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방사 방법을 이용한 천연 다당류 나노섬유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based Nanofiber Using Electrospinning Method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6 no.4, 2016년, pp.318 - 327  

김세종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  이수정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  우창화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  남상용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를 위하여 알지네이트와 키토산을 이용하여 알지네이트/poly(ethylene oxide)(PEO)와 키토산/PEO 용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용액을 10 mL 플라스틱 주사기에 넣고 금속 노즐에 높은 전압을 공급하였다. 키토산과 알지네이트 용액은 고분자 농도, 온도, 상대습도, 인가전압, 노즐과의 거리, 그리고 용액 속도에 의해 컨트롤되었다. 제조된 나노섬유막은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알지네이트 전기방사를 위한 나노 섬유막의 최적화된 조건은 2 wt% 알지네이트, 2 wt% PEO, $60^{\circ}C$, 노즐과의 거리 15 cm, 20~24 kV, $8{\mu}m/min$이었으며, 키토산 섬유막의 최적화 조건은 2 wt% 키토산, 2 wt% PEO, $25^{\circ}C$, 노즐과의 거리 15 cm, 24 kV, $8{\mu}m/min$이었다. 복합 나노섬유 제조조건은 노즐과의 거리 20 cm, $8{\mu}m/min$, 26 kV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lginate/poly(ethylene oxide) (PEO), and chitosan/PEO solution are prepared by dissolving alginate and chitosan into specific solvent for electrospinning. Solutions are poured into 10 mL plastic syringes with a metal nozzle supplied a high voltage power. The solution of alginate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천연 다당류의 종류 중의 하나인 알지 네이트와 키토산을 전기방사 방법을 통하여 나노섬유 제조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분자량 분포도가 넓은 알지네이트와 키토산을 각각 정제수와 아세트산에 용해를 시킨 뒤 금속필터를 사용하여 내부에 잔류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carrier polymer인 PEO를 첨가하여 방사 용액을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 방법을 통하여 천연 다당류의 종류중의 하나인 키토산과 알지네이트의 나노섬유 제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기 방사 변수인 농도, 습도, 온도, 인가전압, 방사거리, 토출량을 조절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였고, 변수 조절에 따른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11에서 나타나듯이 섬유상은 형성되었지만 섬유 대부분에서 비드가 관찰되었다. 앞선 실험에서 키토산과 알지네이트 섬유를 방사 시 방사거리를 늘림을 통하여 비드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 방사 거리를 15, 20 cm 주어 비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인장력이 작용하여 비드의 생성량은 줄었지만 비드 자체는 사라지지 않았다.
  • 본 연구결과에서는 최적화된 나노섬유의 방사조건을 찾아내기 위한 선행 실험으로서 일정한 분자량 분포가 아닌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키토산과 알지네이트를 사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작하였다. 이는 피부미용 마스크 팩이나 조직배양 분야에서 키토산과 알지네이트를 보다 폭넓게 활용 가능할 것이라 예상되며 따라서 앞으로 나노 섬유막의 물성 평가 및 내오염성, 항바이러스성 등의 평가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전기 방사 변수인 농도, 습도, 온도, 인가전압, 방사거리, 토출량을 조절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였고, 변수 조절에 따른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행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방사 프로세스의 jet의 해석에는 어떤 학문이 필요한가? 전기방사 프로세스는 전기역학과 유체역학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복잡한 메커니즘을 형성하며 특히 jet의 해석에 관해서는 전기수력학, 유변학, 전하, 물질 전달 및 열전달 등의 학문이 집결되어야 하므로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6,7].
전기방사로 얻은 나노섬유 또는 마이크론 섬유는 어떤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가? 전기방사를 통해 얻어진 나노섬유는 부피에 대한 표면적이 매우 크며, 나노섬유 간의 미세한 기공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소재의 복합화가 가능하다는 점 등 많은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나노섬유 또는 마이크론 섬유는 분리용 필터및 생체조직 공학, 전자소자, 전도성 나노 섬유, 센서, 촉매, 복합재료용 보강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검토되고 있다[5].
나노 재료의 정의는? “나노 재료 혹은 나노”라는 지칭을 사용하기 위해선 물질이나 구조가 최소 100 nm (0.1 µm) 이하의 크기를 가져야 하며[10], 직물용 섬유의 경우 직경이 100 nm이고 종횡비가 100 : 1 이상인 1차원상의 고체를 나노 재료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극세사라는 이름으로 가공되는 섬유도 나노섬유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 Sundrrajan, K. L. Tan, S. H. Lim, and S. Ramakrishna, "Electrospun nanofibers for air filtration applications", Procedia Eng., 75, 159 (2014). 

  2. C. Feng, K. Khulbe, T. Matsuura, S. Tabe, and A. Ismai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 spun nanofiber membranes and their possible applications in water", Sep. Purif. Technol., 102, 118 (2013). 

  3. A. Gugliuzza and E. Drioli, "A review on membrane engineering for innovation in wearable fabrics and protective textiles", J. Membr. Sci., 446, 350 (2013). 

  4. L. Lu, X. Han, J. Hua, and M. Ouyang, "A review on the key issues for lithium-ion battery management in electric vehicles", J. Power Source., 226, 272 (2013). 

  5. M. H. Lee, W. S. Song, Y. S. Kim, S. W. Jang, W. C. Choi, and J. Y. Park, "Reinforcing polymer nanofibers through incorpor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J. Korean Vacuum Soc., 21, 41 (2012). 

  6. A. Antony, J. H. Low, S. Gray, A. E. Childress, P. L. Clech, and G. Leslie, "Scale formation and control in high pressure membrane water treatment systems, A review", J. Membr. Sci., 383, 1 (2011). 

  7. U. Y. Jeong, "Development status and recent trends in nanotechnolog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55, 47 (2007). 

  8. G. Taylor, R. S. Londin, and A. Ser, "Electrically driven jets", Math. Phys. Eng. Sci., 313, 456 (1969). 

  9. T. Han, A. L. Yarin, and D. H. Reneker, "Viscoelastic electrospun jets: Initial stresses and elongational rheometry", Polymer, 49, 1651 (2008). 

  10. J. Christopher, N. Timothy, A. Carlos, and R. Kyle, "Polyester separators for lithium-ion cells: Improving thermal stability and abuse tolerance", Adv. Energy Mater., 3, 314 (2013). 

  11. A. MacDiarmid, W. Jones, I. Norris, J. Gao, A. Johnson, N. Pinto, J. Hone, B. Han, F. Ko, and H. Okuzaki, "Electrostatically-generated nanofibers of electronic polymers", Synth. Met., 119, 27 (2001). 

  12. R. C. Brown, "Air filtration", Pergamon Press, Oxford, New York, NY (1993). 

  13. D. J. Kim, J. W. Lee, and S. Y. Nam, "Development trend of membrane filter using ceramic fibers", Membr. J., 26, 87 (2016). 

  14. J. M. Lee, J. H. Park, D. J. Kim, M. G. Lee,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polyimide copolymer membranes by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method", Membr. J., 25, 343 (2015). 

  15. A. D. Augst, H. J. Kong, and D. J. Moonev, "Alginate hydrogels as biomaterials", Macromol. biosci., 6, 623 (2006). 

  16. D. S. Joo, J. S. Lee, J. J. Park, S. Y. Cho, C. B. Ahn, and E. H. Le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tracellular alginase from Vibrio sp. AL-145",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32 (1995). 

  17. S. S. Morshed, M. H. Ravandi, and S. M. Ghiaci, "Study of electrospinning of sodium alginate, blended solutions of sodium alginate/poly (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poly (ethylene oxide)", J. Appl. Polym. Sci., 104, 3245 (2007). 

  18. C. K. S. Pillai, W. Paul, and C. P. Sharma, "Chitin and chitosan polymers: Chemistry, solubility and fiber formation", Prog. Polym. Sci., 34, 641 (2009). 

  19. D. J. Gary, R. Oliver, and W. Rolf, "Chitosan : Multi-functional marine polymer", pp. 39-44, Allured'sC&T agazine, UK (2001). 

  20. S. S. Ojha, D. R. Stevens, T. J. Hoffman, L. I. Clarke, and R. E. Gorga,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chitosan nanofibers formed via templating with polyethylene oxide", Biomacromolecules., 9, 2523 (2008). 

  21. Y. H. Choi, D. E. Wiley, and K. Y. Youm, "Preparation of alginate microspheres using membrane emulsification method", Membr. J., 14, 218 (2004). 

  22. J. S. Park, J. W. Rhim, B. G. Park, S. H. Kong, and S. Y. Nam, "Preparation and gas barrier properties of chitosan/clay nanocomposite film", Membr. J., 15, 247 (2005). 

  23. M. A. Jeong, D. H. Yu, M. J. Koh, J. W. Rhim, H. S. Byum, M. S. Seo, and S. Y. Na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dF microporous membranes with PEG additive for rechargeable battery", Membr. J., 18, 84 (2008). 

  24. J. H. Park, D. J. Kim,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PEG-polyimide copolymer asymmetric flat sheet membrane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Membr. J., 25, 547 (2015). 

  25. H. Y. Lee, H. K. Hwang, S. S. Park, S. W. Choi, and Y. G. Shul, "Nafion impregnated electrospun membrane for PEMFC", Membr. J., 20, 40 (2010). 

  26. B. P. Hong and H. S. Byum,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S-BSA affinity membran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Membr. J., 18, 306 (2008). 

  27. B. P. Hong and H. S. Byun, "Preparation of affinity membrane by electrospinning method", Membr. J., 17, 23 (2007). 

  28. S. Safi, M. Morshed, S. H. Ravandi, and M. Ghiaci, "Study of electrospinning of sodium alginate, blended solutions of sodium alginate/poly (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poly (ethylene oxide)", J. Appl. Polym. Sci., 104, 3245 (2007). 

  29. S. S. Ojha, D. R. Stevens, T. J. Hoffman, K. Sano, R. Klossner, M. C. Scott, W. Krause, L. I. Clarke, and R. E. Gorga,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chitosan nanofibers formed via templating with polyethylene oxide", Biomacromolecules, 9, 2523 (2008). 

  30. J. Ballengee and P. Pintauro, "Morphological control of electrospun Nafion nanofiber mats", J. Electrochem. Soc., 158, B568 (2011). 

  31. N. Chanunpanich, H. S. Byun, and I. K. Kang, "Membrane morphology: phase inversion to electrospinning", Membr. J., 15, 8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