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구급대원의 아나필락시스 환자에 대한 병원 전 응급처치 현황 및 개선 방안
Prehospital care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o anaphylaxis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0 no.1, 2016년, pp.57 - 70  

최장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조유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최은숙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mergency care for patients with anaphylaxi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prehospital car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119 emergency running sheets and medical records of 109 patients diagnosed with anap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19구급대를 통해 성남시에 소재한 3차 의료기관을 내원한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구급활동일지 및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119구급대원 및 응급의학과 의사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병원 전 응급처치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아나필락시스 환자 평가에 따른 병원 전과 병원 내 응급처치의 현황을 분석하고, 119구급대원과 응급의학과 의사가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119구급대원의 아나필락시스 환자에 대한 지식정도와 개선방안을 파악하여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아나필락시스로 병원을 내원한 환자들의 병원 전 단계 및 병원 내에서 시행한 환자평가 및 응급처치 현황을 분석하고, 현장에서 구급업무를 맡고 있는 119구급대원과 응급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급의학과 의사의 설문을 통해 직접의료지도나 간접의료지도를 통해 구급차에 에피펜을 비치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아나필락시스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나필락시스란? 아나필락시스란 심한 쇼크 증상처럼 과민하게 나타나는 항원·항체 반응[1]으로 면역학적 기전에 의한 반응뿐만 아니라 비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아나필락시스와 유사한 증상이나 징후를 보이는 유사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2].
119구급대원의 아나필락시스 환자 평가에 따른 병원 전과 병원내 응급처치의 현황을 분석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는 1개의 3차 의료기관의 아나필락시스 환자, 8개 시·도의 119구급대원과 4개 시·도의 응급의학과 의사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아나필락시스의 특징은? 아나필락시스는 피부계, 호흡기계, 심혈관계, 신경계, 위장관계 중 2가지 이상의 계통에서 증상 및 징후를 보이며[3], 중증의 경우 청색증, 착란, 실신, 의식소실 등이 나타난다[4]. 따라서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장애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he Standardized Korea Language Dictionary. Anaphylaxis. Available at: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2016. 

  2. Novembre E, Cianferoni A, Bernardini R, Mugnaini L, Caffarelli C, Cavagni G et al. Anaphylaxis in children: Clinical and allergologic features. Pediatrics 1998;101(4):E8. http://dx.doi.org/10.1542/peds.101.4.e8 

  3. American Heart Association. Part 10.6: Anaphylaxis. Circulation 2005;112(24):143-5.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5.166568 

  4. Brown SG. Clinical features and severity grading of anaphylaxis. J Allergy Clin Immunol 2004;114(2):371-6. http://dx.doi.org/10.1016/j.jaci.2004.04.029 

  5. Weiler JM. Anaphylaxi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frequent and occasionally fatal disorder that is underrecognized. J Allergy Clin Immunol 1999;104(2):271-3. http://dx.doi.org/10.1016/s0091-6749(99)70363-5 

  6. Lieberman P, Camargo CA, Bohlke K, Jick H, Miller RL, Shecikh A et al. Epidemiology of anaphylaxis: Finding of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epidemiology of anaphylaxis working group.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06;97(5):596-602. http://dx.doi.org/10.1016/s10811206(10)61086-1 

  7. Yang MS, Lee SH, Kim TW, Kwon JW, Lee SM, Kim SH et al.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of anaphylaxis in Korea.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08;100(1):31-6. http://dx.doi.org/10.1016/s1081-1206(10)60401-2 

  8. Brown AF, McKinnon D, Chu K. Emergency department anaphylaxis: A review of 142 patients in a single year. J Allergy Clin Immunol 2001;108(5):861-6. http://dx.doi.org/10.1067/mai.2001.119028 

  9. Park SW, Lee BG, Yun SW. Necessity of epinephrine in pre-hospital stage: In the early management of anaphylaxis following a bee sting. J Korean Soc Emerg Med 2012;23(5):578-83. 

  10. The Kyoungsang Ilbo. Be careful bee sting. Available at: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5876, 2015. 

  11. The Busan Ilbo. The death cause of firefighter is bee sting. Available at: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908000047, 2015. 

  12. Simons FE, Ardusso LR, Bilo MB, El-Gamal YM, Ledford DK, Ring J et al. World allergy organization guideline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naphylaxis. World Allergy Organ J 2011;4(2):13-37. http://dx.doi.org/10.1097/wox.0b013e318211496c 

  13. Kim JH, Lee KY. Prehospital care and improvement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for the insect bite pati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1):63-78. http://dx.doi.org/10.14408/kjems.2013.17.1.063 

  14. Korean Council of Professor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Emergency care(Bledsoe, Porter, Cherry). 4th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Co, 2014. 335-49. 

  15. Kim MJ, Choi GS, Um SJ, Sung JM, Shin YS, Park HJ et al. Anaphylaxis; 10 Years' experienc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28(4):298-304. 

  16. Cho BJ, Moon SJ, Kim SR. The effect of medication in the patients with bee-st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1):350-6.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1.350 

  17. Moon IJ, Park HJ, Kim SR, Koh BS, Leem DW, Park KH et al. Drug-induced anaphylaxis in a single Korean tertiary hospital. Korean J Med 2015;88(3):281-7. http://dx.doi.org/10.3904/kjm.2015.88.3.281 

  18. Rea TD, Edwards C, Murray JA, Cloyd DJ, Eisenberg MS. Epinephrine use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for presumed anaphylaxis. Prehospital Emergency Care 2004;8(4):405-10. 

  19. Monsieurs KG, Nolan JP, Bossaert LL, Grief R, Maconochie IK, Nikolaou NI et al.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for resuscitation 2015: Section 1. Excutive summary. Resuscitaion 2015;95:1-80.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5.07.038 

  20. Fisher MM. Clinical observations on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anaphylactic cardiovascular collapse. Anaesth Intensive Care 1986;14(1):17-21. 

  21. Muraro A, Roberts G Clark A, Eigenmann PA, Halken S, Lack G et al. The management of anaphylaxis in childhood: Position paper of the European academy of allergology and clinical immunology. Allergy 2007;62(8):857-71. http://dx.doi.org/10.14408/10.1111/j.1398-9995.2007.01421.x 

  22.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Committee on Trauma,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National Association of EMS Physicians, Pediatric Equipment Guidelines Committee-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Children(EMSC) Partnership for Children Stakeholder Group, American Academy Pediatrics. Equipment for ambulances. Pediatrics 2009;124(1)e166-71. http://dx.doi.org/10.1542/peds.2009-1094 

  23. Jun YK, Jo SO, Jeong TO, Jin YH, Lee JB, Yoon JC et al.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provided by 119 rescuer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transported to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covering a rural area.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5):391-9. 

  2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17428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