res, 23, 123-130 

  21.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22.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3. Turnbull PC, Kramer JM, Jorgensen K, Gilbert RJ, Melling J (1979) Properties and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vomiting, diarrheal, and necrotizing toxins of Bacillus cereus. Am J Clin Nutr, 32, 219-228 

  24. Granum PE, Lund T (1997)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al Lett, 157, 223-228 

  25. Kim JG, Kang YM, Uhm GS, Ko YM, Kim T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c Life Sci, 37, 69-75 

  26. Yoo MY, Kim SK, Yang JY (2004)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nt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2, 307-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