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약용열매 혼합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fruit mixtur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2, 2016년, pp.267 - 274  

구율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박혜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정유석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윤정현 (프로엠)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약용열매인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및 구기자 4종의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혼합비율별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약용열매 혼합비율에 따른 열수 추출물의 pH는 3.22~3.52로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당도는 M3이 $3.20^{\circ}Brix$로 다른 시료에 비해 낮았고 산도는 3.60~5.85%으로 오미자 혼합비율이 높은 구간에서 5.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M2, M1, MS, M4 및 M3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4.54 및 5.65 g/100 g으로 복분자 혼합비율이 높은 추출물인 M3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M3이 $250{\sim}1,000{\mu}g/mL$ 농도에서 25.80~86.09% 및 33.43~90.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RAP환원력은 M3가 $25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0.36{\sim}0.86{\mu}M$ 및 0.21~0.96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모든 혼합 열수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fruit extracts (Corni fructus, Schizandra chinensis, Rubus coreanus Miquel and Lycii folium) with different extraction mixing ratios (MS, an equal ratio of the medicinal fruit = 1.25:1.25:1.25:...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약용열매인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및 구기자 4종을 선정 하여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혼합비율별로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약이나 약용식물이 우리나라와 동양권에서 민간요법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어질 수 있었던 이점은? 이러한 점에서 생약이나 약용식물은 기능성식품의 소재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이 기대되므로, 항산화 활성이 높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찾으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 생약이나 약용식물은 낮은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와 동양권에서 민간요법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고(5), 통증완화, 항염증, 방부, 해열, 해독 및 수렴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이 있다(6). 그 중에서 ‘동의보감’의 과실편 등에 소개되는 열매와 그 열매가 있는 나무를 이용하는 수많은 약재 중에 현재 가장 친숙한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및 구기자는 약용 열매 4대 천왕이라 알려져 있는데, 2011년 기준 약용식물 총 생산액은 14,498억 원 중 복분자가 3,864억 원, 오미자가 3,178억 원으로 전체 약용식물의 48.
약용열매인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및 구기자 4종의 혼합비율에 따른 열수 추출물 중 어떤 열매의 혼합비율이 높을 때 산도가 높게 측정되는가? 52로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당도는 M3이 3.20 °Brix로 다른 시료에 비해 낮았고 산도는 3.60~5.85%으로 오미자 혼합비율이 높은 구간에서 5.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M2, M1, MS, M4 및 M3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4.
약용 열매 4대 천왕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생약이나 약용식물은 낮은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와 동양권에서 민간요법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고(5), 통증완화, 항염증, 방부, 해열, 해독 및 수렴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이 있다(6). 그 중에서 ‘동의보감’의 과실편 등에 소개되는 열매와 그 열매가 있는 나무를 이용하는 수많은 약재 중에 현재 가장 친숙한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및 구기자는 약용 열매 4대 천왕이라 알려져 있는데, 2011년 기준 약용식물 총 생산액은 14,498억 원 중 복분자가 3,864억 원, 오미자가 3,178억 원으로 전체 약용식물의 48.50%를 차지할 정도의 거대 약용식물 자원이며, 한약재로서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친숙한 생물자원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Lodovici M, Guglielmi F, Meoni M, Dolara P (2001) Effect of natural phenolic acids on DNA oxidation in vitro. 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2.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enol, 40, 696-701 

  3.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 Korean J Pharmacogn, 23, 264-267 

  4. Stella SP, Ferrarezi AC, dos Santos KO, Monteriro M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ready-to-drink orange juice and nectar. J Food Sci, 76, 392-397 

  5. Yang MS, Ha YL, Nam SH, Choi SU, Hang DS (1995) Screening of domestic plan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hchnol, 38, 584-589 

  6. Kim KD (2004)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plant on antioxidation and ultraviolet tays absorption. J Korean Soc Cosm, 10, 145-153 

  7. Han SH, An TJ, Kim YI, Hur M, Lee YS (2013) Health keeper, medical uses of fruits. RDA interrobang, 107, 10-19 

  8.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9. Chung SR, Jeune KH, Park SY, Jang SJ (1993) Toxicity lectins constituents from the seed of Cornus officinalis. Korean J Pharmacogn, 24, 177-182 

  10. Lee JY (1981) Iridoid glycosides of Cornus officinali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1. Seo KI, Lee SW,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99-103 

  12. Lee JS, Lee MG, Lee SW (1989)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 J Dietary Culture, 4, 173-176 

  13.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amino acids non 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14. Jeon YH, Choi SW, Kim MR (200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79-386 

  15. Kim S, Kim CK, Lee KS, Hwang H, Jeoung D, Choe J, Won MH, Lee H, Ha KS, Kwon YG, Kim YM (2013) Aqueous extract of unripe Rubus coreanus fruit attenuates atherosclerosis by improving blood lopid profile and inhibiting NF-kB activatiom via phase II gene expression. J Ethnopharmacol, 146, 515-524 

  16. Park MC, Kim KJ, Lee HS, Jo EH (2007) Attenuation of airway hyperreactivity (AHR) and inflammation by water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 (WRCM).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 20, 177-194 

  17. Kim JH, Kim JS (2014) Effects of Lycii fructus and Lycii folium extracts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4-29 

  18.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0. Dubois M, Gillers KA, Hami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J Anal Chem, 28, 350-356 

  2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3.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4.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5. Lee YJ, Kim JC, Hwang KT, Kim DH, Jung C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 fermented with different yeas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84-791 

  26. Jeong PH, Kim YS, Shin DH (2006) Changes of physicochemical 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69-474 

  27. Kim KI, Nam JH, Kwon T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2 

  28. Jeong ST, Kong MH, Yeo SW, Choi JH, Choi HS, Han GJ (2010) Studies on the mixture wine processing using omija and pe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896-902 

  29. Yoshizawa S, Horiuchi T, Yoshida T, Okuda T (1987)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ent of tannin in green rea. Phytotherapy Res, 1, 44-47 

  30. Lee GY, Son YJ, Jeon YH, Kang HJ, Hwang IK (2015)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during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dures. Korean J Food Sci Thchnol, 47, 336-344 

  31. Bondet V, Brand-Williams W,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ebensm Wiss Technol, 30, 609-615 

  32. Lee MH, Kim JM, Park EJ (2011)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ansuyu fruit (Corni fructus) extracted with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9-155 

  33. Lee IS, Kim YM, Kim HT (2015)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phototoxic inhibitory activity of Rubus coreanus Fruit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8, 1-10 

  34. Jun HI, Kim YA, Kim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81-388 

  35.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S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 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36. Loganayaki N, Suganya N, Manian S (2012) Evaluation of edible flowers of agathi (Sesbania grandiflora L. Fabaceae) for in vivo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nd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Food Sci Biotechnol, 21, 509-517 

  37. Jeong CH, Bae YI, Prak SJ, Lee SK, Hur SJ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from three cultivars of guava leaf. Food Sci Biotechnol, 21, 1557-1563 

  38. Hwang EY, Kim DH, Kim HJ, Hwang JY, Park TS, Lee IS, Son JH (2011)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medicine plants in gyeongsangbukdo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aeonia lactiflora). J Appl Biol Chem, 54, 171-177 

  39. Wettasinghe M, Shahdi F (1999) Antioxidant and free radical-scavenging properties of ethanolic extracts of defatted borage(Borago officinalis L.) seeds. Food Chem, 67, 399-414 

  40. Yim MH, Hong TG, Lee JH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5, 582-588 

  41. Moure A, Cruz JM, Franco D, Dominguez JM, Sineiro J, Dominguez H, Jose Nunez M, Parajo JC (2001) Natural antioxidants from residual sources. Food Chem, 72, 14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