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Cultural Asset based Rehabit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Focusing on -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9 no.1, 2016년, pp.51 - 67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의 도시발달은 하드웨어 중심보다 도시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정성적 성장이 중요해지는 성숙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뿐 아니라, 도시 내부의 경쟁력으로서 문화자산의 가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문화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라는 측면에서 서울동화축제의 사례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지역발전에 대한 모델을 찾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동화축제의 구성요소들을 문화자산의 세부특징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적인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휴먼웨어를 중심으로 하는 거버넌스 구조와 다양한 콘텐츠웨어등 생태계 특징에 따라 구분하여, 상호간의 관계와 순환구조를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는 이러한 문화자산의 특징이 물리적 자산과 인문적 자산, 프로그램과 결합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시너지효과 창출의 근거가 되고 있으며, 기존시설의 강화와 확장을 통한 지역재생형 도시재생과 융합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지역혁신형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델은 기존의 물리적 자산뿐 아니라, 축제와 연계된 문화자산을 토대로 도시재생의 방향을 택하고, 축제개최를 위해 다양한 거버넌스들이 결합함으로써, 자생적인 선순환구조를 마련하는 기반이 구축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development-related growth in recent years has become a qualitative growth based on regional identity, rather than a hardware-based growth. For this purpose, strategic approaches to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of the city are required for competitiveness of the city. In this paper, I seek a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잘 알려진 대로 도시재생은 지역을 재활성화 시킨다는 의미로, 이미 번성했던 지역이 쇠퇴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사회·경제적 및 물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재활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존의 관점에서 지역의 정체성은 도시 내부의 자원에 근거하여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문화콘텐츠 등 지역의 문화자산 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지역 단위에서도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도입하여 새로운 도시의 자산으로 구축해나가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구체적인 전략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 도시의 자산으로서 문화자산이 가진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서울시 광진구에서 시행 중인 라는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문화자산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과 도시재생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 동화축제의 구성요소들을 문화자산의 세부특징별로 분석하기 위해 장소의 구성요소들 특징에 따라 세부적인 요인별로 살펴보려 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창조적인 지역재생의 관점에서 하드웨어적 요소, 휴먼웨어적 요소, 콘텐츠웨어적 요소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이는 기반이 되는 인프라와 자연자산, 제도와 인적자산, 예술자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호간의 소통과 공유를 지향하여, 장소의 긍정적 이미지형성과 마케팅에 지속가능성의 특징을 부여하게 된다(이병민, 2012; 정수희·이병민, 2014).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재생과 관련, 지속적인 장소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의 생태계적 관점에서 다양한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광의적 의미에서의 ‘문화자산’을 대상으로 하여 도시재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화적 도시재생 개념과 관련 키워드를 문화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 성과(이병민 외, 2013)를 실제 도시재생의 사례에 적용하여 보다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해보려는 시도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대부분 도시재생정책 및 제도연구, 모델 개발 및 방향에 대한 논의로 치우쳐 있어,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표 2 참조).
  • 서울시 광진구의 라는 사례를 통해서 실제 지역 단위에서 적용 가능한 문화적 도시재생의 모델을 살펴본 본 논문은, 가 중요한 지역의 중요한 자산이자 콘텐츠로서, 하나의 클러스터로 완결되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대상으로서의 적합성이 높다고 분석하였다.
  • 3) 잘 알려진 대로 도시재생은 지역을 재활성화 시킨다는 의미로, 이미 번성했던 지역이 쇠퇴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사회·경제적 및 물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재활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는 지역의 상황에 따라, 도심재개발과 같은 물리적 방식 혹은 지역 공동체 회복과 같은 사회 프로그램, 지역 내 고용창출과 같은 경제적 방식일 수 있으며, 각 방식의 수단은 각 나라나 각 시기의 정치 이념적 성향, 지역의 여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특징은 쇠퇴지역의 특성상,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주민 참여적 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 이러한 사회적 수요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성숙사회를 지향하는 작금의 환경변화 속에서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문화자산을 활용한 새로운 도시재생의 전략 마련이라는 측면에서 사례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기존의 관점에서 지역의 정체성은 도시 내부의 자원에 근거하여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재생과 관련, 지속적인 장소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의 생태계적 관점에서 다양한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광의적 의미에서의 ‘문화자산’을 대상으로 하여 도시재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생태계 관점에서 도시의 구성요소를 하드웨어적 요소, 휴먼웨어적 요소, 콘텐츠웨어적 요소, 소프트웨어적 요소 등으로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문화자산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왜 요구되는가? 성숙사회를 위해 도시가 지향해야 할 성숙한 정신문화와 공유 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발굴 및 개발, 활용은 여전히 미흡한 상태에 머물고 있어, 도시의 성장 패러다임과 불일치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도시의 질적 성장의 한계를 가져오고 있다. 때문에 도시재생뿐 아니라, 도시 내부의 경쟁력으로서 도시의 문화자산 혹은 지역의 역사·문화적 가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의 확장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최근 도시는 더 이상 하드웨어 중심의 도시의 정량적(quantitative) 확장보다, 도시가 가지고 있는 내부 자산을 통해 도시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정성적(qualitative) 성장이 중요해지는 성숙사회(mature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1) 실제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현재 서울시를 비롯한 많은 지자체들은 기반시설의 확충보다는 산업구조의 변화 및 물리적 시간의 경과로 인한 기존 시설의 노후 및 기능 유실에 대해 어떻게 기반시설을 처리하고 지역의 발전을 꾀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사회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경제적 관점에 의하면, 사회는 주요 산업의 흐름에 따라 성장과 수출주도형 산업 중심의 1단계 사회, 서비스 중심의 2단계 사회를 거쳐 인적자원의 창의성을 중심으로 하는 창조산업 중심의 사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경제의 패러다임이 지식(Knowledge) 중심의 사회에서 창조성(Creativity)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병민·이원호,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국토연구원, 2012, 지역거점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추진실태 및 향후 과제. 

  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세계동화축제 개최 연구용역 보고서, 광진구. 

  3. 기윤환, 2011, 인천시 지역고유의 문화자산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도시재생방안연구, 인천발전연구원. 

  4. 김인선 외, 2010, "도시재생을 위한 컬처노믹스적 접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5) (통권259호), pp.285-296. 

  5. 김정아, 2012, "창조도시와 마을만들기", 부산시 창조도시본부 워크숍 발표자료(2012. 2. 24). 

  6. 김준연.남영우, 2012, "도시재생사업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방향성 제고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7(3), 통권21호, pp.167-176. 

  7. 김혜민, 2011,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창조적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정책연구 1(2) 통권2호,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연수원, pp.25-54. 

  8. 남기범.송정은, 2014, "창조경제정책 논의와 지역발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32-645. 

  9. 도시재생 네트워크, 2009,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10. 백선혜, 2004,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통권105호, pp.888-906. 

  11. 서울동화축제추진위원회, 2015, 2015 서울동화축제 자체 평가보고서. 

  12. 서울특별시, 2014, 어린이 문화마을 컨설팅 연구. 

  13. 신동호, 2015, "독일 루르지역의 도시재생정책:오버하우젠시와 겔젠키르헨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60-75 

  14. 이민화, 2010, "지속가능한 지역재생정책의 추진방향 - 일본 지역재생정책 검토를 통하여", 한국지역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지역개발학회. 

  15. 이병민, 2012, "콘텐츠 생태계 중심 창조적 문화도시의 발전방향", 인문콘텐츠 25, pp.9-38. 

  16. 이병민 외, 2013, 창조경제시대 한국형 지역재생모델 수립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방안 모색,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7. 이병민.이원호, 2013, "창의적 대학의 역할을 통한 지역발전의 특징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7(2), pp.201-216. 

  18. 이병민.이원호, 2014,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15-230. 

  19. 이선영.남진, 2015, "도시재생 수단으로서 지역자산의 의미와 활용실태 분석", 국토계획 50(3), pp.123-151. 

  20. 이소영 외, 2012,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이왕건 외, 2011,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2. 정수희.이병민, 2014,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28-44. 

  23. 조광호, 2013, 문화를 통한 지역 구도심 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4. 조명래, 2010,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한국적 도시재생에 대한 비판적 성찰," 부산발전연구원 주관 공공예술/건축/디자인 세미나자료(2010.6.17) 

  25. 주성재.김희수, 2015, "지명의 브랜드 가치: 경제지리학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431-449. 

  26. 최병두, 2014, "한국의 창조경제와 창조도시에 관한 정책과 담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01-623. 

  27. 허진아, 2011, "뉴욕 하이라인의 지역재생 사례를 통한 공공디자인 방향 모색", 조형미디어학 14(3), 한국일러스트학회, pp.189-196. 

  28. Aitchison, C., & Evans, T., 2003, "The cultural industries and a model of sustainable regeneration: manufacturing 'pop' in the Rhondda Valleys of South Wales", Managing Leisure, vol 8, pp.133-144, Routledge. 

  29. Cooke, P., Lazzeretti, P., 2008, Creative Cities, Cultural Clusters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Cheltenham, UK and Northampton, MA, USA: Edward Elgar. 

  30. del Corral, M., 2005, Cultural industries: towards a policy framework, UNESCO, Presentation of Asia-Pacific Creative Communities:A Strategy for the 21st Century, Jodhpur(India). 

  31. Hesmondhalgh, D, 2012, The Cultural Industries, Sage Publications, 3rd edition. 

  32. Syker, H., Roberts, P., 2012, Urban Regeneration, Syker, H.(eds.), SAGE Publications Ltd. 

  33. http://culturemap.org.au/page/what-cultural-asset (최종열람일: 2016년 2월 1일) 

  34. http://www.seoul.go.kr (최종열람일: 2016년 2월 12일) 

  35. http://www.gwangjin.go.kr (최종열람일: 2016년 2월 11일)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