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호소가 호흡곤란인 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원의 병원전 응급처치 현황
Prehospital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7 no.1, 2013년, pp.41 - 50  

윤성우 (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  최보람 (대전유성선병원) ,  이경열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by figuring out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based on run-sheet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 A total of 336 dyspnea patients were transferred to G univers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언급했듯이 호흡곤란은 다양한 질환으로부터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질환을 파악하기 위한 환자 평가 및 각 질환에 따른 적절한 응급처치가 필수적인데, 아직까지 호흡곤란 환자에 대한 병원전 환자평가나 응급처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호소가 호흡곤란인 환자에 대한 병원전 평가 및 처치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에 의해 내원한 주호소가 호흡곤란인 환자에 대한 병원 전 환자평가와 응급처치를 분석하고 이송된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의 주진료과를 분석하여 호흡곤란환자에게 제공하는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시도하였다. 호흡곤란 환자 총 336명 중 연령은 60세 이상이 57.
  • 본 연구는 병원 전 응급환자로 분류되는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해 119 구급대원들의 병원 전 처치 실태를 알아보고 환자평가 및 응급처치의 개선점을 파악하여 119구급대원의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시도되었다. G광역시에 있는 1개 대학병원 응급실에 119구급대를 통해 내원한 환자 중 2011년 1년간 주증상이 호흡곤란인 환자 336명을 대상으로 구급활동일지와 병원의무기록지를 SPSS 19.
  • 본 연구에서는 주호소가 호흡곤란인 환자에 대한 병원 전 단계에서 119 구급대원이 실시한 환자 평가와 응급처치 및 이송된 의료기관에서의 주 진료과를 파악함으로서, 호흡곤란에 대한 환자평가 및 응급처치의 개선점을 찾아 119구급대원의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2조 제 1호에서 정의하는 호흡 곤란 증상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2조 제 1호에서 호흡 곤란 증상은 ‘응급증상 및 이에 준하는 증상’으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응급환자로 분류하고 있다[4]. 이러한 응급환자의 특징은 즉각적인 치료를 받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 당하거나 주요 장기의 영구적 기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점으로 최단 시간 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5], 병원 내에서의 적절한 치료뿐만 아니라 병원 이송 전 단계에서 환자에게 시행되는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와 이송은 환자의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6] 병원 단계의 처치에 반드시 우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호흡곤란이란? 호흡곤란이란 대체로 숨을 쉴 수 없거나, 호흡하기 어려운 불안정한 상태와 공기부족을 표현하기도 하며 빈맥, 빈호흡, 과환기, 노력성 호흡, 기좌호흡 및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등의 신체적 증상을 말한다[7]. 이러한 호흡곤란은 호흡기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이다.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가 중요한 이유는? 소방 119 구급대가 편성된 이래 해마다 119를 호출하여 병원으로 이송되는 환자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1]. 특히 생명과 직결되는 심장, 호흡, 순환과 관련된 질환을 가진 응급환자는 병원으로 이송되기까지 적당한 응급처치를 취하지 않으면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으며 예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tatistics Korea.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rescue-aid. Available at: http://www.kostat. go.kr, 2011. 

  2. Brice JH, Valenzuela T, Ornato JP, Swor RA, Overton J, Pirrallo RG, et al. Optimal pre-hospital cardiovascular care. Prehosp Emerg Care 2001;5(1):65-72. 

  3. Rho SG, Lee JK, Kim JH.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ehospital emergency care and education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J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2012; 13(5):2117-24. 

  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 2011. 

  5. Park IC, Lee KR, Lee HS. The severity of emergency patient via ambulance. J Korean Soc Emerg Med 1996;7(1):104-10. 

  6. Lee KH, Yoon YC, Ahn SH, Kim WY, Kim KH, Kim HY, et al. The retrospective research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using the new standardized record of the 119 EMS system. J Korean Soc Emerg Med 1998;9(2):220-30. 

  7. Braithwaite S, Perina D. Dyspnea. In Marx J, Hockberger R, Ron W. Rosen's Emer-gency Medicine (ed). Missouri: Mosby, 2002. 155-62. 

  8. Statistics Korea. 2010 Statistical yearbook for cause of death.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2010. 

  9. Shiber JR, Santana J. Dyspnea. Med Clin North Am 2006;90(3):453-79. 

  10. Jo YH, Shin SD, Suh GJ, Kim JS. The effect of hospital-base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on the prehospital measurement of vital signs. J Korean Soc Emerg Med 2007;18(4):267-76. 

  11. Jun YK, Jo SO, Jeoug TO, Jin YH, Lee JB, Yoon JC. et al.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provided by 119 rescuer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transported to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covering a rural area.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5):391-9. 

  12. Ahn HJ. Prehospital treatments of the patient with hypoglycemia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analysis of the current data and survey. J Korean Soc Emerg Med 2010;14(1):31-46. 

  13. Lee KR. Appraisal of prehospital care by 119 squa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2005, Seoul, Korea. 

  14. Kim MJ. Assessment of appropriateness for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2010, Seoul, Korea. 

  15. Kim YK, Ryoo JH, Moon WS, Chun BJ, Heo T, Min YI. An analysis on the patient transported via 119 system. J Korean Soc Emerg Med 2000;11(2):190-5. 

  16. Eun SJ, Kim H, Jung KY, Cho KH, Kim Y. Prospective multicenter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2007;18(3):177-89. 

  17. Yun SW, Lee KY. Prehospital car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o trauma pati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2):27-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