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기록물의 수집과 활용
Collecting and using maul record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49, 2016년, pp.299 - 325  

김덕묵 (한국외국어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에서는 마을기록물의 중요성과 유형 및 소장처, 수집과 보존,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을기록물은 주민의 일상 활동을 실증하며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규명하는 데 기여하며 구술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는 마을문화의 자원이다. 마을기록물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유형과 소장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마을기록물은 자치조직의 활동에서 생산된 기록물, 주민의 개인기록물, 마을 안팎에 존재하며 마을사를 증거해 줄 수 있는 기록물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의 수집방법은 정기적 수집과 비정기적 수집 그리고 일반적 수집과 적극적 수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마을기록물은 마을기록관에 보존하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은 주민의 삶의 질과 정서함양에 도움을 주며 책 자, 포스터, 달력, 홍보물, 상징물, 학술 및 교육, 전시, 디지털콘텐츠, 마을사의 사료 및 히스토리마케팅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types, and locations of maul records, and the methods for collecting, preserving, and using them. Maul records reveal the nature of the residents' ordinary lives, help to closely examin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maul, and serve as cultural resources that su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기록물이란? 이 글에서는 마을기록물의 중요성과 유형 및 소장처, 수집과 보존,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을기록물은 주민의 일상 활동을 실증하며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규명하는 데 기여하며 구술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는 마을문화의 자원이다. 마을기록물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유형과 소장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마을기록물의 수집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마을기록물은 자치조직의 활동에서 생산된 기록물, 주민의 개인기록물, 마을 안팎에 존재하며 마을사를 증거해 줄 수 있는 기록물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의 수집방법은 정기적 수집과 비정기적 수집 그리고 일반적 수집과 적극적 수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마을기록물은 마을기록관에 보존하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이 마을 생활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마을기록물은 민간기록물로서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증거해 주는 실증적인 자료이다. 농촌의 자연마을은 물론 도시의 마을공동체에 이르기까지 처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록물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물은 한국의 근현대사를 구성하는 한축이자 밑으로부터의 기록 자료로서 역사연구에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 가정이나 단체, 이장의 직무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료 등 마을에는 많은 기록물이 있다. 이들 자료는 최근은 물론 과거 어떤 행사나 일에 대한 구체적인 연표나 내용을 알려주기도 하며 근현대 생활사를 말해주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마을기록물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은 마을 생활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갈매동 도당굿 학술종합조사단, 구리시. 1996. 갈매동 도당굿: 경기도 구리시 갈매동 도당굿 학술종합조사보고서. 구리: 구리시. 

  2. 경기문화재단. 2007. 평택 일기로 본 농촌생활사 I. 

  3. 김덕묵. 2012. 마을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을기록관'을 제안한다, 기록학연구, 33, 39-84. 

  4. 김상호. 2007. 민간기록물의 수탁 보존기구에 관한 연구, 書誌學硏究, 36, 197-216. 

  5. 윤동환. 2014. 별신굿의 경제적 토대와 제비용 : 계원마을 동문서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60, 99-120. 

  6.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2013. 마을공동체 기록관리 매뉴얼. 

  7. 최윤진. 2012. 성미산 마을 아카이빙 체계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 (편), 일상 아카이브의 발견(119-163). 서울: 선인. 

  8. 최효진, 임진희.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5월 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6, 92-152. 

  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예천 맛질 朴氏家 日記3 : 日記篇. 

  10. 함한희. 2008. 민속지식의 생산과 공공성의 문제 : 마을 민속아카이브 구축과 관련해서, 마을민속 아카이브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민속원. 

  1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디지털광명문화대전. 검색일자: 2016.6.15. http://gwangmyeong.grandculture.ne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