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조리 대학생의 음주행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이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만족도와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교생활 연관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Awareness of Culinary Student Drinking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Stres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3 = no.78, 2016년, pp.139 - 154  

오석태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음주 행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이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관계 연구이다. 대학생활중에 음주습관과 행위는 곧바로 사회생활로 이어진다는 데서 그 심각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조리와 같은 특수 직업분야에서 음주습관은 향후 경력관리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 음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 모두 학교생활 만족도 및 스트레스와 매개 효과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음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학교생활 연관성과 ${\beta}=-.219$, p<0.01로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음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통계수준 ${\beta}=.445$, p<0.01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역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서도 ${\beta}=.213$, p<0.01 유의성을 보이고 있다. 음주 빈도나 습관에 있어서는 남녀 차이가 없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으로 남자가 음주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는 고정관념이 사라지고, 음주는 남녀 모두의 문제로 대두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가 될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대학전공을 구체적으로 연구를 하였지만, 졸업 후 직업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주 행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지속적 연구인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ity between satisfaction /stress with school life and drinking-related behaviors of students majoring in the Dept. of Culinary Arts. The majors taught in college will connect to the job in the future directly. Therefore, in this regard, the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에서의 음주 문제는 직장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과 같이 학교에서의 음주 습관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두고 조리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음주 빈도와 습관이 학교생활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서 전공과 관련하여 일어날 수 있는 스트레스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인의 조리관련 재능 유무에서 오는 스트레스, 조리실습을 하는 동안 육체적인 스트레스, 조리하는 과정에서 다치거나 위험적 요인에 대한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6개 항목을 설정하여 외식조리전공에서 나타날 수 있는 스트레스로 한정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음주습관(음주주기 및 과음빈도)에 따라 음주로 인한 학교생활 연관성, 음주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인식,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음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학교생활 연관성,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음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학교생활 연관성, 학교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주가 미치는 악영향은 무엇이 있는가? et al 2000). 음주는 그 자신에게는 업무능력 저하, 사고확률 증가, 기억 상실, 급·만성질환 유발을 비롯하여 각종 사고에 노출되는 것뿐만 아니라 주위에 관련된 사람들에게는 각종 폭력이나 소란, 그리고 물질적인 손해를 입히기도 한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범법행위 증가로 피해자나 가해자 모두의 가정파괴나 직장에 인력손실 등 갖가지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McNally AM & Palfai TP 2001; Buettner CK․Andrews DW & Glassman M 2009).
만족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만족(滿足)”이라고 하는 것은 개인적인 욕구에 대한 매우 주관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를 수치화 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어 왔다. 만족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마음에 모자람이 없이 흐뭇함”이라고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술을 접하게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3% 즉, 2명에 1명꼴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들이 대학에서 술을 접하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 다양하 지만, 대부분 1학년 신입생 환영회와 선배와 친구 들의 과도한 술을 권하여 이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대학생활에서의 술이 시작되었다는 것이 공통적이었다. 대학생들의 음주는 그 시기에 있어서 청소년과 성인의 중간 단계로서 사회를 진입하기 위해 준비하는 기간이다(Kim KK 등 2013; Kim KH 등 2011; You CY 등 2010; Jung SH 2008; Jung SK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유승 (2006). 직장 내 음주문화 현황과 올바른 조직발전을 위한 연구. 진흥기업(주) 주택사업팀 연구논문, 1-24.서울. 

  2. 통계청 고위험 음주율 (2013). Available from:http://kosis.kr/statHtmL/statHtmL. 

  3. 파이낸셜뉴스 (2014). "1인당 술 연간 소비량 9.16리터, 소주가 1위", 6월 19일. 

  4. Andersson C, Johnsson KO, Berglund M, Ojehagen A (2007). Alcohol involvement in Swedish university freshmen related to gender, age, serious relationship and family history of alcohol problems. Alcohol & Alcoholism 42:448-455. 

  5. Buettner CK, Andrews DW, Glassman M (2009). Development of a student engagement approach to alcohol prevention: The pragmatics project.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8(1):33-37. 

  6. Choi MR, Lee IH (2003). The modera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2):363-383. 

  7. Elliott M, Ainsworth K (2012). Predicting university undergraduates' binge-drinking behavior:A comparative test of the one-and twocomponent theories of planned behavior. Addictive Behaviors 37:92-101. 

  8. Han ES (2008). The research on the college-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MS thesis, Suwon university 12-55, Suwon. 

  9. Ha YJ (2011). Drinking problems,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2):182-189. 

  10. Jang JK (2010). A study on the perceived degre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alent and aptitude development program in junior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MS thesis, Gachon university 3-80, Sungnam. 

  11. Jung SK (2006). The influence of Korean drinking culture and perceived attitude toward alcohol on risky drink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7(2):1-16. 

  12. Jung SH (2008).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accounting classes at commercial high schools. MS thesis, Dankuk University 2-27, Seoul. 

  13. Kang DS, Jang KH (2011).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ympathy and epathy with female drinking in TV drama on drinking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2(2):349-378. 

  14. Kang SI (2000).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s toward hotel restaurant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6(2):135-155. 

  15. Kim BH, Sin MH, Kang GO(2011).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food styling for cooks in a Deluxe hotel.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3):76-88. 

  16. Kim DS (2013) A study on antecedents of employee drinking behavior and its effects on work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3-56, Kyungsan. 

  17. Kim KH, Kim YH, Rho SK, Kim JH (2011). Drinking cultur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1):4932-4939. 

  18. Kim JI, Kim JS, Kim KH, Kim JS (2007). Influences of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and motives for drinking on drinking permissive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3):382-390. 

  19. Kim JM (2009). Study for selective attribute of customer satisfaction in hotel restaurant and family restaurant : In the seoul area. MS thesis, Chungun University 11-67, Hongsung. 

  20. Kim KK, Jea GJ, Lee KI, Park JE (2012). Effects of polic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n drinking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2):83-91. 

  21. Kim SS (2011).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3-78, Chungju. 

  22. Kim YJ, Park YM, Yoon HH (2013). The effects of culinary. Food & beverage employees' stress coping style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3):156-172. 

  23. Kim YS (2003). A study on drinking patterns. Social Welfare Review 8:103-119. 

  24. Knupfer G (1966).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on the epidemiology of alcoholic beverage usage: Definition of amount of intak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56(2):237-242. 

  25. Lee JU (2015). The effect of new sports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3-11, Yongin. 

  26. McNally AM, Palfai TP (2001). Negative emotional expectancies and readiness to change among college student binge drinkers. Addictive Behavior 26:721-734. 

  27. Oh HS (2011). Alcohol consumption rates and the pertception of drinking culture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Wonju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6(2):101-112. 

  28. Park JS (2001).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29. Park SJ (2013). Study about satisfaction of students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with the practical skill class.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30. Rue M (2010). Relationship of alcohol drinking and sociocognitive factor on binge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6(1):63-79. 

  31. Vik P, Carrello P, Tate S, Field C (2000). Progression of consequences among heavy drinking college student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4(2):91-101. 

  32. Vogel-Sprott M (1974). Defining 'light' and 'heavy' social drinking: research implications and hypotheses.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35(4):1388-1392. 

  33. Wechsler H, Lee J, Nelson T, Lee H (2001). Drinking levels, alcohol problems and secondhand effects in substance-free college residences:Results of a national study. Journal of study Alcohol 62(1):23-31. 

  34. You CY, Kim HM (2010).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problem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maladaptive coping strategy.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1(4):137-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