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2, 2016년, pp.202 - 208  

이대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식품산업에서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8.31 log CFU/mL를 나타낸 다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이 감소하였으며, pH 및 산도 또한 각각 발효 24시간에서 유의적인 감소(pH 3.90) 및 증가(0.15%)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및 a값이 오디 발효 후 감소하고 b값 및 ${\Delta}E$값은 증가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발효물에서 100 g당 171.40 mg으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안토시아닌 조성에서도 cyanidin-3-glucoside 및 cyanidin-3-rutinoside가 각각 100 g당 61.39 mg 및 85.45 mg으로 증가하였다. 오디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g당 10.75 g 및 5.02 g으로 발효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ORAC 또한 발효물에서 $292.94{\mu}M/g$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DPPH 및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오디 발효물에서 각각 17.40~58.21%, 32.63~87.34%로 무발효물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에서도 오디 발효물의 활성이 $37.03{\sim}762.13{\mu}M$ 및 0.12~0.74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페놀성 화합물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한 오디 유산균 발효물을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were investigated. The viable cell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slowly increased up to 8.31 log CFU/mL.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3.90 and 0.15%, respectively, after 24 h of ferment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영양원은 배제하고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오디만을 영양원으로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으며,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식품산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f)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는 무엇이며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오디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수인 뽕나무의 열매로서 온대에서 아열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며, 분포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동아시아의 한국, 중국 대륙 및 일본 열도이다(2). 오디는 당과 유기산뿐만 아니라 anthocyanin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그 성분은 cyanidin-3-glucoside(C3G)와 cyanidin3-rutinoside(C3R)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디에는 다른 작물과 비교하여 안토시아닌이 얼마나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오디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붉은색 쌀보다는 4배 이상, 검정콩 및 포도와 비교 시 각각 9배 및 23배나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3). 오디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과 효능이 알려지면서 기능성 식품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수 있는 천연식품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레스베라트롤이라는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암 및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져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물질이다(4).
프로바이오틱스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그러나 유산은 pH를 저하함으로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 이외 비해리형의 유산염은 전기적 proton force (구배)를 파괴함으로써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11). 현재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Lactococcus와 같은 젖산균이 probiotic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균들은 식품 내에서 젖산발효를 일으켜 식품의 부패 방지 및 영양학적 가치가 증진되고 bacteriocin과 같은 항균물질을 분비하여 식중독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s. An adaptation to a paramagnetic gas. J Biol Chem 264: 7761-7764. 

  2.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 442-448. 

  3. Lee HW, Shin DH, Lee WC. 1998.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fruit with varieties. Korean J Seric Sci 40: 1-7. 

  4.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 Nutr 24: 204-209. 

  5.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6. Kim E, Chang YH, Ko JY, Jeong Y. 2013.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682-1689. 

  7. Sung JM, Choi HY. 2014. Effect of mulberry powder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90-697. 

  8. Chae KS, Jung JH, Yoon HH, Son R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mulberry wine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B-8.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017-1024. 

  9. Kwon HN. 2013. The effect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extracts as cosmetic materials. J Invest Cosmetol 9: 221-227. 

  10. Ha JH, Jeong MH, Seo YC, Yong CW, Kim JS, Kim HH, Ahn JH,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421-428. 

  11. Kim JH, Lee WJ, Cho YW, Kim KW. 2009. Storage-life and palatability extension of Betula platyphylla sap us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87-794. 

  12. Park YS, Jang HK. 2003.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67-375. 

  13. Lee J, Durst RW, Wrolstad RE. 2005.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 1269-1278. 

  14. Singleton VL, Rossi JL.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5. Davis WB. 1947. Determination of flavo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 476-478. 

  16. Talcott ST, Lee JH. 2002. Ellagic acid and flavonoid antioxidant content of muscadine wine and juice. J Agric Food Chem 50: 3186-3192.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8. Nishikimi M, Appaji N, Yagi K.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un 46: 849-854. 

  19.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0.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1. Yang SJ, Hong J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fermented blue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Cook Sci 31: 128-135. 

  22. Ahn CS, Yuh CS, Bang IS.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mulberry leaf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2: 272-278. 

  23. Kim JC, Lee SH, Min HL, Lee DS, Kim JK. 2009. Oenology enology. Baek-sa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11-276. 

  24. Lee JY, Chae SK. 2010. Studies on the changes in the extraction of phenolics and color characteristics by the enzyme treatment of red grape (Muscat Bailey A)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3: 324-331. 

  25. Lee YJ, Choi SW.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functional constituents of four different mulberry (Morus alba L.) fruit juic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768-777. 

  26. Ryu IH, Kwon TO. 2012.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anular tea and the components of mulberry fruit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orp Sci 20: 331-338. 

  27. Seo MJ, Kang BW, Park JU, Kim MJ, Lee HH, Kim NH, Kim KH, Rhu EJ, Jeong YK. 2013. Effect of fermented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s on the generation of the cytokines in mouse spleen cells. J Life Sci 23: 682-688. 

  28. In MJ, Kim HM, Jin HJ, Kim DC, Oh NS, Chae HJ. 2010. Production of a fermented Korean pear puree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isolated from Kimchi. J Appl Biol Chem 53: 51-55. 

  29. Alarcon E, Campos AM, Edwards AM, Lissi E, Lopez-Alarcon C. 2008. Antioxidant capacity of herbal infusions and tea extracts: A comparison of ORAC-fluorescein and ORAC-pyrogallol red methodologies. Food Chem 107: 1114-1119. 

  30. Park HM, Yang SJ, Kang EJ, Lee DH, Kim DI, Hong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382. 

  31. Song HS, Eom SH, Kang YM, Choi JD, Kim YM. 2011.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Kor J Fish Aquat Sci 44: 111-117. 

  32. Chen JH, Ho CT.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5: 2374-2378. 

  33. Yamada T, Yamamoto M, Tanimar A. 1987. Studies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s, 7: The effects of some polyphenols on nitrosation of diethylamine. J Food Hyg Soc Japan 19: 224-227. 

  34. Sanchez-Gonzalez I, Jimenez-Escrig A, Saura-Calixto F. 200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s brewed using different procedures (Italian, espresso and filter). Food Chem 90: 133-139. 

  35. Tosun M, Ercisli S, Karlidag H, Sengul M. 2009. Characterization of red raspberry (Rubus idaeus L.) genotypes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J Food Sci 74: C575-5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