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내 수집데이터를 활용하는 선박 및 육상 서비스를 위한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hip Application System for Maritime Service Utilizing onboard Ship Collected Data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20 no.2 = no.77, 2016년, pp.116 - 126  

강남선 (중소조선연구원 해양시뮬레이션 연구팀) ,  김용대 (마린전자상사 연구소) ,  김상용 (현대유엔아이 물류사업팀) ,  이범석 (현대유엔아이 물류사업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선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선박과 육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효율적인 데이터 통합관리를 위한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설계하고 모듈을 구현하였다.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선내 수집 데이터를 활용하는 선박과 육상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개별 장비간 원활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IALA에서 논의되고 있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 모델과 ISO 16425의 XML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시스템 운영을 위한 공통 모듈과 데이터 수집 및 통합관리를 위한 윈도우 서비스, 관리를 위한 웹서비스 모듈을 구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as designed the ship application system for efficient data integration management of onboard ship and shore application/service utilizing data collected onboard ship, and has implemented the module. In order to supports onboard ship and shore service utilizing onboard ship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양 데이터 통합 관리 기술은 아직 초기 개발 단계이기 때문에 기술진입장벽이 비교적 낮고 선박에서의 IT기술, 특히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에 대한 중요성과 관련 기술 및 제품의 개발이 증가하면서 수요와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핵심 요소기술 이기 때문에 기술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13],[16]-[18].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림 4와 같이 IALA에서 논의되고 있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 모델을 기반으로 선내 수집데이터를 활용하는 선박과 육상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개별 장비 간 원활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과 데이터 정의 방식을 지원하는 개방형 구조의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SaS; ship application system)을 그림 8과 같이 개발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선박 및 육상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효율적인 데이터 통합관리를 위한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기술을 제안하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해양 데이터 통합관리 기술동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3장에서는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SaS; ship application system)에 대하여 기술한다.
  • 본 논문에서는 VDR, AMS (alarm monitoring system), AIS 등 선박 내부에 설치된 항해통신 및 기관 장비와 ECDIS, SEEMS와 같은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연동하고 수집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선박에서 발생되는 해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선내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며, 해사위성통신을 활용하여 선내 수집데이터를 활용하는 육상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정보공유 및 데이터 상호교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SaS를 개발한다. SaS는 선박과 육상간 통신시 해사 위성 사용으로 발생되는 높은 통신비용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그림 8과 같이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효율 압축 기술과 최소비용 알고리즘이 적용된 선박 통신 시스템 (VCS; vessel communication system)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통신을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선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선박 및 육상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효율적인 데이터 통합 관리를 위한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SaS)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모듈을 구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선박은 무엇인가? 디지털 선박은 해사위성통신을 이용하여 육상으로부터 해상기상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선박에서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여 육상에서 선박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원격지원체계가 갖추어진 선박을 의미한다. 디지털 선박은 그림 1과같이 통합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선박내에 설치된모든장비와시스템을정합장치를 통해 통합 시스템에 인터페이스하며 데이터베이스와 서버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하고 육상으로 전송한다[8].
표준 프로토콜보다 메이커 고유의 프로토콜을 선호하여 선박을 운용할 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선박에서는 표준 프로토콜보다 메이커 고유의 프로토콜을 선호하여 장비마다 필요한 정보체계를 수립하고 독립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운용하고 있어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자료의 공유와 상호교환이 매우 어려워 해상데이터의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있다[1],[4],[6].
개방형 구조의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배경은 무엇인가? 해양 데이터 통합 관리 기술은 아직 초기 개발 단계이기 때문에 기술진입장벽이 비교적 낮고 선박에서의 IT기술, 특히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에 대한 중요성과 관련 기술 및 제품의 개발이 증가하면서 수요와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핵심 요소기술 이기 때문에 기술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13],[16]-[18].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림 4와 같이 IALA에서 논의되고 있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 모델을 기반으로 선내 수집데이터를 활용하는 선박과 육상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개별 장비 간 원활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과 데이터 정의 방식을 지원하는 개방형 구조의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SaS; ship application system)을 그림 8과 같이 개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W. Park, S. Y. Sung, Y. K. Lim, C. H. Yun and S. G. Kim, "An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interface system for the digital ship,"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6, No. 6, pp. 1158-1166, Jun. 2012. 

  2. T. G. Jeong and S. H. Park, "A study on development of multipurpose ship's interface unit," Journal of Korea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1, No. 6, pp. 463-470, Jun. 2007. 

  3. S. J. Lee, "A research of data gethrting middleware and user friendly display for vessel PMS(planned maintenance system," Korean Society of IT Service Journal, Vol. 12, No. 2, pp. 335-348, Jun, 2013. 

  4. S. G. Lee, Analysis of e-Navigation for digital ship,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2009. 

  5. T. G. Jeong and S. H. Park,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grated system of ship's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1, No. 8, pp. 645-652, Aug. 2007. 

  6. Result of 53rd meeting for maritime safety committee, IMO,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July, 2007. 

  7. E. G. Kim and Y. G. Kim, "A study 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pport for intelligent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 Vol. 25, No. 3, pp. 279-286, June. 2015. 

  8. Y. G. Lim and J. W. park, "An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digital ship,"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5, No. 5, pp. 554-561, Oct. 2008. 

  9. The revolution and evolution of e-Navigation systems, Proceedings of the Marine Safety & Security Council, U.S. Coast Guard, May 15, 2012. [Internet]. Available: http://www. uscg.mil/proceedings/spring2011/. 

  10. PMS brochure, Hyundai U&I, 2014. [Internet]. Available: http:// www.hyundai-uni.com/kor/solution/vip.jsp. 

  11. G. G. Kim, "Loss of lives caused by ship accidents and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6, pp. 721-729, Dec. 2014. 

  12. J. M. Seo, H. G. Hwang, J. S. Yoon, S. D. Lee, H. C. Park, J. S. Lee and K. W. Jang, "A design and inplementation of database for Integrated data management on shipboar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ritime Engineering, Vol. 34, No. 8, pp. 1188-1194, Nov, 2010. 

  13. G. I. Lee and J. H. Park, "e-Navigation and ship communication integration technology,"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Journal, Vol. 30, No. 10, pp. 46-52, Oct, 2013. 

  14. IALA technical paper, 2014, [Internet]. Available; http://www.iala-aism.org/products/technical. 

  15. Smart Ship Application Platform Project, Japan Ship Machinery and Equipment Association, e-Navigation. net.potal, 2014. [Internet]. Available; http://www.e-navigation.net/index.php/pagessap-smart-ship- application-platform. 

  16. Smart-ship related technology market trend and development prospects, BIR research group, pp. 32-33, Aug, 2011. 

  17. Promising marine industry smart ship marine plant market and technology trend, BIR research group, pp. 89-91, Dec, 2011. 

  18. ICT based shipbuilding IT-related industry trend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Issue quest, pp.94-98, Aug, 2014. 

  19. MVSAT service, KTsat, [Internet]. Available: http://www.KTsat.net/coverage. 

  20. WNI service manual, [Internet]. Available: http://www.wni.co.jp/service.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