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문화권(安東文化圈) 안동권씨(安東權氏) 뜰집의 변천과정(變遷過程) -안동권씨(安東權氏) 복사공파(僕射公派)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Ddeulzip in Andong Kwon's Family at Andong Cultural Area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2, 2016년, pp.45 - 56  

김화봉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Ddeulzi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lan family of Andong Kwon in Andong Area. Ddeulzip's evolutionary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divided into largely three periods in Josun Dynasty. The establishment and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뜰집의 변천을 분석하기 위한 본 연구의 진행은 안동권씨의 계보를 파악한 후, 전기·중기·후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어떤 조영의 특성이 있는가를 분석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안동문화권에 조선 초기에 정착한 대표적 씨족인 안동권씨의 뜰집을 대상으로 그 변천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는 안동문화권 안동권씨 복야공파의 뜰집을 대상으로 조선 초기~20세기까지의 기간을 약 2세기씩 삼분하여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변천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안동권씨가 안동문화권에 정착한 이후 어떤 분파과정을 거쳐 각 지역에 정착하였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인류학적 방법론에 의거, 우리나라 家系의 가장 정확한 기록유산인 氏族의 族譜를 통해 변천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족보에는 일반적으로 건축 유구에 명확히 나타나 있지 않은 가계의 분파과정이 정확히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가계의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뜰집의 전후 맥락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1. 전기(15~16C)에는 입향과 분파에 의해 씨족의 정착이 완성된 시기라 할 수 있다. 고려 충신인 입향조는 조선 초기에 안동 송파에 입향하였지만, 뜰집을 짓지는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동권씨 가문이 조선에의 벼슬을 할 수 없었던 명분은 무엇인가? 이렇게 조선에의 벼슬을 거부하고 은둔한 대표적인 가문으로 안동권씨를 들 수 있다. 이들이 조선에 벼슬할 수 없었던 명분은, 태조 왕건에게서 성을 하사 받은 태사 권행(太師 權行)2)의 후손이었기 때문으로도 볼 수 있다.
고려 시대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면서 재산상속법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고려시대까지의 재산상속법은 균분제였지만, 유교를 국교로 한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宗法制7)를 근간으로 한 장자우대 상속체계로 변경되자, 주거의 승계 또한 장자 승계체계로 자리 잡았다. 그리하여 조선시대의 상류 주거의 변천을 분석하기 위한 계보인 직계와 분가의 체계는 각 씨족의 族譜를 통하여 그 변천과정을 명확한 기록으로 남기게 되었다.
안동권씨 15世 권인은 고려가 망한 뒤, 어떻게 행동하였는가? 조선이 건국되자 不事二君했던 고려 귀족의 대표적인 인물이 안동권씨 15世 권인(權靷)3)이다. 그는 고려가 망하자 바로 안동으로 이주하였고, 그의 후손들은 안동문화권 4곳에서 큰 상류주거들을 갖춘 씨족마을4)을 형성했다. 이것은 고려의 귀족이 조선의 시작과 함께 안동문화권으로 전입하여 어떻게 적응해 갔는지의 의문을 제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安東權氏僕射公派世譜編纂委員會, 安東權氏安東權氏僕射公派世譜, 회상사, 대전, 1980 

  2. 송지향, 安東鄕土誌 上.下, 대성문화사, 1983 

  3. 정진영, 향촌사회사, 한길사, 1998 

  4. 김화봉.조성기, 안동문화권 '뜰집'의 建築 時差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4권, 제4호, 141-150쪽, 1998. 4 

  5. 안동권씨도촌문중, 安東道溪村, 삼립인쇄출판사, 1999 

  6. 김화봉, 조선시대 안동문화권의 뜰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7. 安東權氏參議公派世譜編纂委員會, 安東權氏參議公派世譜, 대보사, 대구, 2002 

  8.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유교문화권 전통마을 3: 예천 금당실.맛질 마을 - 정감록이 꼽은 길지, 예문서원, 2004 

  9. 김화봉, 豊山金氏마을 뜰집의 變遷過程 관한 硏究 - 安東 五美마을과 奉化 梧麓마을의 族譜를 바탕으로, 건축역사연구, 13권, 3호, 51-67쪽, 2004. 9 

  10.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유교문화권 전통마을 5: 안동 가일마을 - 풍산들가에 의연히 서다, 예문서원, 2006 

  11. 충재선생박물관, 忠節世鄕 닭실, 동신기획인쇄, 2007 

  12. 김화봉, 안동문화권 진성이씨 뜰집의 변천과정, 건축역사연구, 22권, 1호, 15-27쪽, 2013. 2 

  13. 김화봉, 안동권 의성김씨 뜰집의 변천과정, 건축역사연구, 23권, 2호, 25-37쪽, 2014. 4 

  14. 김화봉, 안동문화권 재령이씨 뜰집의 변천과정, 건축역사연구, 24권, 2호, 45-54쪽, 2015. 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