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Oenothera Biennis Seed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9 = no.221, 2018년, pp.1048 - 1055  

조현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김두현 (동아대학교 생명자원산업학과) ,  김민근 (동아대학교 생명자원산업학과) ,  이용석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서권일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꽃 종자 물, 에탄올, 메탄올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신경세포 손상 억제, 항암, 대식세포 면역조절 활성 및 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 중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1.90 mg GAE/g 및 20.66 mg QE/g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추출물과 비교하여 가장 활성이 높았다.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활성은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을 $25-100{\mu}g/ml$의 농도로 전처리 하였을 때 글루탐산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손상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세포의 경우 메탄올 추출물이 간암, 폐암, 유방암 및 흑색종 피부암의 세포 생존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낮은 $IC_{50}$ 값을 보였으며 대장암과 전립선암에서는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낮은 $IC_{50}$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달맞이꽃 종자 70% 에탄올 추출물은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통해 대식세포의 면역활성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은 풍부한 폴리페놀 함량과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원료 및 천연물 의약품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study, comparisons of Oenothera Biennis seed extracts with water, ethanol, methanol, and 70% ethanol in their total polyphenolics contents, anti-oxidant, anti-neurotoxicity, anti-cancer, and immune-modulatory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those concent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 용매를 달리한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신경세포 보호, 항암 및 대식세포 면역 활성에 대한 효능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기능성 식품소재 및 가공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다양한 면역세포 중 선천면역계와 관련된 대식세포는 생체 내 이물질, 노폐물 및 돌연변이 세포 등을 포식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본 연구에서 달맞이 꽃 종자 추출물의 처리가 대식세포 내 NO 생성 및 면역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Fig. 3). 달맞이 꽃 종자 추출물을 농도별(1, 2.
  • 정상조직에 대하여 활성산소, 자외선, 발암물질 등과 같은 세포독성인자의 축적과 자극이 지속되면 정상세포 및 DNA 손상이 유발되고 감염, 노화, 유전자 돌연변이 등으로 인해 세포사멸이 차단됨에 따라 정상세포는 암세포로 변화된다[21, 24]. 최근 연구에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폴리페놀류나 기능성 식품류에 의해 다양한 암종의 발생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꽃 종자 추출 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을 다양한 암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때 7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달맞이꽃 종자에는 어떤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가? 한방에서는 대소초라 하여 주로 잎이나 뿌리를 해열 및 소염제로 사용을 하고 있으며 종자의 경우 기름을 짜서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35].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식용 가능한 식품 소재로 등재된 달맞이꽃 종자는 오메가6 지방산의 일종인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 리놀산(linoleic acid) 및 올레익산(oleic acid) 등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화합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34]. 하지만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에 대한 기초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표적인 식품내 천연 항산화 물질은 무엇인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한 체내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식품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식품내 천연 항산화 물질로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토코페롤, 비타민 및 셀레늄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진 폴리페놀 화합물은 천연물에 널리 분포하는 2차 대사산물로써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 페놀산류 (phenolic acids), 리그난류(lignans), 스틸벤류(stilbenes) 등을 포함하며 대부분 단백질, 효소단백질 또는 기타 거대분자와 결합하는 반응성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를 갖는 방향족 고리구조를 가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물체 내 다양한 폴리페놀 화합물이 암, 당뇨,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알츠하이머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예방과 억제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8, 28].
한방에서는 달맞이꽃의 잎과 뿌리를 어떤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가? 달맞이꽃 추출물에는 tannin, 당류 및 다가불포화 지방산과 kaempferol 유사체, quercetin 유사체, ellagic acid, methyl gallate, catechin, gallic acid 및 galloylglucose 등과 같은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1, 16, 30]. 한방에서는 대소초라 하여 주로 잎이나 뿌리를 해열 및 소염제로 사용을 하고 있으며 종자의 경우 기름을 짜서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35].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식용 가능한 식품 소재로 등재된 달맞이꽃 종자는 오메가6 지방산의 일종인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 리놀산(linoleic acid) 및 올레익산(oleic acid) 등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화합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S. M., Kim, Y. R., Kim, H. N., Choi, Y. W., Lee, J. W., Kim, C. M., Baek, J. U., Shin, H. K. and Choi, B. T. 2015. Neuroprotection and spatial memory enhancement of four herbal mixture extract in HT22 hippocampal cells and a mouse model of focal cerebral ischemia. BMC Complement Altern. Med. 15, doi: 10.1186/s12906-015-0741-1. 

  2. Biglari, F., AIKarkhi, A. M. F. and Easa, A. M.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various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fruits from Iran. Food Chem. 107, 1636-1641.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4. Byun, E. B., Jang, B. S., Sung, N. Y. and Byun, E. H. 2016.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separ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f. J. Kor. Soc. Food Sci. Nutr. 45, 1099-1106. 

  5. Chalamaiah, M., Yu, W. and Wu, J. 2018. Immunomodulatory and anticancer protein hydrolysates (peptides) from food proteins: A review. Food Chem. 245, 205-222. 

  6. Choi, D. W. 1988. Glutamate neurotoxicity and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Neuron 1, 623-634. 

  7. Cordeiro Caillot, A. R., de Lacerda Bezerra, I., Palhares, L. C. G. F., Santana-Filho, A. P., Chavante, S. F. and Sassaki, G. L. 2018.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blackberry wine polysaccharides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n LPC-activated RAW 264.7 macrophages. Food Chem. 257, 143-149. 

  8. Costa, C., Tsatsakis, A., Mamoulakis, C., Teodoro, M., Briguglio, G., Carusao, E., Tsoukalas, D., Margina, D., Dardiotis, E., Kouretas, D. and Fenga, C. 2017. Current evidence on the effect of dietary polyphenols intake on chronic diseases. Food Chem. Toxicol. 110, 286-299. 

  9. Fukui, M., Song, J. H., Choi, J., Choi, H. J. and Zhu, B. T. 2009. Mechanism of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HT22 mouse hippocampal cells. Eur. J. Pharmacol. 617, 1-11. 

  10. Gan, R. Y., Lui, W. Y., Wu, K., Chan, C. L., Dai, S. H., Sui, Z. Q. and Corke, H. 2017. Bioactive compounds and bioactivities of germinated edible seeds and sprouts: An updated review. Trends Food Sci. Technol. 59, 1-14. 

  11. Granica, S., Czerwinska, M. E., Piwowarski, J. P., Ziaja, M. and Kiss, A. K. 2013.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prepared from aerial parts of Oenothera biennis L. and Oenothera paradoxa Hudziok obtained after seeds cultivation. J. Agric. Food Chem. 61, 801-810. 

  12. Gragaham, H. D. 1992. Modified prussian blue assay for total phenolic compound. J. Agric. Food Chem. 40, 801-805. 

  13. Hwang, S. W., Park, M. H., Shim, H. K. and Bae, M. J. 1994.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lipid amino acid and dietary fiber from functional food source. J. Kor. Soc. Food Nutr. 23, 647-653. 

  14. Igarashi, M. and Miyazawa, T. 2000. Do conjugated eicosapentaenoic acid and conjugated docosahexaenoic acid induce apoptosis via lipid peroxidation in cultured human tumor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0, 649-656. 

  15. Jamarkattel-Pandit, N., Pandit, N. R., Kim, M. Y., Park, S. H., Kim, K. S., Choi, H., Kim, H. and Bu, Y. 2010. Neuroprotective effect of defatted sesame seeds extract against in vitro and in vivo ischemic neuronal damage. Planta. Med. 76, 20-26. 

  16. Jang, J. K. 2003. Wild plants. Nexus books company, Seoul. 

  17. Jo, C. H., Reed, S. C., Simpson, M. J. and Millington, K. J. 2004. The healthy benefits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 review of the evidence. J. Hum. Nutr. Diet. 17, 449-459. 

  18. Kageyama, K., Yamada, R., Otani, S., Onoyama, Y., Yano, I., Yamaguchi, W., Yamaguchi, Y., Kogawa, H., Nagao, N. and Miwa, N. 2000. Cytotoxicity of docosahexaeno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in tumor cells and the dependence on binding to serum proteins and incorporation into intracellular lipids. Oncol. Rep. 7, 79-83. 

  19. Kalt, W. 2005.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 J. Food Sci. 70, 11-19. 

  20. Kang, N. S. and Sohn, E. H. 2010. Immunodulatory effects of fructus and semen from Rosa rugosa on macrophages. Kor. J. Plant Res. 23, 399-405. 

  21. Khandrika, L., Kumar, B., Koul, S., Maroni, P. and Koul, H. K. 2009. Role of Oxidative Stress in Prostate Cancer. Cancer Lett. 282, 125-136. 

  22. Kim, T. J. 2009. Korean plant edition. Yearim company, Seoul. 

  23. Lee, S. M., Choi, H. K. and Yu, G. H. 2003. Effect of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 on the proliferation of MCF-7 and PC-3 cells. Kor. J. Biotechnol. Bioeng. 18, 424-428. 

  24. Liu, C., Zhu, Y., Lou, W., Nadiminty, N., Chen, X., Zhou, Q., Shi, X. B., White, R. W. and Gao, A. C. 2013. Functional p53 determines Docetaxel sensitivity in prostate cancer cells. Prostate 73, 418-427. 

  25. Molyneux, P. 2004. The us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 (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6, 211-219. 

  26. Park, Y. J., Cheon, G. Y., Song, H. W., Shin, C. S., Ku, Y. G., Kang, N. R. and Heo, B. G. 2016. Miner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the seeds of Persicaria tinctoria. Kor. J. Plant Res. 29, 32-38. 

  27. Perron, N. R. and Brumaghim, J. L. 2009. A review of the antioxidant mechanisms of polyphenol compounds related to iron binding. Cell Biochem. Biophys. 53, 75-100. 

  28. Probst, Y., Guan, V. and Kent, K. 2018. A systematic review of food composition tools used for determining dietary polyphenol intake in estimated intake studies. Food Chem. 238, 146-152. 

  2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30. Ruxton, C. H., Reed, S. C., Simpson, M. J. and Millington, K. J. 2004. The healyh benefits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 review of the evidence. J. Hum. Nutr. Diet. 17, 449-459. 

  31. Slinkard, K. and Singleton, V. L. 1997. Total phenol analyse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ult. 28, 49-55. 

  32. Thanan, R., Oikawa, S., Hiraku, Y., Ohnishi, S., Ma, N., Pinlaor, S., Yongvanit, P., Kawanishi, S. and Murata, M. 2014. Oxidative stress and its significant role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ancer. Int. J. Mol. Sci. 16, 193-217. 

  33. Thannickal, V. J. and Fanburg, B. L. 2000.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 1005-1029. 

  34. Varro, E. T., Lynn, R. B. and James, E. R. 1988. Pharmacognosy 9 th edition, Lea and Feberger, Philadelphia, USA, p 471 

  35. Wink, D. A., Hines, H. B., Cheng, R. Y., Switzer, C. H., Flores-Santana, W., Vitek, M. P., Ridnour, L. A. and Colton, C. A. 2011. Nitric oxide and redox mechanisms in the immune response. J. Leukoc. Biol. 89, 873-891. 

  36. Yildirim, A., Mavi, A. and Kara, A. 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of aerobic life. Biochem. Symp. 61, 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