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마늘 고체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id-fermentation Garlic with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4 = no.192, 2016년, pp.446 - 452  

이중복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권기석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Allium sativum L.)은 많은 아시아 지역의 나라에서 민간요법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국내 전통채소류들은 다양한 기능성과 강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고체마늘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마늘 고체 발효를 위해 유산균을 한국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분리 및 KCTC로 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발효유산균 선별은 MRS 고체배지에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마늘 착즙액에 저항을 보이며 증식하는 유산균을 선택하였다. 선별된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고체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731.0-845.2 ug/g과 92.68-413.58 ug/g로 각각 조사되었다. 그리고 DPPH 라디컬 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양성대조구인 비타민 C 50 ppm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당뇨 활성인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유산균 발효마늘에서 양성대조구인 acarbose 50 ppm 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유산균 발효 마늘의 생리학적 활성을 증대를 통해 향후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발효 마늘의 개발을 위해 유산균을 활용이 가능하며, 발효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음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rlic (Allium sativum L.) and its extracts have been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as folk medicines in many Asian countries. This traditional herb has several functional properties and strong biological activities, making it useful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is study inv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늘에 대한 발효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마늘추출물로부터 저항성을 보이는 유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분리균주 각각을 MRS (Difco, USA) 평판배지에 유산균을 도말 후 8 mm disc에 마늘 착즙액 100 ul를 점적하여 평판배지에 올려 37℃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항균활성에 저항성을 보이는 유산균을 선별하여 발효 균주로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의 단점을 보완하고 생마늘의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생마늘 발효가 가능한 probiotics인 유산균 이용한 마늘 발효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활성 등을 조사하여, 유산균 발효 마늘의 활성을 평가하고 기능성 식음료소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otupa, M., Saxelin, M. and Korpela, R. 1996.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ctobacillus GG. Nutr. Today 31, 51-52. 

  2. Amanatidou, A., Smid, E. J., Bennik, M. H. J. and Gorris, L. G. M. 2001.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ke upon exposure to elevated oxygen concentration. FEMS Microbiol. Lett. 203, 87-94. 

  3. An, B. J., Bae, M. J., Choi, H. J., Zhang, Y. B., Sung, T. S. and Choi, C. 2002.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uskaki L. Folium).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212-217. 

  4. Bell, D. S. 2004. Type 2 diabetes mellitus: What in the optimal treatment regimen? Am. J. Med. 116, 23-29. 

  5. Bertozzi, C. R. and Kiessling, L. L. 2001. Chemical glycobiology. Science 23, 2357-2364. 

  6.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7. Cavallito, C. J. and Bailey, J. H. 1944.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 of Allium sativum. I. Isol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on. J. Am. Chem. Soc. 66, 1950-1951. 

  8. Choe, M., Kim, D. J., Lee, H. J., You, J. K., Seo, D. J., Lee, J. H. and Chung, M. J. 2008. A study on the glucose regulating enzym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J. Kor. Soc. Food Sci. Nutr. 37, 542-547. 

  9. Feldberg, R. S., Chang, S. C., Kotik, A. N., Nadler, M., Neuwirth, Z., Sundstrom, D. C. and Thompson, N. H. 1998. In vitro mechanism of inhibition of bacterial cell growth by allici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2, 1763-1768. 

  10.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paramagnetic gas. J. Biol. Chem. 264, 7761-7762. 

  11. Han, D. S. and Kim, S. J. 1994. SOD-like compounds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Bull. Food Technol. 7, 41-49. 

  12. Ide, N., Lau, B. H., Ryu, K., Matsuura, H. and Itakura, Y. 1999. Antioxidant effects of fructosyl arginine, a Maillard reaction product in aged garlic extract. J. Nutr. Biochem. 10, 372-376. 

  13. Jeong, E. B., Choi, J. H., Kim, K. H., Lee, S. K., Hwang, Y. I. and Lee, S. H. 2013. Organosulfur compounds in fermented garlic extracts and the effects on alcohol induced cytotoxicity in CYP2E1-transfected HepG2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42, 342-347. 

  14. Ji, L. L. 1993. Antioxidant enzyme response to exercise and aging. Med. Sci. Sport Exer. 25, 225-231. 

  15. Jung, K. and Park, C. S.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garlic broth during fermentation. Kor. J. Food Preserv. 19, 406-412. 

  16. Kang, M. J., Lee, S. J., Sung, N. J. and Shin, J. H. 2013. The effect of extract powder from fresh and black garlic on main components in serum and organ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Life Sci. 23, 432-442. 

  17. Kang, M. J. and Shin, J. H. 2012. The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estraint stressed rats. J. Life Sci. 22, 1529-1537. 

  18. Kim, J. S. and Cho, S. 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on). Kor. J. Food Nutr. 21, 35-42. 

  19. Kim, J. G., Kang, Y. M., Eum, G. S., Ko, Y. M. and Kim, T. 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Agrci. Life Sci. 37, 69-75. 

  20. Korpela, R., Peuhkuri, K., Läahteenmäaki, T., Sievi, E., Saxelin, M. and Vapaatalo, H. 1997. Lactobacillus rhamnosus GG shows antioxidative properties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culture. Milchwissenschaft 52, 503-505. 

  21. Lee, D. H., Sohn, D. S., Cho, D. Y., Kim, B. J., Lim, Y. Y. and Kim, Y. H. 2010.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Sophora flavescens root extraction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Kor. J. Med. Mycol. 15, 39-50. 

  22. Lee, S. J., Shin, J. H., Kang, M. J., Jung, W. J., Ryu, J. H., Kim, R. J. and Sung, N. J. 2010. Antioxidants activity of aged red garlic. J. Life Sci. 20, 775-781. 

  23. Liu, C. T., Hse, H., Lii, C. K., Chen, P. S. and Sheen, L. Y. 2005. Effects of garlic oil and diallyl trisulfide on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rats. Eur. J. Pharmacol. 516, 165-173. 

  24.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5. Sanders, J. W., Leehouts, K. J., Haandrikman, A. J., Venema, G. and Kok, J. 1995. Stress response in Lactococcus lactis: Cloning, expression analysis and mutation of the lactococcal superoxide dismutase gene. J. Bacteriol. 177, 5254-5260. 

  26. Shahidi, F. and Wanasundara, P. D.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Food Sci. 32, 67-103. 

  27. Shin, J. H., Choi, D. J., Chung, M. J., Kang, M. J. and Sung, N. 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ged garlic at different temperatures. J. Kor. Soc. Food Sci. Nutr. 37, 1174-1181. 

  28. Sheela, C. G., Kumud, K. and Augusti, K. T. 1995. Anti-diabet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sulfoxide amino acids in rats. Planta. Med. 61, 356-357. 

  29. Staba, E. J., Lash, L. and Staba. J. E. 2001. A commentary on the effects of garlic extraction and formulation on product composition. J. Nutr. 131, 1118-1119. 

  30. Stecchini, M. L., Del Torre, M. and Munari, M. 2001. Determination of peroxy radical scavenging of lactic acid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 64, 183-188. 

  31. Swain, T., Hillis, W. E. and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1.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32. Tak, H. M., Kim, G. M., Kim, J. S., Hwang, C. R., Kang, M. J. and Shin, J. 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black garlic with probiotics. J. Life Sci. 24, 549-557. 

  33. Ueda, Y., Tsubuku, T. and Miyajima, R. 1994. Composition of sulfur-containing components in onion and their flavor characters.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108-110. 

  34. Zhishen, J., Mengcheng, T. and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