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and Tasks of Vitalizing Private Archives : Focused on Maeul-community Archive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5, 2020년, pp.89 - 108  

손동유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초록

기록관리법이 처음 제정된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기록관리 환경은 많이 바뀌었다. 전자기록환경의 도래, 대통령기록관리의 중요성, 민간기록물관리의 중요성 등은 2006년 기록관리법을 전면 개정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전자기록관리분야와 대통령기록관리 분야는 과제와 한계가 있지만 꾸준히 발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민간분야의 아카이빙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양상에 비해 정책과 제도의 변화는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을공동체 아카이빙의 전국적 움직임은 기록관리계의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한 사회는 민간영역과 공공영역의 서로 협력하고 건강한 견제관계를 이룰 때 발전하게 된다. 아카이빙 분야에 있어서도 관민의 협력을 통해 사회전반에 걸쳐 활발한 아카이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enty years after the Records Managemen Act was first enacted, the archiving environment has changed a lot. The advent of the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managing private records have been a direct background to the 2006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을의 중심적 위치에서 개인과 마을의 문화적 토양을 풀무질하는 곳으로 일종의 ‘복합문화공간’ 또는 커뮤니티 센터에 가까우며 마을도서관, 마을기록관, 마을역사관, 마을치유센터, 마을창업센터 등을 포괄하는 ‘마을 아르페’ 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국가나 중앙의 거시적 차원의 도서관, 박물관, 역사관 등의 한계를 지적하며 기록학 분야에서 공부하거나 일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사회진출의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 그런데, 이들 조직 중에 정당의 경우에는 공공기록관리법에서 포괄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대기업, NGO, NPO 등은 공고한 조직과 조직운영을 위한 행정 매뉴얼을 갖추고 있으며 전업 직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방법을 상당부분 차용할 수도 있고, 조직의 정책적 결정에 따라 제도적으로 기록관리를 할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기도 하다. 다만, 마을공동체의 경우 사회적 존재의미와 가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비해 임의적 조직구성과 운영을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자체의 의지로 스스로 방법을 강구해가면서 아카이빙을 해 나가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주로 마을공동체의 기록관리를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 사전적 정의를 바탕으로 민간 아카이브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관련된 제주체들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은 민간 아카이브에 대한 정책을 구체적으로 마련해 나가야 한다.
  • 기록의 본질적 성격과 품위를 확보하는 일이다. 아카이빙은 기록물을 재현 가능하도록 안전하고 장기적으로 보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훼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존되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지만, 아카이빙의 궁극적 활동이 기록물 자체에 집중되어서는 본질을 잃게 된다.
  • 두 곳 모두 설립 초기이며,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국가적 재난으로 인해 눈에 띄는 활동을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앞으로 활동이 본격화 되는 시기에 주민기록 생산 환경마련, 수집과정의 주민 직접참여 등 아카이빙에 있어서 주민참여를 명실상부하게 보장하는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미 활동하고 있는 마을공동체 기록활동의 현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이들과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하여 주민들이 기록주체로 자리매김 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바란다.
  • 공공영역 이외의 분야에서 아카이빙에 대한 인식과 대처는 매우 다양해서 일반화하기 어렵다. 현황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도 미미한 관계로 대략적인 상황만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우선, 정당의 경우 스스로 기록관리의 필요성이나 의지를 보인 경우는 별로 없다.

가설 설정

  • 관리대상 기록을 확보하는 단계, 기록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단계, 원활하게 활용하는 단계를 잘 설정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운영해야 한다.13) 우선, 기록의 자격(資格)을 갖추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자격이란 일정한 일에 맞는 조건이나 능력을 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곽건홍. (2011). 일상아카이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2. 곽건홍. (2020). 비정규노동 수기와 노동의 기록화. 기록학연구, 64, 5-25. 

  3. 김익한. (2010). 마을 아카이빙 시론. 기록학연구, 26, 151-172. 

  4. 김익한. (2018).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기록학연구, 55, 165-208. 

  5. 설문원, 김영.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 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09-251. 

  6. 손동유, 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4. 

  7.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8. 이경래. (2015).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모델 연구. 기록학연구, 45, 51-82. 

  9. 이경용. (2020). 일본의 지방아카이브 연구. 기록학연구, 64, 93-118. 

  10. 이경용. (2019). 지방아카이브의 역할. 기록학연구, 59, 129-157. 

  11.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 시론-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18, 221-254. 

  12. 이영남. (2012). 공동체 아카이브의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13. 이영남. (2018). 국가기록혁신과 기억담론. 기록학연구, 56, 49-80. 

  14. 이영남. (2020). 일상생활과 기록. 기록학연구, 63, 167-225. 

  15. 이정은, 김유경, 김건. (2020). 민간기록물관리에 관한 조례 현황 연구. 기록학연구, 64, 119-155. 

  16. 장대환, 김익한(2019).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 기록학연구, 59, 277-320. 

  17.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2019). 지역 역사문화 아카이빙을 위한 김포 북변동 스토리텔링 사업 소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1), 275-281. 

  18. Andrew Flinn. "Community Histories, Community Archives: Som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Vol.28, No.2, October 2007, p.1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