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혼가족 청소년의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Non-Custodial Paren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2, 2016년, pp.157 - 168  

조성희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facot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with non-custodial parent.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the family function as a factor controlling other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liefs about par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새로운 변수가 투입되는 각 단계마다 모형 전체의 설명력과 추가적인 설명력 변화의 유의미성, 투입된 변수의 유의미성과 영향력을 Table 3에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시하였다. 각 단계의 모형이 갖는 특성 중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주요변수들의 영향력과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기능의 설명력을 살펴볼 수 있는 마지막 단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이혼율과 상당수의 이혼가족에 미성년 자녀가 있는 상황 하에서 이혼가족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완화하고 이들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부모이혼지각, 사회적지지,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가족 청소년들의 비양육 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 과정 속에서 현재 함께 생활하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이 갖는 독자적인 설명력을 검증함으로써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있어 현재 함께 생활하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이 갖는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혼가족 청소년과 비양육부모의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또한 이혼가족 청소년들에게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현재 함께 생활하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이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대해 갖는 독자적인 설명력과 특성을 검토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가족 청소년들의 비양육 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 과정 속에서 현재 함께 생활하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이 갖는 독자적인 설명력을 검증함으로써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있어 현재 함께 생활하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이 갖는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혼가족 청소년과 비양육부모의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혼가족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이혼가족의 자녀 중 한명의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13세에서 19세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선정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청소년상담기관, 중·고등학교, 사회복지기관을 통해 이루어졌다.
  •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이혼율과 상당수의 이혼가족에 미성년 자녀가 있는 상황 하에서 이혼가족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완화하고 이들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부모이혼지각, 사회적지지,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혼가족의 자녀의 특징은? Cho & Lee, 2004; Felner, 2006; Masten & Coastsworth, 1998; Wallerstein, Kelly, & Blakelee, 2000). 이혼가족의 자녀들은 비이혼가족의 자녀들에 비해 생활 속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비행과 문제 행동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관련하여 정신과 상담 서비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높게 관찰된다(Emery, 1999; Joo & Cho, 2004; Wallerstein, Kelly, & Blakelee, 2000). 또한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의 저하와 인식능력의 결함을 포함하는 인지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는 비율 역시 높게 관찰되고 있다.
한부모가족의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혼으로 발생한 한부모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 중 전통적으로 많이 제시된 것은 부모의 관점에서 한명의 부모가 양부모의 역할을 모두 담당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역할 과중, 빈곤, 자녀 양육의 어려움 등이다. 하지만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자녀들 역시 역할혼란, 부모 역할을 감당함으로 인한 가족 갈등, 자기 비난이나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정서적 문제, 대인 관계의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Amato & Cheadle, 2005; E. J.
부모이혼지각이란? 먼저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부모의 이혼 경험으로 인해 청소년에게 발생하는 부모이혼에 대한 지각이다. 부모이혼지각이란 청소년이 부모의 이혼을 경험하면서 갖게 되는 신념으로 이혼으로 인해 변화된 상황에 대한 지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Kurdek & Berg, 1987). 이혼에 대한 부정적인 지각은 이혼가족 청소년의 부모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상호작용의 감소와 일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ggerty, Sherrod, Garmezy, & Rutter, 1996;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mato, P. R. (2000).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1269-1287. 

  2. Amato, P. R., & Cheadle, A. (2005). The long reach of divorce: Divorce and child well being across three gener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7(1), 191-206. 

  3. Bae, M. L., & Lee. K. M. (2006). Attachment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of early adolescence: A comparison of only and sibling.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1(1), 113-130. 

  4. Carothers, S. S., Borkowski, J. G., Lefevre, J. B., & Whitman, T. L. (2005). Religiosity and the socio-emotional adjustment of adolescent mothers and their childre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9(2), 263-275. 

  5. Cho, Y. S., & Lee, Y. S. (2004). The effect of social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Mind Science, 7(2), 85-105. 

  6. Choi, J. K. (2013). Adolescents' experience of living with divorced father: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2), 73-99. 

  7. Chung, H. S. (1993). Post-divorce adjustment: The experience of the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4(1), 59-75. 

  8. Demaray, M. K., Malecki, C. K., Davidson, L. M., Hodgson, K. K., & Rebus, P.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udent adjustment: A longitudinal analysis. Psychology in the Schools, 42(7), 691-706. 

  9. Depner, C., & Bray, J. (1993). Nonresidential parenting: New vistas for family living.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 

  10. Emery, R. E. (1999). Postdivorce family life for children. In R. Thompson & P. Amato (Eds.), The post divorce family: Children, parenting, and society. Thousand Oaks, CA: Sage. 

  11. Emery, R. E. (2004). The truth about children and divorce: Dealing with the emotions so you and your children can thrive. Viking/Penguin: New York. 

  12. Epstein, N. B., Baldwin, L. M., & Bishop, D. S. (1983). The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9(2), 171-180. 

  13. Fagerstrom, K. (1997). Divorce and family mediation: Model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rinda, CA: Brookwood. 

  14. Falci, C. (2006). Family structure, closeness to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parent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early and middle adolescence. The Sociological Quarterly, 47(1), 123-146. 

  15. Felner, R. D. (2006). Poverty in children and adolescence. In S. Coldstein & R. B. Brooksw (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New York, NY: Springer. 

  16. Folberg, J., Milne, A. L., & Salem, P. (2004). Divorce: A problem to be solved, not a battle to be fought.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 

  17. Haggerty, R., Sherrod, L., Garmezy, N., & Rutter, M. (1996).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Hetherington, E. M. (2003). Social support and the adjustment of children in divorce and remarried families. Childhood, 10(2), 217-236. 

  19. Hong, S. H. (2004).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 and parenting: The effect of parental divorce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17, 151-177. 

  20. Jang, D. H., & Lee, K. E. (2011). The experience of resilience in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8(4), 49-74. 

  21. Jeong, S. H. (2011). Influences of single-parent family and parental conflict on children's 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4), 165-186. 

  22. Joo, S. H., & Cho, S. W. (2004). Impact of conflict and nurturing factors for the divorced parents on the behaviora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4), 215-237. 

  23. Ju, S. H. (2003). Children's beliefs on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 adjustment problem on parent's post-divorc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2, 182-213. 

  24. Jun, M. H. (2002). A study of the formulation process of coparenting types after divorce.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0(1), 51-73. 

  25. Jun, M. H. (2012). A study on the program for parenting education after separation and divorce.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9(1), 63-79. 

  26. Kang, E. S., & Yi, H. Y. (2013). A preliminary survey for the parental perception of their adolescent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during the consensual divorce. The Journal of Korea Single Parent Family, 6(1), 49-65. 

  27. Kang, H. Y., & Lazarevic, V. (2013). Exploring adolescent-parent relationships in Asian American immigrant families: An ecological perspective.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3(2), 105-122. doi:10.5723/csdc.2013.3.2.105 

  28. Kim, E. J., & Baek, H. J. (2007). The effect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self-esteem: Based on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economical deficiency and parenting. Family and Culture, 19(3), 79-103. 

  29. Kim, H. K., & Chang, H. A. (2015).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program for children of divorce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divorc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3(2), 423-445. 

  30. Kim, H. S. (2005). Post-divorce adjustment of children: Correlates of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the influence of Korean traditional family culture. The Journal of Education, 25(1), 277-302. 

  31. Kim, K. W., & Moon, S. K. (2005). An analysis of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parent-adolescent child relationship.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3(1), 71-84. 

  32. Kim, S. J. (2008). An investigation of divorce education program for divorcing parents in the USA-implications for the developing of divorce education program in Korea. Theology and Ministry, 30, 327-355. 

  33. Kim, Y. H., & Han, G, H. (2006). Divorced noncustodial fathers' and mothers' contac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8), 23-32. 

  34. Kim, Y. K., & Lee, D. M. (2011). Effectiveness of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for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3), 49-81. 

  35. Kim, Y. L. (2014). Changes in social risk structure and family risk in Korea. Family and Culture, 26(2), 151-188. 

  36. Kurdek, L. A. (2002). A 1-year follow-up study of children's divorce adjustment, custodial mothers' divorce adjustment, and postdivorce parenting.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9(3), 315-328. 

  37. Kurdek, L. A., & Berg, B. (1987). Children's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scal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5(5), 712-718. 

  38. Lange, A., Blonk, R., & Wiers, R. (1998). The parent-child interaction questionnaire, PACHIQ.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5(3), 187-198. 

  39. Lange, A., Evers, A., Jansen, H., & Dolan, C. (2002). The parentchild interaction questionnaire-revised. Family Process, 41(4), 709-722. 

  40. Lee, K. E., & Ju, S. H. (2005).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children in post-divorce stage: Related to patterns of child rea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 35-66. 

  41. Lee, S. Y. (2002). Study of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Study of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10, 37-65. 

  42. Lee, S. Y. (2009). The effects of child counseling during divorce procedures.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7(2), 35-49. 

  43. Malecki, C. K., & Elliott, S. N. (1999). Adolescents' rating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ts importance: Validation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Psychology in the Schools, 36(6), 473-483. 

  44. Masten, A. S., & Coastworth, J. D. (1998). The developments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2), 205-220. 

  45. Moon, H. J. (2007). A study for changed aspects after currency crisis in Korean society.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11(1), 83-102. 

  46. Park, J. A., & Yoo, S. K. (2003). Relationship of resilience, spiritual well-being and parental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4). 765-778. 

  47. Park, K. J., Choi, H. Y., & Han, J. A. (2009). Children of divorced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6), 323-336. 

  48. Park, Y. Y., & Kim, K. E. (2005).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adjustment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15-25. 

  49. Risch, S. C., Jodl, K. M., & Eccles, J. S. (2004). Role of the fatheradolescen relationship in shaping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1), 46-58. 

  50. Saphir, M. N., & Chaffee, S. H. (2002). Adolescent' contributions to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1), 86-108. 

  51. Son, S. H. (2013). Divorced mothers' experiences of noncustodial fathers'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 and co-parenting relationship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4), 439-454. 

  52. Statistics Korea. (2014).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in 2013. Daejeon, Korea: Author. 

  53. Wallerstein, J. S., Kelly, J. B., & Blakelee, S. (2000). The unexpected legacy of divorce. New York: Hyperion. 

  54. Yoo, H. J. (2005). A case study about relationships between the non-custodial parents and the children & coparenting after divorc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5, 185-217. 

  55. Yoon, M. S., Lee, M. S., Kim, N. H., & Jeong, H. S. (2012).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and depression among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5, 73-1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