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망간-철 산화물을 이용한 PVdF 나노섬유복합막의 제조 및 비소 제거 특성 평가
Preparation of PVdF Composite Nanofiber Membrane by Using Manganese-Iron Oxide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rsenic Removal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6 no.2, 2016년, pp.116 - 125  

윤재한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장원기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예지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정훈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변홍식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비소(arsenic, As) 제거 특성을 가진 망간-철 산화물(manganese-iron oxide, MF)을 제조하고, 이를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와 복합화를 진행하여 As(III)와 As(V)를 동시에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용 나노섬유복합막(polymer nanofiber membrane with Mn-Fe, PMF) 제조에 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분석을 통해 MF 소재의 형상 및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PMF 복합막의 수처리용 분리막으로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계적 강도, 기공크기, 접촉각 및 수투과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측정결과로부터 망간과 철 비율이 같은 PMF11 복합막의 기계적 강도가 가장 높은 결과값($232.7kgf/cm^2$)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F 소재의 도입에 따라 기공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철 산화물의 조성비가 증가할수록 기공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수투과도 측정결과 MF 소재의 도입에 따라 PVdF 나노섬유막에 비해 약 10~60% 이상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조된 MF 소재 및 PMF 복합막의 비소 제거 특성평가를 통해 As(III)와 (V)의 동시 제거 가능하며, 특히, MF01 샘플의 경우 As(III)와 (V)에 각각 93, 68%의 가장 높은 흡착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된 MF소재 및 PMF 복합막을 통해 수처리용 분리막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d a synthesis of MF having a arsenic removal characteristics and the funda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about the simultaneous removal system of both As(III) and As(V) ions with the composite nanofiber membrane (PMF) based on PVdF and MF materials for the water-treatment applic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소의 흡착제거 특성을 가진 망간-철 산화물(manganese-iron oxide, MF)을 제조하고, 이를 PVdF 고분자 소재와 복합화를 진행하여 As(III)와 As(V)를 동시에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용 나노섬유복합막(polymer nanofiber membrane with Mn-Fe, PMF)의제조에 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흡착을 통한 비소제거 특성을 가진 망간-철 산화물(MF)을 제조하고, 이를 PVdF 고분자 소재와 복합화를 진행하여 As(III)와 As(V)를 동시에 제거가 가능한 수처리용 분리막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다양한 조성비로 합성된 MF 소재를 용매인 DMF에 첨가하여 분산과정을 진행한 후, PVdF와 poor solvent인 아세톤을 첨가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소로 오염된 지하수의 문제점은? 비소(arsenic, As)로 인한 수질오염은 대만, 인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북⋅남미, 유럽까지 전 세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1,2]. 비소로 오염된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할 경우 간, 콩팥 등에 암 발병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특히, 방글라데시에서는 약 3천 5백만 명이 비소 농도 50 ppb 이상으로 오염된 음용수에 노출되어 있으며, 10 ppb 이상의 오염된 음용수에는 약 5천 7백만 명이 노출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비소는 어떤형태로 존재하는가? 비소는 주변 자연조건에 따라 +5, +3, 0, -3의 4가지 산화상태로 존재하며, 그중 자연환경에는 주로 As(III)와 As(V)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서 As(V)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환경에서는 대부분 As(III)로 분포되어 있다[2].
비소 제거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비소 제거 기술은 오염지역의 지하수 수질과 비소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2]. 일반적인 비소제거 기술은 침전, 멤브레인, 이온교환, 흡착 처리기술 등으로 분류된다[1]. 침전처리기술의 경우 대규모 처리시설에서 적합하며[6], 소규모 처리시설에는 멤브레인, 이온교환, 흡착기술이 적합하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B. Bang, E. Y. Choe, and K. W. Kim, "Treatment technologies for arsenic removal from groundwater: review paper", Econ. Environ. Geol., 38, 599 (2005). 

  2. H. C. Yang, "Removal of arsenic by Mn-substituted iron oxyhydroxide from aqueous solution", Master Degree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2014). 

  3. G. H. Song, "Optimal conditions of iron-coated sand and manganese-coated sand preparation and arsenic removal",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Seoul (2006). 

  4. Y. Y. Chang, K. S. Kim, K, H. Song, and J. K. Yang, "Optimal conditions for As(III) removal by filtration system packed with different ratio of iron-coated sand and manganese-coated sand", J. Korean Soc. Environ. Eng., 28, 1186 (2006). 

  5. V. L. Chandra, J. S. Park, Y. Chun, J. W. Lee, I. C. Hwang, and K. S. Kim, "Water-dispersible magnetite-reduced graphene oxide composites for arsenic removal", ACS Nano, 4, 3979 (2010). 

  6. S. W. Nam, K. S. Jang, and K. H. Youm, "Recycling of acidic etching waste solution containing heavy metals by nanofiltration (II) : Dead-end nanofiltration of PCB etching waste solution containing copper ion", Membr. J., 23, 92 (2013). 

  7. S. R. Ryu, "Adsorption of As(III) and As(V) in groundwater by Fe-Mn binary oxides impregnated granular activated carbon (IMIGAC)", Master Degree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2016). 

  8. S. Kumar, R. R. Nair, P. B. Pillai, S. N. Gupta, M. A. R. Iyengar, and A. K. Sood, "Graphene oxide- $MnFe_2O_4$ magnetic nanohybrids for efficient removal of lead and arsenic form w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6, 17426 (2014). 

  9. H. M. Jung,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composite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Master Degree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014). 

  10. W. G. Jang, J. H. Yun, and H. S. Byun, "Preparation of PAN nanofiber composite membrane with $Fe_3O_4$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and its application as a water treatment membrane", Membr. J., 24, 151 (2014). 

  11. K. C. Kim, T. U. Kim, J. K. Lee, J. W. Ahn, S. H. Park, and H. M. Kim, "Performance evaluation of PAN nanofiber air filter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Trans. Korean Soc. Mech. Eng., 39, 885 (2015). 

  12. Y. J. Yao, Y. M. Cai, F. Lu, F. Y. Wei, X. Y. Wang, and S. B. Wang, "Magnetic recoverable $MnFe_2O_4$ and $MnFe_2O_4$ -graphene hybrid as heterogeneous catalysts of peroxymonosulfate activation for efficient degradation of aqueous organic pollutants", J. Hazard. Mater., 270, 61 (2014). 

  13. I. H. Won, W. G. Jang, K. Y. Chung, and H. S. Byun, "Preparation of PVdF/GO composite nanofibrous flat membrane and its permeation characteristics in activated sludge", Membr. J., 25, 67 (2015). 

  14. J. M. Lee, J. S. Kim, S. K. Hong, J. J. Lee, H. C. Ahn, W. I. Cho, and S. I. Mho,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Mn_2O_4$ , cathodes synthesized from various precursors of manganese oxide and manganese hydroxide", J. Korean Electrochem. Soc., 15, 172 (2012). 

  15. S. S. Shin, S. H. Park, Y. S. Lee, M. J. Jung, and H. K. Choi,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ylon/clay nanocomposite", J. Korean Soc. Ind. Appl., 12, 5 (2009). 

  16. H. D. Lee, Y. H. Cho, and H. B. Park, "Current research trends in water treatment membranes based on nano materials and nano technologies" Membr. J., 23, 101 (2013). 

  17. S. C. Park, H. G. Kim, and K. E. Min, "Effect of MMT on anti-water absorption of polyamide/MMT nanocomposites", Polymer(Korea), 37, 113 (2012). 

  18. J. H. Kim, O. J. Lee, F. A. Sheikh, H. W. Ju, and B. M. Moon,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CL/ $TiO_2$ nanoparticle 3D scaffold", Polymer(Korea), 38, 15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