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체발효 숙지황의 지표성분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Substance in Fermented Rehmanniae Radix Preparat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1 no.1 = no.160, 2010년, pp.58 - 61  

박화용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  엄영란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  마진열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cinal plant Rehmanniae Radix has long been used as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quantitative changes of marker substance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Paecilomyces japonica, honey,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체발효에 있어서 균류의 종류 및 발효 대상물질의 성상에 따라 발효기간에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고체발효기간이 30일이 경과하게 되면 곰팡이 균사의 호흡열에 의한 고체기질의 수분증발 및 균사의 노후와 퇴화가 야기되면서 유기산 및 노페물 등의 축적으로 인하여 발효물질의 상태가 빠른 속도로 극히 불량해지는 경향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동충하초와 영지버섯, 그리고 꿀과 누룩에 대한 최적의 고체발효조건을 잡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과 발효기간을 설정하여 시험발효를 실시하여 관찰한 결과(data not shown), 위의 실험방법에 서술한 바와 같은 조건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따라서 위와 같은 방법을 발효조건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발효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영지버섯, 동충하초, 꿀, 그리고 누룩을 발효원으로 하여 숙지황을 발효시킨 후 발효원에 따라 변화하는 지표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대한약전 제9개정판의 정량법18)에 고시되어있는 숙지황의 지표성분 5-HMF에 대하여 발효 전·후의 함량분석을 통해 발효된 숙지황의 지표성분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雷公 炙論>에서는 무엇을 숙지황이라고 하는가? 지황(地黃, Rehmanniae Radix)은 중국 북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는 현삼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약용식물로 재배 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그 뿌리를 가공하여 약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가공하지 않은 신선한 것을 생지황 또는 선지황 이라하고 건조시킨 것은 건지황, 증숙하여 건조시킨 것을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이라고 한다.1) 생지황과 건지황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神農本草經>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숙지황은 <雷公 炙論>에 최초로 기록되어있는데 이후 장은암은 지황을 구증구포(九蒸九曝) 의 방법으로 증숙시킨 것을 숙지황이라 한다 하였다.2) <本草綱目>에서는 술에 담가 사인가루를 첨가하고 찐 다음 그늘에 말리는 과정을 9회 반복한 것을 숙지황이라 하였고,3)<本草求眞>에서는 지황에 술과 사인가루를 함께 넣고 구증구포하면 맛이 달게되고 자색이 흑색으로 변화하고 腎經으로 직접 들어가 작용한다고 하였다.
숙지황은 어떤 질환에 효능이 있어 사용되고 있는가? 4) 생지황은 신선한 지황의 뿌리로서 약성이 차고 맛은 감고(甘苦)하며 청열(淸熱), 양혈(凉血), 생진(生津)의 효능이 있고, 건지황은 생지황의 껍질을 제거하고 양건한 지황의 뿌리로서 약성이 양(凉)하고 맛은 감(甘)하여 자음보혈(滋陰補血)의 효능과 함께 허약 체질, 토혈, 코피, 자궁출혈, 생리불순, 변비 등에 사용하고 있다. 한편, 숙지황은 생지황이나 건지황을 사인이 함유된 술에 침지시킨 후 술과 함께 찌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9회 반복(구증구포)한 것으로서 약성은 미온(微溫)하고 맛이 감 (甘)하며 자음보혈의 효능 외에도 생리불순, 허약체질, 어린이 발육부진, 치매, 조루, 발기부전 등에 사용되고 있다.5,6)생화학적 성분에 있어서, 생지황과 건지황은 β-sitosterol, stigmasterol, campesterol, rehmanin, fatty acids, catalpol, glucose, γ-butyl amino acid, carbohydrate, norcarotenoid, stachyose, arginin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있으며, 숙지황은 stachyose, verbascose, mannotriose, raffinose, sucrose, glucose, fructose, galactose 등의 당류와 소량의 catalpol, vitamin A, arginine, mannitol, 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숙지황의 구증구포 과정에 따라 당류 성분의 변화는 어떠한가? 5,6)생화학적 성분에 있어서, 생지황과 건지황은 β-sitosterol, stigmasterol, campesterol, rehmanin, fatty acids, catalpol, glucose, γ-butyl amino acid, carbohydrate, norcarotenoid, stachyose, arginin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있으며, 숙지황은 stachyose, verbascose, mannotriose, raffinose, sucrose, glucose, fructose, galactose 등의 당류와 소량의 catalpol, vitamin A, arginine, mannitol, 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7-11) 숙지황의 수치와 약재로의 제조과정에서 반복적인 증숙과 이후 건조과정이 있음으로 해서 건지황에 존재하던 stachyose와 catalpol의 농도가 감소하며 glycoside 들은 완전히 분해되거나 함량이 대폭 감소하는데 비하여 숙지황에서는 다당류가 분해되어 단당류의 농도가 증가하고 분해산물인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 등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4) 숙지황의 품질관리를 위한 지표물질로 예전에는 주로 catalpol, dmannitol, rehmanniosides a-d 등이 사용되었는데,15) 이들 지표물질은 생지황과 건지황 모두에 존재하고 또한 산지와 채취시기에 따라서도 함량의 차이가 있으며, 숙지황의 제조과정 중의 열처리 과정에서 분해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숙지황에만 존재하는 특이성분으로서 증숙과정에서 단 당류의 분해산물로 생성되는 5-HMF를 이용한 숙지황의 품질관리를 위한 분석법이 보고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전국한의과대학교수공편저 (1995) 본초학, 190-192, 580-581. 영림사, 서울. 

  2. 장은암, 엽천사, 진수원 (1981) 本草三家合註, 89. 성보출판사, 서울. 

  3. 이시진 (1981) 본초강목, 1021. 인민위생출판사, 북경. 

  4. Liping, Z., Jun, L., Zhenling, Z. and Lei, W. (2005)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 of preparation method of Radix Rehmanniae Preparata. Journal of Henan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2): 69-71. 

  5. 전국한의과대학교수공편저 (1995) 본초학, 190-192. 영림사, 서울. 

  6. 국가중의약관리국 중화본초편위회 (1999) 중화본초7권, 376-389. 상해과학기술출판사, 상해. 

  7. 이상인, 안덕균, 신민교, 노승현, 이영종, 김선희 (1986) 한약임상응용, 354-355. 성보사, 서울. 

  8. 정보섭, 신민교 (1998) 도해 향약(생약) 대사전, 906-909. 영림사, 서울. 

  9. Tomoda, M., Miyamoto, H. and Shimizu, N. (1994) Structural features and anti- complementary activity of rehmannan SA, a polysaccharide from the root of Rehmannia glutinosa. Chem. Pharm. Bull. 42: 1666-1668. 

  10.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Gonoda, R. and Ohara, N. (1994) Characterization of two polysaccharides having activity on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from the root of Rehmannia glutinosa. Chem. Pharm. Bull. 42: 625-629. 

  11.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Gonoda, R. and Ohara, N. (1994) Two acidic polysaccharides having reticuloendothelial system-potentiating activity from the raw root of Rehmannia glutinosa. Biol. Pharm. Bull. 17: 1456-1459. 

  12. Liu, Z. Y. (1984) Comparison of monosaccharide contents between the raw and prepared roots of Rehmannia. Chung Yao Tung Pao 9: 17-18. 

  13. Ni, M., Bian, B. and Wang, H. (1992) Constituents of the dry roots of Radix Rehmanniae Libosch. Chung Kuo Chung Yao Tsa Chih 17: 297-298. 

  14. Bian, B., Ni, M. and Wang, H. (1991) Analysis and comparison of acidic constituents in petroleum ether-soluble fraction of Radix Rehmanniae and its processed products. Chung Kuo Chung Yao Tsa Chih 16: 339-341. 

  15. 원도희 등 (1991) 상용생약의 성분정량, 198-217. 도서출판 성은, 서울. 

  16. Lee, K. S., Ze, K. R., Hong, S. P., Jeong, J. E., Lee, S. Y., Park, A. K. and Wi, Y. M. (1990) Studies on the extraction quantities of the specific components of crude drug preparations based on prescription (IV) - Studies on the analytical method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its crude drug preparations.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7: 326-331. 

  17. Hwang, B. Y., Kim, M. S., Won, D. H., Kang, S. B., Lee, S. D., Jo, J. H., Kang, S. J., Chi, H. J., Choi, W. H., Ro, J. S. and Lee, K. S. (1997)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Sukjiwhang. Chungbuk J. Pharm. Sci. 12: 29-37. 

  18.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대한약전 제9개정, 969-970. 신일북스, 서울. 

  19.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대한약전 제9개정, 1125. 신일북스, 서울. 

  20.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대한약전 제9개정, 942. 신일북스, 서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