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족교육 전문인력의 양성과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a Management Plan for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4 no.2 = no.140, 2016년, pp.51 - 64  

송현애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Baekseo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mily education service for healthy families has increased steadily over the past ten years since the Healthy Family Act was ena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family education professionals such as family life educators and healthy family specialists,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가족교육 수행 자격을 갖춘 가족생활교육사나 건강가정사와 같은 가족교육 전문가가 매년 꾸준히 배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가족교육을 시행할 때마다 서울시 등 광역센터에서는 새로운 가족교육 전문강사를 모집ㆍ양성하는 비효율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연 이들 가족교육 전문인력 양성과 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가족교육 전문인력 양성과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앞으로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가족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초창기 가족생활교육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하고 활동해온 본 연구자가 그간 현장에서 보고 느낀 점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가족교육 전문인력 양성과 관리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에 주목하여 이들 가족교육 전문인력 중 가족생활교육사와 교육사업담당 건강가정사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첫째, 현재 예방 차원의 복지가 강조되면서 가족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족교육 전문인력으로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록 민간자격인 가족생활교육사의 활동이 부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족교육 전문인력인 가족생활교육사와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양성과 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가족교육 전문인력의 현장실습 등을 통한 역량 강화, 이들이 일할 수 있는 활동터전의 개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를 통해 교육수요처의 접근성 제고, 우리사회의 메가트랜드인 저출산 고령화에 부응하는 가족교육 전문인력의 양성, 가족생활교육사와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협업으로 인한 가족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수적으로 가족생활 교육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교육사업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찾아가며 가족교육 인력에 관련되는 내용들을 수집ㆍ보완한 이유는? kr)에서 수집하였다. 하지만 ‘가족생활교육사’에 대한 연구는 전문직으로서의 가족생활교육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과제를 제시한 H. S. Chung(2002)의 연구가 유일하고, ‘건강가정사’에 대한 연구는 M.-A. Sungand H.-A. Lee(2004a)의 연구를 시작으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가족교육 담당 건강가정사에 대한 연구는 교육사업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역량에 관해 제시하고 있는 Y. J. Lee(2008b)의 연구가 수행되었을 뿐 가족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부수적으로 가족생활 교육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교육사업에 대한 연구논 문들을 찾아가며 본 연구의 관심사인 가족생활교육사와 교육사업담당 건강가정사 등 가족교육 인력에 관련되는 내용들을 수집ㆍ보완하였다.
가족교육의 전문인력으로 대표할 수 있는 직업은? 이러한 가족교육의 전문인력으로는 가족생활교육사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고, 가정복지사와 건강가정사의 경우에는 가족교육이 그들의 주요한 업무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1996년 가족생활교육사 자격규정이 제정되면서 그 이듬해부터 가족생활교육사가 배출되어 한국가족관계학회 주관으로 가족생활교육사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대한가정학회와 한국가정관리학회가 중심이 되어 1998년부터 가정복지사가 배출되기 시작하고 현재 가정학실천위원회에서 주관하고 있다.
가족생활교육사는 언제부터 배출되었는가? 이러한 가족교육의 전문인력으로는 가족생활교육사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고, 가정복지사와 건강가정사의 경우에는 가족교육이 그들의 주요한 업무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1996년 가족생활교육사 자격규정이 제정되면서 그 이듬해부터 가족생활교육사가 배출되어 한국가족관계학회 주관으로 가족생활교육사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대한가정학회와 한국가정관리학회가 중심이 되어 1998년부터 가정복지사가 배출되기 시작하고 현재 가정학실천위원회에서 주관하고 있다. 이후 2005년부터는 건강가정기본법을 현실적으로 구현해가는 가족서비스 전문인력으로 여성가족부가 주관하여 그 자격을 인정하는 건강가정사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들이 현재 전국의 건강 가정지원센터에서 가족교육사업을 포함한 폭넓은 건강가정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uh, S. Y. (2014). Issues and challenges on family life education. Discussion at the KHMA 2014 Spring Conference, Seoul, Korea. 

  2. Chin, M., & Sung. M. (2012). Work-family balance of employed married women: Focusing on family friendly work policies of workplac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4), 13-24. 

  3. Cho, H.-K., Kim, S.-M., Lee, S. M., Sung, M., Chin, M., & Lee H. (2014). Family life prospect of the middle-aged and its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y toward centenarian socie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1), 151-166. 

  4. Cho, Y., Song, H., Park, J., Jeong, J., & Lee, H. (2015). The empowerment plan and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through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9(1), 139-161. 

  5. Choi, J.-H. (2011).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family-friendly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Educational Review of Museum, 6, 73-102. 

  6. Chung, H. S. (2002). The tasks and prospects of "family life educator" as a profess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7(3), 1-17. 

  7.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t Gyeonggi Province. (2015). Retrieved from http://www.gg.go.kr/woman/woman_op_office-health-we_do. 

  8.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t Seoul. (2015). Retrieved from http://family.seoul.go.kr/ 

  9. Hughes R., Bowers, R. J., Mitchell, T. E., Curtiss, S., & Ebata, T. A. (2012). Developing online family life prevention and education programs. Family Relations, 61(5), 711-727. 

  10. Jeon, S.-G. (2014, April). Issues and challenges on family life education.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10th Annual Celebrating 2014 Integrated Conference on Enactment of the Healthy Family Act, Seoul, Korea. 

  11. Jeong, H.-J., & Yu, N.-S. (2014, April). Current status and task of healthy family education in company with regional community.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10th Annual Celebrating 2014 Integrated Conference on Enactment of the Healthy Family Act, Seoul, Korea. 

  12. Kang, E.-J. (2015, May). Current status and task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KHMA 2015 Spring Conference, Seoul, Korea. 

  13. Kang, K. J., Kim, Y. H., Park, M. K., Song, M. H., & Lee, M.-S. (2010). Healthy family. Paju, Gyeonggi-do: Yangseowon. 

  14. Kim, B. M., & Chung, H. S. (2007). An analysis on the current features of family life education in Seoul area.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2(3), 285-312. 

  15. Kim, D.-H., & Um, K. W. (2015). A study on care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fter policy implementation of dementia special rating-Focusing on difficulty of care and necessary social servic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0, 349-371. 

  16. Kim, H.-Y. (2014).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education program enhancing the capability training of a healthy family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1), 101-115. 

  17. Kim, H.-Y. (2005, May). The task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Focused on the curriculum for the healthy family specialist education program. Discussion at the KFRMA 2005 Spring Conference, Seoul, Korea. 

  18. Kim, S.-H. (2015). A study on family-friendly education of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supporting corporation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2), 21-34. 

  19. Koo, H. R., & Kim, S.-M. (2010, May). The role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for establishing family-friendly society: Focused on education programs.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KFRMA 2010 Spring Conference, Seoul, Korea. 

  20.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2015). Retrieved from http://kaswc.or.kr/ 

  21. Korean Associations of Family Relations. (2015). Internal meeting material from credential committee. Seoul: Korean Associations of Family Relations. 

  22.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2015). Retrieved from http://www.kihf.or.kr/ 

  2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Retrieved from http://kosis.kr/ 

  24. Lee, Y. J. (2008a, May).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s.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KHMA 2008 Spring Conference, Seoul, Korea. 

  25. Lee, Y. J. (2008b). A study for the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educational work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2(4). 79-102. 

  26.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 2015 Project guidance o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8.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2015). Retrieved from http://www.ncfr.org. 

  29. Park, J., Jeong, J., Song, H. Cho, Y., & Lee, H. (2015). A study on the education plan for empowerment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in the family policy delivery system.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2), 53-70. 

  30. Park, J. Y. (2007). A study of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n developing museum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2(2), 65-96. 

  31. Park, J. Y. (2007, November). A developmental direction in education curriculum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a healthy family professionals.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KHMA 2007 Fall Conference, Seoul, Korea. 

  32. Powell, L., & Cassidy, D. (2001). Family life education. Mountain View, CA: Mayfield Publishing Co. 

  33. Shin, Y. K., Moon, S. K., & Chang, J. K. (2010, December). A comparative analysis on family welfare project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integrated social welfare centers.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KFRMA 2005 Fall Conference, Seoul, Korea. 

  34. Song, H. R. (2009).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institutional household-to the application for job analysis of healthy families center work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1), 23-39. 

  35. Song, H. R. (2010).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healthy families center : Focused on the working-married women.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1), 1-17. 

  36. Song, H. R., & Jeong, Y. K. (2008). The evaluation and alternatives on the educational work in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2(1), 1-20. 

  37. Song, H. R., Park, J. Y., Lee, W. J., Sung, M. A., Seo, J. W., & Chin, M. J. (2009). A pilot study for developing parenting-ai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6), 91-108. 

  38. Sung, M.-A., & Lee, H.-A. (2004a). The roles, qualification, and fostering system of healthy families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5), 345-355. 

  39. Sung, M.-A., & Lee, H.-A. (2004b, May). Successful practical strategy of the Healthy Family Act III:The roles, qualification, and fostering system of healthy families specialist.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KHMA 2004 Spring Conference, Seoul, Korea. 

  40. Sung, M., Chin, M., Lee, J., & Choi, S. (2012).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job and working conditions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21(3). 453-468. 

  41. Yang, S.-M., & Cho, G.-P. (2014). The effect of the family volunteering activity on adolescents' family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 Problem Solving, 10(3), 155-1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