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성능 열차를 활용한 완급행 열차 운행 스케쥴 최적화 방안 연구
Study on Optimization for Scheduling of Local And Express Trains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High Performance Train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9 no.2 = no.93, 2016년, pp.234 - 242  

김무선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김정태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고경준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도시철도의 급행화 방안으로 가감속도가 향상된 고성능 열차를 완행에 투입하고 기존 성능의 열차를 급행에 투입하는 방안은 대피선 수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열차를 완행으로 투입하는 급행화 방안을 토대로, 대피선 수를 최소화하면서 완행 열차의 운행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 최적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최적화 방안은 유전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차두시간, 대피선 위치 및 대피 시간을 설계 변수로 정의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한 최적화 방법론을 서울 7호선에 적용하여 타당한 최적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express operation plans for urban trains, it i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idetracks to apply a high performance train that has improved acceleration/deceleration ability and a regular train to local and express trains,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based on a plan to use a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문제에서 정의한 유전알고리즘이 최적해를 구한 경로에 대해 살펴보자. Fig.
  • 하지만, 그에 앞서 경제적인 급행화를 진행하기 위하여 적절한 대피선의 지정 검토가 필요하며, 운행시간의 단축효과에 대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행시간 단축 및 기존 시설을 대피선으로 활용할 때, 대피선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완급행 운영 방식을 수립할 수 있도록,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 또한 다른 변수들과 같이 고려하여 최적화를 진행할 경우 최적화 프로그램의 복잡성 때문에 별도의 최적화 문제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급행정차역의 위치가 선정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진행하였다. 이번 최적화 문제는 기존 시설을 대피선으로 활용하는 조건때문에 대피선 설치 위치가 제한적이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급행화 방안의 최적화를 진행하는 목적은 기존 노선에서 급행화를 구현하고자 할 때 비용과 직결되는 대피선 수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완행 운영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적용을 위하여 설계 변수와 구속조건 및 목적함수를 우선 정의하여야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노선에 적용하여 완급행 열차를 운영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대피선 수를 줄이고, 동시에 완행열차 운행시간의 최소화가 가능한 운영방안을 찾을 수 있는 최적화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피선은 현재 노선에 갖춰져 있는 Y분기선을 활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대피선 신설을 최대한 회피하였으며, 완행열차에는 가감속도가 향상되고 광폭출입문이 적용된 고성능 열차의 투입을 고려하였다.
  • 위와 같이 스케쥴링 관련하여 다양한 최적화 연구가 진행된 반면, 기존 시설의 급행화 구현시 대피선 등의 최소화 등을 고려한 스케쥴링 최적화 기법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성능 전동차를 투입한다는 가정하에 서울 도시철도 특정 노선에 대하여 기존 시설을 대피선으로 활용하면서 그 대피 횟수를 최소화 하고, 동시에 완행열차의 운영시간을 최소화 하는 완급행 운영방안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노선에 적용하여 완급행 열차를 운영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대피선 수를 줄이고, 동시에 완행열차 운행시간의 최소화가 가능한 운영방안을 찾을 수 있는 최적화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피선은 현재 노선에 갖춰져 있는 Y분기선을 활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대피선 신설을 최대한 회피하였으며, 완행열차에는 가감속도가 향상되고 광폭출입문이 적용된 고성능 열차의 투입을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0년대 대표적인 급행화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대표적인 급행화 연구로는, 1990년대 후반 서울시 지하철 구간을 대상으로 Skip-Stop 방식, 논스톱 및 복합시스템의 급행화 방식을 소개한 연구[2]와 급행 지하철 이용의 통행 특성 및 분석을 통한 통행시간 단축효과에 관한 연구[3]가 진행되었다. 2000년대 들어, 지하철 전구간으로 연구 범위를 넓히고 대피선 및 추가 노선 설치를 통한 급행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Fujita 등[4,5]은 서울시 지하철의 급행화 방안 분석 및 서울역~수원 노선과 오사카~교토간 완급행 현황을 비교하였다.
서울의 경우 도시철도의 수송분담율이 세계 주요 대도시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이유는? 1[1]의 OECD 국가별 출퇴근 소요시간과 교통수단별 분담율을 살펴보면, 서울의 경우 도시철도의 수송분담율이 세계 주요 대도시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그 이유로는 수도권 광역도시철도의 노선우회도가 높으며 역간 거리가 짧아 타 교통수단 대비하여 속도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표정속도를 향상시킨 급행열차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급행화 방안은 어떤 형태인가? 일반적인 급행화 방안은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교차하는 지점에 대피선을 지정하여, 교차시 완행열차가 급행열차 통과 때까지 대피선에서 대기하는 형태이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은 노선 설계시부터 급행화를 고려한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대피선을 지정하여 노선 신설을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S. Kim, J.T. Kim, T.S. Kim, S.S. Park, J.S. Hong, Y.H. Cho, J.H. Min (2013) Study of the Metropolitan Rapid Transport System to Minimize Sidetrack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6(5), pp.1-8. 

  2. J.M. Won, J.H. Hwang (1997) An analysis on time saving effects of urban express rail system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2(6), pp.121-130. 

  3. G.C. Kim, W.H. Kim (1998) A effects of passenger's time saving on express subway system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Seoul, pp.160-171. 

  4. T. Fujita, H.J. Roh, G.C. Kim (2004)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rapid service in urban railway (In Seoul metropolitan area),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Gyeongju, 6, pp.144-149. 

  5. T. Fujita, H.J. Roh, G.C. Kim (2004) A study on development of operation planning for rapid service in urban railway (An introductio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Gyeongju, 6, pp.165-170. 

  6. S.Y. Chung, J.B. Lee, J.S. Lee, B.G. Lim (2010) A review on the operation of high speed train on urban region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Changwon, 7, pp.98-103. 

  7. C.M. Kim (2010) A study on functional positioning and effective analysis of great train express, Report of Gyeonggi Research Institute, 39, pp.3-98. 

  8. G.C. Kim, Y.J. Kim (2002) The analysis of effects on express subway servi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Studies, 3(1), pp.69-80. 

  9. Y.E. Shin (2003) Effects of accelerated transit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3(6D), pp.745-751. 

  10. J.T. Kim, M.S. Kim, J.S. Hong,Y.H. Cho, T.S. Kim (2014) An Analysis of Boarding and Alighting Times for Urban Railway Veh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7(3), pp.210-215. 

  11. O.H. Kwon, M.H. Kim, S.M. Rhee, K.S. Chon (2011) A method for optimal express train stop scheduling using station OD data,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eju, pp.1810-1815. 

  12. A. D'Ariano, F. Corman, D. Pacciarelli, M. Pranzo (2008) Reordering and local rerouting strategies to manage train traffic in real time. Transportation Science, 42(4), pp.405-419. 

  13. N. Tomii, Y. Tashiro, N. Tanabe, C. Hirai, K. Muraki (2005) Train rescheduling algorithm which minimizes passengers' dissatisfaction. Innovations in Applied Artificial Intelligence,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533. Springer, Berlin, pp. 829-838. 

  14. C.G. Walker, J.N. Snowdon, D.M. Ryan (2005) Simultaneous disruption recovery of a train timetable and crew roster in real time.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32(8), pp. 2077-2094. 

  15. J. Rodriguez (2007) A constraint programming model for real-time train scheduling at jun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41(2), pp. 231-245. 

  16. A. Ginkel, A. Schobel (2007) To wait or not to wait? The bicriteria delay management problem in public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Science, 41(4), pp. 527-538. 

  17. K. Sato, K. Tamura, N. Tomii (2013) A MIP-based timetable rescheduling formulation and algorithm minimizing further inconvenience to passengers, Journal of Rail Transportation Planning & Management, 3(3), pp. 38-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