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동보행 안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Dynamic Walking of a Humanoid Robot 원문보기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v.15 no.2, 2016년, pp.125 - 130  

이지영 (금오공과대학교 전자공학부) ,  조정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이상재 (금오공과대학교 전자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dynamic walking of a humanoid robot. In our method, the inverted pendulum model is used as a dynamic model for a humanoid robot in which the Zero Moment Point (ZMP) and COG constraints of the robot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motion of the robot as that of an in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총 21 자유도를 가지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점 질량 모델을 이용한 보행의 안정성 분석을 통하여 안정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도립진자 모델을 사용했다. 모의실험 결과 ZMP가 안정영역에 존재하지만 실제 보행에서는 불안정함을 볼수 있었고, 동적 안정도 판별에 있어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안정적으로 빠른 보행을 실현하는데 있다. 로봇의 빠른 보행을 실현하기 위해서 기구학적 해석뿐만 아니라 동적 요소를 포함하는 해석을 통하여 동적으로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고리듬을 필요로 하며, 안정적인 보행 알고리듬의 검증을 위하여 점 질량 모델을 통한 보행의 안정도 판별도 필요하다.

가설 설정

  • 로봇의 하체 무게가 상체에 비해 가볍고 허리 관절을 고정한 12 자유도의 다리로 몸체의 Z축에 대한 변위가 없도록 하고, 바닥면과 발바닥 사이의 미끄러짐이 없고 각 축에 대한 모멘트의 영향이 작다고 가정하고, 질량 중심을 몸체 좌표의 중심점으로 두고 모델링했다. 식(1)~(4)에 도립진자 모델의 조건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수식으로 정리되는 COG와 ZMP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관심이 극대화되고 있는 이유?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로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로봇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여러 형태의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구동부와 제어기, 그리고 2차 전지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관심이 극대화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장점? 휴머노이드 로봇은 계단 등이 존재하는 인간의 생활공간에서 별도의 변형 없이 적용될 수 있는 장점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상상이 현실로 이루어진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안정적으로 빠른 보행 실현을 위해 필요한 것은?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안정적으로 빠른 보행을 실현하는데 있다. 로봇의 빠른 보행을 실현하기 위해서 기구학적 해석뿐만 아니라 동적 요소를 포함하는 해석을 통하여 동적으로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고리듬을 필요로 하며, 안정적인 보행 알고리듬의 검증을 위하여 점 질량 모델을 통한 보행의 안정도 판별도 필요하다. 로봇의 관절 구동부에 사용된 RC 서보모터는 위치 제어만 가능하므로 속도제어가 가능한 DC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독립적인 관절을 이용하여 동적 요소에 대한 보상을 하여 로봇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ajita, S., Kanehiro, B., Kaneko, K., Fujiwara, K., Harada, K., Yokoi, K. and Hirukawa, H., "Biped Walking Pattern Generation by using Preview Control of Zero-Moment Point," Proceedings of 200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1620-1626, 2003. 

  2. Kuroki, Y., Fujita, M., Ishida, T., Nagasaka, K. and Yamaguchi, J. I., "A Small Biped Entertainment Robot Exploring Attractive Applications," Proceedings of 200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471-476, 2003. 

  3. Takanishi, A., Lim, H. O., Tsuda, M. and Kato, I., "Realization of Dynamic Biped Walking Stabilized by Trunk Motion on a Sagittally Uneven Surface,"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pp. 323-330, 1990. 

  4. Vukobratovic, M., Brovac, B., Surla, D. and Stokic, D., Biped Locomotion: Dynamics, Stability, Control and Application, Scientific Fundamentals of Robotics, Vol. 7, pp. 102-113, Springer-Verlag, 2012. 

  5. Kim, J. H., Kim, D. H., Kim, Y. J., Park, J. H., Moon, C. K., Seow, K. T. and Koh, K. C., "Humanoid Robot HANSARAM: Recent Progress and Development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rst Humanoid Nan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s and Control, Environment and Management (HNICEM), pp. 1-11, 2003. 

  6. Sung, Y. H. and Cho, D. K.. "An Optimal Initial Configuration of a Humanoid Robo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6, No. 1, pp. 167-173, 2007. 

  7. Park, J. H., Kim, K. D., "Biped Robot Walking using Gravity-Compensated Inverted Pendulum Mode and Computed Torque Control," Proceedings of 1998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3528-3533,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