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자정부서비스 이용 실태 추세 분석
Trend Analysis on the Use of E-Government Services in Korea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3 no.3 = no.88, 2016년, pp.3 - 25  

권혁성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김준한 (아주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우리나라의 전자정부서비스 이용 실태조사는 200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통계청 승인통계로 인정받아 매년 엄격한 방법론에 따라 실시되고 있으나, 조사결과에 대한 심층 분석과 함의 도출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이 논문에서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이용 실태조사 결과에 나타난 추세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자정부서비스의 인지도와 이용률이 증가하여 저변 확대에는 성공하였으나, 이용 비중이나 빈도는 정체 또는 후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국민들은 아직도 직접방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전자정부 채널로 바꾸는 속도도 느린 편이다. 또한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에 대해 긍정적인 의향을 갖고 있었으나, 실제 이용은 부진하였다. 이용 활성화 방안으로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의 확대, 연계서비스의 확대, 맞춤형 서비스의 확대, 기존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률 제고,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대한민국정부포털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government has done annual fact-finding surveys on the use of e-government since 2007, but put little effort to analyse and draw implications. We analyzed the trend of the use of e-government in Korea using the survey results of 2012~2015. While the awareness and the user uptake of e-gov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전자정부가 정보제공 및 상호작용 단계는 성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목적은 정보의 검색·조회가 가장 많았으며, 민원서류의 신청·열람·교부도 꾸준히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공공시설·서비스 예약 역시 대폭 증가하여 60% 이상의 국민들이 이용하고 있어,13) 우리나라 전자정부가 정보제공 및 상호작용 단계는 성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세금이나 공과금의 온라인 납부 비율이 뚜렷이 증가하지 않고 40% 전후에 머물고 있는 것은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 측면에서는 아직도 거래 단계가 덜 성숙된 상태라고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 실태조사에서 정의한 전자정부서비스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실태조사에서는 “전자정부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업무를 전자화하여 행정기관 등의 상호간의 행정업무 및 국민에대한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정부”라는 매우 포괄적인 정의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전자정부서비스란 행정기관 등이 전자정부를 통해 다른 행정기관,국민, 기업 등에 제공하는 행정서비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공공기관을 제외하거나, 다른 행정기관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외하거나, 또는 대국민서비스 중에서 특정한 기능이나 과정으로 한정하는 정의도 가능할 것이나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의 파악을 위해서 현 실태조사에서 채택하고 있는 포괄적인 정의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전자정부서비스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방안 중 가장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방안은 무엇인가? 전자정부서비스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경로로는 인터넷 검색이나 배너/광고/링크 등의 통로는 계속 유지하되, 이동광고나 옥외광고는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방안은 직접방문이나 우편 등의 행정서비스 처리과정에서 담당자들이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해 설명을 하고, 민원인들이 사용하여야 하는 서비스들을 중심으로 특화된 홍보 리플렛을 만들어 배포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글로벌리서치 (2009). . 

  2. 김선경 (2013). "지식강화 전자정부포털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 20(2): 39-59. 

  3. 김준한 (2003). "전자정부 고도화를 위한 투자 방향 및 전략." 세미나 발표자료. 

  4. 박철 (2016). "한국, 중국, 미국의 모바일 정보역량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23(2): 19-34. 

  5. 송희준.조택 (2007). "한국의 전자정부: 성과와 과제." , 14(4): 20-37. 

  6. 안전행정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 

  7. 안전행정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 

  8. 앤아이리서치 (2009). . 

  9. 오픈타이드 컨소시엄 (2008). . 

  10. 윤성이.장우영 (2007). "한국의 온라인 정치참여 특성: 수요자 중심 모델을 중심으로." , 14(4): 82-100. 

  11. 이연우 (2009). "e-거버넌스 관점에서의 국가정보화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16(2): 65-81. 

  12. 이영주.강경희.신재우.이중정 (2010). "한국의 전자정부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17(3): 36-56. 

  13. 이혜원.명승환 (2013). "국내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연구동향 분석." , 20(4): 3-22. 

  14. 코리아리서치 (2010). . 

  15. 코리아리서치 (2011). . 

  16. 행정안전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 

  17. 행정자치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 

  18. Accenture (2003). eGovernment Leadership: Engaging the Customer. 

  19. AGIMO (2005). Australian'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E-government Services. 

  20. AGIMO (2006). Australian'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E-government Services: Responsive Government - A New Service Agenda. 

  21. AGIMO (2007). Australian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E-government Services. 

  22. AGIMO (2008). Interacting with Government: Australian'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E-government Services. 

  23. AGIMO (2009). Interacting with Government: Australian'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E-government Services. 

  24. AGIMO (2011). Interacting with Government: Australian'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E-government Services. 

  25. Baum, C. & Di Maio, A.(2000). Gartner's Four Phases of e-Government Model. Stamford, CT: Gartner Group. 

  26. EC (2012). Pubic Services Online - 'Digital by Default or Detour?': Assessing User Centric eGovernmet Performance in Europe - eGovernment Benchmark 2012 - Final Background Report. 

  27. EC (2015). Future-proofing eGovernment for the Digital Single Market : ' An assessment of digital public service delivery in Europe' 

  28. EC (2015) . eGovernment Benchmark Framework 2012-2015: Method Paper Update (Original method paper released July 2012). 

  29. OECD (2009). Rethinking e-Government Services: User-Centered Approaches, OECD e-Government Studies. Paris: OECD. 

  30. RambOll Management (2003). Top of the web: User satisfaction and usage survey of eGovernment services. DG Information Society, EU. 

  31. RambOll Management (2004). Top of the web: User satisfaction and usage survey of eGovernment services. DG Information Society, EU. 

  32. UN (2014). United Nations E-government Survey 2014: E-government for the Future We Wan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