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학생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현황연구 -전북 소재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Accessibility to disabled student of 4-year university campus in Jeollabukdo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4, 2016년, pp.283 - 295  

장명화 (서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정성학 (서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민규 (서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배선영 (서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북소재 4년제 대학교 6개를 선정하고, 각 대학의 편의시설을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 및 기타시설로 나누고 각 시설이 편의증진법의 세부기준에 적합한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학교 편의시설은 전반적으로 편의증진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며, 편의증진법 기준에 맞더라도 이용의 불편함과 관리 부족 등으로 인해 장애학생들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대학 내 보편적 설계에 기초한 편의시설의 기준 적합도를 높이며, 수요자 중심의 고등고육환경 발전을 위한 편의시설 개선과 확충을 위한 논의점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disability facilities in universities and to improve disability facilities for disabled students. First, we selected six universities in Jeollabukdo and categorized their accommodations into exterior connection facilities, interior faciliti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편의시설의 실정은 어떠한가? 장애학생들을 위한 학교 내 편의시설에 대한 기준은 1997년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령(이하 편의증진법)’ 제정을 통해 제시된 것으로, 이 법령에 의하면 장애유무와 상관없이 누구나 학교시설을 이용함에 불편함이 없고, 안전해야 할 뿐 아니라 독립적인 접근이 편리하며, 어떠한 차별 없이 학교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함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9].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열악한 실정으로,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편의시설은 공공 건축물이나 일반 건축물에 비해 편의증진법 준수가 소홀하게 취급되어, 장애학생의 학교 내 이동이 어렵고, 각 학교시설에 대한 접근권리가 보장되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문에 장애학생의 학습권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10]. 그러므로 장애학생에 대한 대학생활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학에서는 장애학생에게 입학문호를 개방함과 동시에 편의시설 설치 등 교육여건의 개선을 통해 이들의 학습권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학생통합교육은 무엇에 중점을 두는가? 다양한 교육적 필요와 능력을 가진 학생통합교육은 장애와 비 장애의 구분 없이 함께 교육을 받는 것으로 장애학생과 비 장애학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 행정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장애학생에게는 일반사회에 적응할 능력을 길러주고, 일반학생에게는 장애학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장애학생을 차별하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처럼 통합교육은 장애학t생과 일반학생이 같은 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가운데 서로를 이해하고[4], 장애학생의 교육적 평등권에 대한 인식 증가와 더불어 이제는 보편화된 교육 형태로서 인식되어지고 있다[5].
학생통합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대상은 누구인가? 다양한 교육적 필요와 능력을 가진 학생통합교육은 장애와 비 장애의 구분 없이 함께 교육을 받는 것으로 장애학생과 비 장애학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 행정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장애학생에게는 일반사회에 적응할 능력을 길러주고, 일반학생에게는 장애학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장애학생을 차별하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 A Choi, "Effects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high school on social distance toward disabled students", Ewha Woman's University, 2003. 

  2. Y. N Hwang,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attitude of th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of education toward an inclusive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4. 

  3. Hunt, P., Alwell, M., Farron-Davis, F., & Goetz, L. "Creating socially supportive environments for fully included students who experience multiple disabiliti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 Vol. 21, No. 2, pp. 53-71. 1996 DOI: http://dx.doi.org/10.1177/154079699602100201 

  4. J, G. Lee, & J. S. Cho, "Evaluation for school facility by disabled experiment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19, No. 1, pp. 47-64. 2006. 

  5. Y. J. Seo, & K. E. Na, "Analyzing fidelity of guidelines on accommodations to accessi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4-year universities in seoul.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Vol. 39, pp. 75-107. 2011 

  6. C. W. Kim, "A study on the campus life realities and support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Dankook university, 2000. 

  7. H. J. Kim, J. G. Kim. & G. J. Seo, "A study on the facilities of university for disabled persons", Collection of dissertations Yeungnam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Vol. 29, pp.61-75. 2000. 

  8. H. S. Yun & Y. I. Kim, "A qualitative study on the use of university libraries b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Visual Impairments Study Academic Journal. Vol. 22, No. 1, pp.17-42. 2006 

  9. H. K. Shin, "A study on the university environmen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Academic Journal. Vol. 10, pp.1-12. 2003. 

  10. C. G. Yoo & G. B. Nam, "actual survey and research on campus convenience facilities considering accessibility o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6, No. 2, pp.29-38. 2004. 

  11. J. M. Seo, "A Study on the Realities of Acces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rovement" InHa University, 2011. 

  12. T. K. Lee, S. Y. Lim & S. H. Lee, "Study on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Handicapped Person in Main National Universities, Korea",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9, pp.67-76. 2009. 

  13. J. J. Kim, "A study of expansion th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 in universities", Korea University, 2002. 

  14. S. I. Park,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mpro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the University of Seoul", Dankuk University,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