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OMPSAT-3A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산림식생의 임상 분류법 개발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Method for Forest Vegetation on the Stand Level, Using KOMPSAT-3A Imagery and Land Coverage Map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6, 2018년, pp.686 - 697  

송지용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과) ,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상훈 (한양대학교 도시설계.경관생태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원격탐지기술의 발달로 인해, 산림지역과 같이 피복 분류작업이 난해한 지역을 비롯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세밀한 변화탐지를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취득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시계열분석의 과정에서 많은 양의 지상 관측 데이터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도를 지상 관측데이터로 활용한 위성영상 분류 방법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원주시이며, 산림지역과 시가화지역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연구 자료는 2015년 3월에 촬영된 KOMPSAT-3A 영상과 2017년도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하였다. 서포트벡터머신(SVM)과 랜덤포레스트(RF)의 두 가지 상이한 화소기반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대상지에 대한 피복분류의 분류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SVM 분석의 경우 다수 분석(Majority analysis)을 후속 진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산림식생만 포함한 지역과 연구대상지 전지역으로 구분하였고, 대상 면적이 협소한 습지는 분석과정에서 제외하였다. 분류 결과는 오차 행렬의 전체 정확도가 두 가지 분류대상에 대해 RF 기법이 SVM 기법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 RF 기법이 SVM 기법에 비해 18.3%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전체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둘 사이의 간격이 5.5%로 줄어들었다. SVM 기법에 다수 분석 (Majority analysis)을 추가로 실시한 경우, 1% 정도의 정확도 향상이 나타났다. RF 기법은 산림지역의 활엽수를 분석해 내는데 상당히 효과적이었지만, 다른 대상에 대해서는 SVM 기법이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단일시기 영상에 대한 화소 기반의 분류기법을 시험한 것으로, 추후 시계열분석 및 객체기반 분류기법의 추가적인 적용으로 향상된 정확도와 신뢰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대면적의 토지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advance in remote sensing technology, it has become easier to more frequently obtain high resolution imagery to detect delicate changes in an extensive area, particularly including forest which is not readily sub-classified. Time-series analysis on high resolution images requires to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토의 63%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산림 식생에 대한 분석을 전국적인 수준에서 고도화하기 위한 실험의 시작단계로서 다시기 영상을 이용한 시계열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입력자료 생성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리랑-3A호(KOMPSAT3A)의 영상분류를 가시광선 영역에 한정하여서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서로 다른 감독분류기법으로 시도하고, 토지피복도를 지상실측자료로 활용하는 방법론의 유효성을 시험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의 아리랑-3A호(KOMPSAT-3A) 영상을 대상으로 토지피복도를 지상실측자료로 활용하여 토지피복, 특히 산림식생에 대한 감독분류를 시험하였다. 연구결과,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경우 현재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화소 기반 분류기법 간에 정확도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위성영상 활용을 위한 분류기법의 선택에 따른 분류정확도의 차이도 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토의 63%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산림 식생에 대한 분석을 전국적인 수준에서 고도화하기 위한 실험의 시작단계로서 다시기 영상을 이용한 시계열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입력자료 생성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리랑-3A호(KOMPSAT3A)의 영상분류를 가시광선 영역에 한정하여서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서로 다른 감독분류기법으로 시도하고, 토지피복도를 지상실측자료로 활용하는 방법론의 유효성을 시험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산림지역 분류의 경우 혼효림은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재정도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는 관계로 제외한 상태에서 활엽수림과 침엽수림만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감독분류를 실시하였다. 통상적으로 산림식생을 분류하는 경우 겨울철 영상을 많이 활용하는데 이는 활엽수와 침엽수의 차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혼효림을 배제하는 과정을 통해 산림 분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성영상 분석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감독분류기법과 그 특징은? 현재 위성영상 분석을 위한 감독분류기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서포트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SVM) 분류기법과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RF) 분류기법이 있다. SVM 기법은 입력된 값들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 하는 경계면을 찾는 방법을 사용합니다(Sim et al.,2009). SVM 기법은 일반적으로 분류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는 반면, 커널함수(Kernel function)의 설정 등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며, 해당 설정에는 RBF(Radial Basis Function), S상(Sigmoid), 선형(Linear), 다항식(Polynomial) 함수가 있다. RF의 분류자는 입력된 벡터값과 독립적으로 샘플링된 벡터값을 사용하며 여러 개의 나무의사결정자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나무의사결정자들은 입력된 벡터값의 분류시에 가장 빈도수가 높은 클래스를 선택하도록 한다(Breiman, 1999). RF에서는 추가적인 설정 작업이 없고, 분류 결과의 획득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화소 기반의 분류기법은 서로 다른 유형끼리 만나는 경계면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라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산림지역 내에서의 불규칙한 형태를 갖는 단위를 분류해 내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SVM 분류기법에 적합한 커널함수 설정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SVM 분류기법에 적합한 커널함수 설정을 위해서 선행연구(Kang et al., 2013)에서 다루었던 SVM 분류 커널함수설정을 참고하여 적용하였다. 그리고 ENVI 5.
원격탐지기술의 발달로 가능해진 것은? 오늘날 원격탐지기술의 발달로 인해, 산림지역과 같이 피복 분류작업이 난해한 지역을 비롯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세밀한 변화탐지를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취득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시계열분석의 과정에서 많은 양의 지상 관측 데이터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reiman, L. (1999) Random forests-random features, Technical Report 567, Statistics Depart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 10.1109/72.788646 Chapelle, O. , P. Haffner and V.N. Vapnik(1999) Support vector machines for histogram-based image classification .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10(5): 1055-1064. 

  3. 10.13087/kosert.2015.18.2.89 Choi, J.Y. , S.H. Lee, S.A. Lee, S.Y. Ji and P.S.H. Lee(2015) Applicability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for subdividing forested areas using SPOT-5 and KOMPSAT-2 data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18(2): 89-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10.1080/19479832.2015.1055833 Ghamisi, P. , J.A. Benediktsson and S. Phinn(2015)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both hyperspectral and LiDAR data .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e and Data Fusion6: 189-215. 

  5. 10.1080/2150704X.2014.882526 Hayes, M. , S.N. Miller and M.A. Murphy(2014) High-resolution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Random Forest . Remote Sensing Letters5: 112-121. 

  6. 10.12672/ksis.2012.20.4.047 Jung, M. , S.H. Lee, E. Chang and S. Hong(2012) Method of Monitoring Forest Vegetation Change based on Change of MODIS NDVI Time Series Patter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20(4): 47-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10.7319/kogsis.2013.21.2.019 Kang, N.Y. , S.Y. Go and G. S. Cho(2013) A comparative study on suitable SVM kernel function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KOMPSAT-2 imagery .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21(2): 19-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H.O. , J.M. Yeom and Y. S. Kim(2011) The multi-temporal characteristics of spectral vegetation indices for agricultural land use on RapidEye satellite imagery .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10(1): 149-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10.11614/KSL.2018.51.1.105 Kim, S.J. and Y.G. Lee(2018)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Satellite Image Uses in Water Resources Area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51(1): 105-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T.H. , K.H. Kim, G.B. Nam, J.H. Shim, W.J. Choi and M. H. Cho(2010)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High Resolution Spatial Images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12(1): 57-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u, C.Y. (2011) A Study on Managing and processing the Images with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for the Systemic Land Cover Class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45(3): 375-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ulkarni, A.D. and B. Lowe(2016) Random Forest Algorithm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n Recent and Innovation Trends . In Computing and Communication4(3): 58-63. 

  13. 10.2307/2529310 Landis, J.R. and G.G. Koch(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 Biometrics33: 159-174. 

  14. Lee, . G. , J.H. You,Y.G. Yu and H. J. Lee(2018) Establish of Parallel Object Based Classification Process and Extraction of Spatial Objects Using KOMPSAT-3A Satellite Image , Proceeding of 2018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 93-94. (in Korean with Englishabstract) 

  15. Lee, J. , J.H. Ru and Y.G. Yu(2010) Extracting High Quality Thematic Information by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18(1): 73-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S.H. (2009) Adaptive Reconstruction of NDVI Image Time Series for Monitoring Vegetation Changes .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25(2): 95-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10.1016/j.jag.2016.01.011 Li, M. , L. Ma, T. Blaschke, L. Cheng and D. Tiede(2016) A systematic comparison of different object-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s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ry in agricultural environments .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49: 87-98. 

  18. 10.7319/kogsis.2016.24.4.067 Lim, Y.S. , Y.D. Eo and M.W. Pyeon(2016) Experiments of Individual Tree and Crown Width Extraction by Band Combination Using Monthly Drone Images .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24(4): 6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10.1016/j.asr.2015.06.004 Mittal, V. , D. Singh and L.M. Saini(2015) A critical analysis of EM based fusion of different polarization data for effect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 Advances in Space Research56(6): 1094-1105. 

  20. 10.1016/j.rse.2010.12.017 Myint, S.W. , P. Gober, A. Brazel, S. Grossman-Clarke and Q. Weng(2011) Per-pixel vs. object-based classification of urban land cover extraction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ry .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115(5): 1145-1161. 

  21. Oh, C.Y. , S.Y. Park, H.S. Kim, Y.W. Lee and C. U. Choi(2010) Comparison of Landcover Map Accuracy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13(1): 89-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10.1080/014311697219295 Ortiz, M.J. , A.R. Formaggio and J.C.N. Epiphanio(1997) Classification of croplands through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GIS and historical database .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18(1): 95-105. 

  23. 10.7319/kogsis.2013.21.4.021 Park, J.G. , S.Y. Go and G.S. Cho(2013) Vegetation Classification using KOMPSAT-2 Imagery and High-resolution airborne imagery in Urban A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21(4): 2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10.5467/JKESS.2018.39.3.241 Park, J.J. , S.W. Oh, K.A. Park, M.S. Lee, J.C. Jang and M.J. Lee(2018) A methodology of ship detection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optical imag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39(3): 241-2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10.1109/72.788641 Scholkopf, B. , S. Mika, C.J.C. Burges, P. Knirsch, K.-R. Muller, G. Ratsch and A. J. Smola(1999) Input space versus feature space in Kernel-based methods .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10(55): 1000-1016. 

  26. Sim, W.S. , S.Y. Sung and C. K. Cheng(2009) Performance Analysis of Support Vector Machine Using Kernel Function. Proceeding of 2009 Symposium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pp. 796-7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Tomppo, E. and M. Katila(1991) Satellite image-based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Finland , Proceeding of IGARSS 1991 Symposium of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 Remote Sensing: 3rd Global Monitoring for Earth Management, pp. 1141-1144. 

  28. 10.1109/TGRS.2007.895830 Voigt, S. , T. Kemper, T. Riedlinger, R. Keifl, K. Scholte and H. Mehl(2007) Satellite image analysis for disaster and crisis-management support .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45(6): 1520-1528. 

  29. Wu, T.F. , C.J. Lin and R.C. Weng(2004) Probability estimates for multi-class classification by pairwise coupling .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5: 975-1005. 

  30. 10.5139/JKSAS.2016.44.8.710 Yong, S.S. , G.S. Kang and H.P. Heo(2016)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Satellite Payloads Technology .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44(8): 710-7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10.1016/S0034-4257(01)00305-4 Zhu, G. and D. G. Blumberg(2002) Classification using ASTER data and SVM algorithms; The case study of Beer Sheva, Israel .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80: 233-2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