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중국 소비자의 패션상품 선택기준과 정보원 이용에 따른 한국 패션상품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 상해지역 20-30대를 중심으로 Chinese Consumers' Satisfaction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of Korean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Their Selection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원문보기
Purpose -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of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hinese selection criteria. They included fashion products, use of information...
Purpose -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of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hinese selection criteria. They included fashion products, use of information source,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Chinese selection criteria of fashion products, use of information source, a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normative-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9 to 28, 2016,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and Duncan 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ection criteria of fashion products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s among groups. Thirty's age group was concerned about price/brand more than the twenty's were. Twenty's were concerned about practicality/quality of the products more than the thirty's. Hallyu/broadcasting was used by men more than by women as an information source of Korean fashion. SNS/WOM(word of mouth) was used more by women than by man. Twenty's showed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customer services/credibility than other factors. The thirty's showed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al role of the service than other factors. Those who utilize each typ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 more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In gener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use of inform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Conclusions -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as well as age, gender, selection criteria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 Chinese consumers could be used as a criteria of market segmentation for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of Korean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manif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s with each satisfaction factors of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Purpose -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of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hinese selection criteria. They included fashion products, use of information source,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Chinese selection criteria of fashion products, use of information source, a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normative-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9 to 28, 2016,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and Duncan 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ection criteria of fashion products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s among groups. Thirty's age group was concerned about price/brand more than the twenty's were. Twenty's were concerned about practicality/quality of the products more than the thirty's. Hallyu/broadcasting was used by men more than by women as an information source of Korean fashion. SNS/WOM(word of mouth) was used more by women than by man. Twenty's showed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customer services/credibility than other factors. The thirty's showed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al role of the service than other factors. Those who utilize each typ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 more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In gener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use of inform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Conclusions -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as well as age, gender, selection criteria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 Chinese consumers could be used as a criteria of market segmentation for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s of Korean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manif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s with each satisfaction factors of on-line purchasing agent service of Korean fashion produc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는 2015년 중국소비자협회에 접수된 온라인 상거래 불만 접수 건이 무려 2만 83건에 달하는 데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Korea Fashion Association, 2016a). 따라서 글로벌 쇼핑 시장의 빠른 성장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중국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대행 관련 태도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소비자들이 구매대행 서비스를 통해서 한국 패션제품 구매 시에 활용하는 정보원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 구매 후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제품 선택 기준 및 정보원 이용정도를 중국 소비자의 한국 패션상품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와 관련지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소비시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20-30대 소비자는 공통적으로 유행에 민감하고 개성 있는 상품을 선호하지만, 1990년대 출생의 지우링허우(20대)와 1980년대에 태어난 빠링허우(30대)의 소비패턴이 두드러지게 차이가 난다(Korea Fashion Association, 2016b)는 점을 고려하여. 이들의 패션제품 선택기준과 정보원 이용도 및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 차이 분석을 통해 온라인 한국 패션제품 구매대행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패션상품 선택기준의 연령・성별 차이를 규명한다. 둘째, 중국 소비자의 한국 패션상품 정보원 이용의 연령・성별 차이를 규명한다. 셋째, 중국 소비자의 온라인 한국 패션제품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의 연령・성별 차이를 규명한다.
제안 방법
조사도구로는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설문 문항은 중국 소비자의 한국패션상품 선택기준, 정보원 이용, 한국패션제품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 및 인구 통계적 특성 측정을 위한 문항 등 4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한국 패션상품 선택기준 측정 문항은 선행연구(Hong & Liu, 2009; Javanmard, 2016; Kim, 2002; Kim, 2015; Li, 2016)에서 사용된 문항을 근거로 하여 작성한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조사연구에 의해 이루어진 본 연구의 표본은 인터넷 쇼핑몰 혹은 쇼핑앱을 통한 해외구매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여 최근 1개월 이내에 한국패션제품을 2회 이상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대 중국 상해지역 소비자들로 구성하였다. 연령을 20~ 30대로 선정한 이유는 중국 인터넷쇼핑 이용자의 연령별 분포에서 20~30대가 가장 높고, 패션상품에 대한 관심도 역시 이 연령대에서 가장 높아,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한국 패션상품 관련 구매대행 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으면서 중국 비즈니스 연구센터의 2015년 모바일 쇼핑앱 누적 다운로드 수 통계에서 각기 1위, 2위를 차지한 탠마우(天猫)와 찡뚱(京东), 그리고 패션제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면서 한국 패션상품 구매대행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위핀회(唯品会)의 고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총 36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2016년 2월 9일부터 28일까지에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불충분하게 응답된 것을 제외, 303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중국에서 한국 패션상품 관련 구매대행 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으면서 중국 비즈니스 연구센터의 2015년 모바일 쇼핑앱 누적 다운로드 수 통계에서 각기 1위, 2위를 차지한 탠마우(天猫)와 찡뚱(京东), 그리고 패션제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면서 한국 패션상품 구매대행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위핀회(唯品会)의 고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총 36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2016년 2월 9일부터 28일까지에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불충분하게 응답된 것을 제외, 303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3.
데이터처리
2016년 2월 9일부터 28일까지에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불충분하게 응답된 것을 제외, 303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ANOVA와 Duncan test, t-test 및 회귀분석에 의해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론/모형
한국 패션상품 선택기준 측정 문항은 선행연구(Hong & Liu, 2009; Javanmard, 2016; Kim, 2002; Kim, 2015; Li, 2016)에서 사용된 문항을 근거로 하여 작성한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한국 패션상품 선택기준 측정 문항은 선행연구(Hong & Liu, 2009; Javanmard, 2016; Kim, 2002; Kim, 2015; Li, 2016)에서 사용된 문항을 근거로 하여 작성한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정보원 이용 측정문항은 Sun and Yoo (2004)와 Kim and Hong (2000)과 Nam and Kim (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들을 토대로 하여 작성한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한국 패션상품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측정문항은 Kim (2012)과 Hong and Liu (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들에 기초하여 작성한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정보원 이용 측정문항은 Sun and Yoo (2004)와 Kim and Hong (2000)과 Nam and Kim (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들을 토대로 하여 작성한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한국 패션상품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측정문항은 Kim (2012)과 Hong and Liu (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들에 기초하여 작성한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먼저 연구자에 의해 한국어로 작성되었고, 이를 제 3자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성능/효과
유행/디자인 요인, 실용/품질 요인, 가격/브랜드 요인 등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들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출한 Cronbach’s α 계수는 0.676 ~ 0.874로 사용에 별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방송 요인, 기업마케팅 요인, SNS/입소문 요인 등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출한 Cronbach’s α 계수는 0.673 ~ 0.847로 사용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 측정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 제품구색, 구매편리성, 접근 용이성, 정보제공성, 신뢰성/AS 등 5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각 요인들의 Cronbach’s α 계수는 .
01). 반면 품질과 가격/브랜드를 고려하는 정도에는 성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남녀 집단 각각이 한국패션제품 구매 시에 고려하는 선택기준들을 살펴본 결과, 남자들은 실용/품질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며, 그다음은 유행/디자인 요인, 가격/브랜드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자들의 경우는 가격/브랜드요인보다 실용/품질요인과 유행/디자인 요인을 더 많이 고려하며, 유행/디자인 요인과 품질 요인을 고려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녀 집단 각각이 한국패션제품 구매 시에 고려하는 선택기준들을 살펴본 결과, 남자들은 실용/품질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며, 그다음은 유행/디자인 요인, 가격/브랜드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자들의 경우는 가격/브랜드요인보다 실용/품질요인과 유행/디자인 요인을 더 많이 고려하며, 유행/디자인 요인과 품질 요인을 고려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방송 요인은 남성이 여성보다(t=10.123, p<0.01), SNS/입소문 요인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t=-5.500, p<0.05)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패션상품에 대한 주된 정보원인 한류/방송프로그램, TV・신문 및 잡지・쇼핑몰 등에 게재된 업체 광고, 그리고 SNS 공유정보 및 구매후기・구매경험자 조언 등의 입소문 이용도가 중국 소비자의 성별에 따라 다른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한류/방송 요인과 SNS/입소문 요인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방송 요인은 남성이 여성보다(t=10.
05)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 광고를 한국 패션상품 정보원으로 사용하는 정도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 집단 각각의 각종 정보원 이용도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에는 한국패션제품에 대한 정보원으로 한류/방송요인을 업체광고나 입소문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 광고를 한국 패션상품 정보원으로 사용하는 정도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 집단 각각의 각종 정보원 이용도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에는 한국패션제품에 대한 정보원으로 한류/방송요인을 업체광고나 입소문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한류/방송요인과 SNS/입소문을 업체광고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집단 각각의 각종 정보원 이용도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에는 한국패션제품에 대한 정보원으로 한류/방송요인을 업체광고나 입소문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한류/방송요인과 SNS/입소문을 업체광고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국 남녀 소비자 모두에게 한류/방송요인이 지닌 한국 패션상품에 대한 정보원으로서의 주요 위치를 반영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20대와 30대 집단 간에 한국 패션상품 정보원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도는 30대가 더 높고, SNS/입소문 활용도는 20대가 더 높으며, 업체 광고 활용도는 연령에 따른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집단 각각의 정보원별 활용도 분석결과에서는, 20대는 한국패션상품 정보원으로 업체광고보다 SNS/입소문과 방송프로그램을 더 많이 사용하고, 30대는 한류/방송프로그램을 업체광고나 SNS/입소문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 집단 간에 한국 패션상품 정보원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도는 30대가 더 높고, SNS/입소문 활용도는 20대가 더 높으며, 업체 광고 활용도는 연령에 따른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집단 각각의 정보원별 활용도 분석결과에서는, 20대는 한국패션상품 정보원으로 업체광고보다 SNS/입소문과 방송프로그램을 더 많이 사용하고, 30대는 한류/방송프로그램을 업체광고나 SNS/입소문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드라마, 예능프로그램 등 한류/방송요인의 홍보력을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946) 어느 정도 높은 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요인마다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 여 각 집단의 요인별 만족도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만족 요인별 만족도의 20대와 30대 간 차이 분석에서는 ‘제품구색’과 ‘AS/신뢰성’ 및 ‘정보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품구색/품질(t=2.888, p<0.05)과 정보제공성(t=3.673, p<0.05)에 대한 만족도는, 20대에 비해 30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S/신뢰성’에 대한 만족도는 20대에 비해 30대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0대와 30대 각 집단의 만족 요인별 만족도 차이 분석결과에서는, 20대의 경우에는 정보제공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AS/신뢰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의 경우에는 다른 요인보다 제품구색/품질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반면 정보제공성 만족도는 더 낮게 나타났다.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회귀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able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원의 이용도가 높을수록 제품구색/품질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NS/입소문 정보의 이용도가 제품구색/품질 만족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광고 등의 기업마케팅 요인과 SNS/입소문 이용도는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서비스의 구매편리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나,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 정도는 구매편리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입소문 정보의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접근 용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S/신뢰성과 정보성에 대한 만족도는 기업마케팅 요인과 SNS/입소문 정보 이용 정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정도와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서비스의 정보제공성 만족도는 서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디자인 요소의 고려정도가 제품구색/품질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행/디자인 요소 측면의 서비스 품질을 중시하는 중국 소비자집단의 제품구색/품질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정도가 개선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유행/디자인 요소 측면의 서비스 품질을 중시하는 중국 소비자집단의 제품구색/품질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정도가 개선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실용성/품질요소의 고려정도는 제품구색/품질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실용성/품질에 대한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의 제품구색/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용성/품질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은 중국 소비자 집단의 제품구색/품질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정도가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실용성/품질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은 중국 소비자 집단의 제품구색/품질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정도가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격/브랜드 관련 요소에 대한 고려정도는 제품구색/품질 만족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디자인 요인의 고려정도가 구매편리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반면 가격/브랜드 고려정도는 구매편리성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가격/브랜드 고려정도가 높은 소비자는 유명브랜드 혹은 선호하거나 충성도가 형성된 특정 브랜드의 제품 구매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유명브랜드일수록 온라인 구매 대행서비스 체제의 구매편리성 구비정도가 더 높은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유행/디자인 요인과 실용성/품질 요인의 고려정도는 접근 용이성 만족도와 관계가 없으나, 가격/브랜드 고려정도는 접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값은 –3.64, 유의확률 0.000).
중국 소비자의 패션제품 선택기준별 고려정도가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 서비스의 AS/신뢰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R2값이 0.36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모형의 설명력이 36%로 나타났고, 모형의 타당성을 나타내는 분산분석표의 검정통계량인 F값이 33.65,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회귀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행/디자인 요인의 고려정도와 AS/신뢰성 만족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유행/디자인 요인의 고려정도와 AS/신뢰성 만족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실용성/품질 요인 고려정도(t값 4.08, 유의확률 0.000)와 가격/브랜드 요인(t값 4.08, 유의확률 0.000) 고려정도는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의 AS/신뢰성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성/품질과 가격/브랜드 측면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AS/신뢰성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 다는 이 결과는 구매 시 선택기준으로서의 품질, 가격/브랜드 요소가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의 AS/신뢰성 요인과 연계된 마케팅 활동이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행/디자인 요인 고려정도가 정보제공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표준화 계수 0.38, t값 5.78, 유의확률 0.000을 보여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행/디자인 고려정도는 정보제공성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디자인 고려정도가 높은 소비자의 디자인 관련 정보에 대한 욕구가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에 반영되는 정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용성/품질요인 고려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가격/브랜드 고려정도가 정보제공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격/브랜드 고려정도가 높은 집단의 가격/브랜드 관련 정보에 관한 요구가 현행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에 반영되는 수준이 긍정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추된다.
성별과 연령에 따라 분류된 집단들 모두에서 유행/디자인 요인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품질요인을 여자는 유행/디자인 요인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한국패션상품 온라인 구매대행몰의 제품전략에는 기본적으로 유행/디자인 요소를 적극 반영하되, 중국 남자 패션제품 기획에는 실용성/품질요인, 여자 제품 기획에는 유행/디자인 측면의 공략이 보다 더 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국 남녀 소비자 모두가 한류/방송프로그램을 한국 패션상품에 대한 주요 정보원으로 이용하되, 한류/방송 요인은 남성이 여성보다, SNS/입소문 요인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보 전략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가 필요하며, SNS/입소문은 남성보다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에서, 한류/방송프로그램 매체는 남성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에서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 남녀 소비자 모두가 한류/방송프로그램을 한국 패션상품에 대한 주요 정보원으로 이용하되, 한류/방송 요인은 남성이 여성보다, SNS/입소문 요인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보 전략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가 필요하며, SNS/입소문은 남성보다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에서, 한류/방송프로그램 매체는 남성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에서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0대가 30대보다 인터넷이나 SNS 등의 다양한 채널을 통한 입소문 활용도가 더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20대에게는 방송프로그램과 함께, 전단지나 지역광고보다는 위챗 공식계정 플랫폼, SNS 등을 통한 입소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고, 30대에게는 한류/방송프로그램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전체적으로 각종 정보원의 이용도가 높을수록 온라인 한국 패션제품 구매대행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NS/입소문 정보의 이용도가 제품구색/품질, 구매편리성, 접근성, 정보제공성 및 AS/신뢰성 등 모든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종 정보유형 중 한국패션제품 정보원로서의 이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도가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업체광고와 입소문에 비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각종 정보원의 이용도가 높을수록 온라인 한국 패션제품 구매대행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NS/입소문 정보의 이용도가 제품구색/품질, 구매편리성, 접근성, 정보제공성 및 AS/신뢰성 등 모든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종 정보유형 중 한국패션제품 정보원로서의 이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도가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업체광고와 입소문에 비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원으로서의 SNS/입소문의 역할이 증가될 수 있는 방안의 수립과 함께, 입소문을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서비스 만족도 향상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가격/브랜드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구매편리성, 접근용이성, 정보성, AS/신뢰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유행/디자인 요인과 가격/브랜드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정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유행/디자인 요인과 실용/품질 요인의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제품구색/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고, 실용/품질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은 집단의 구매편리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전반적으로 가격/브랜드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구매편리성, 접근용이성, 정보성, AS/신뢰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유행/디자인 요인과 가격/브랜드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정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유행/디자인 요인과 실용/품질 요인의 고려정도가 높을수록 제품구색/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고, 실용/품질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은 집단의 구매편리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따라서 가격/브랜드를 중시하는 집단의 주요 이용 채널과 실용/품질 고려도가 높은 집단이 주로 이용하는 채널의 접근용이성에 대한 비교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후속연구
소비자 특성과 구매점포의 유형에 따라서 정보원 활용이 다른 것으로 보고된 상기 문헌고찰 내용으로 미루어볼 때, 정보원별 이용도 파악이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마케팅전락 수립에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05)에 대한 만족도는, 20대에 비해 30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S/신뢰성’에 대한 만족도는 20대에 비해 30대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20대 고객의 제품구색/품질 요인과 AS/신뢰성에 대한 만족도 향상과, 30대 고객의 정보제공성에 대한 만족도 향상에 좀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정도와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서비스의 정보제공성 만족도는 서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SNS/입소문 정보의 이용도가 만족 요인들 모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는 중국 소비자들의 SNS/입소문 정보 이용 현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정보원 이용정도가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주 정보원이 제반 마케팅활동에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을 암시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가격/브랜드를 중시하는 집단은 접근용이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을 이용하는 결과이거나 가격/브랜드에서 평판이 있는 채널의 접근용이성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격/브랜드를 중시하는 집단의 주된 이용 채널 파악하고 이 채널의 접근 용이성을 벤치마킹한다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홍보 전략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가 필요하며, SNS/입소문은 남성보다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에서, 한류/방송프로그램 매체는 남성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에서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0대가 30대보다 인터넷이나 SNS 등의 다양한 채널을 통한 입소문 활용도가 더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20대에게는 방송프로그램과 함께, 전단지나 지역광고보다는 위챗 공식계정 플랫폼, SNS 등을 통한 입소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고, 30대에게는 한류/방송프로그램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따라서 20대 소비자들의 AS/신뢰성 만족도 향상을 위해 체험형 매장 운영 등을 통한 고객관계 전략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30대 고객의 정보 제공성에 대한 만족도 향상이 필요하며, 이들은 SNS 등의 입소문보다 방송프로그램의 이용도가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방송프로그램을 통한 정보만족도 향상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각종 정보유형 중 한국패션제품 정보원로서의 이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한류/방송프로그램의 이용도가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업체광고와 입소문에 비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원으로서의 SNS/입소문의 역할이 증가될 수 있는 방안의 수립과 함께, 입소문을 온라인 한국패션제품 구매대행서비스 만족도 향상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중국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에는, 선택기준별 고려정도와 정보원 유형별 활용정도가 시장세분화의 기준으로 적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만족 요인별 만족도와 패션 제품 선택기준 및 정보원별 이용정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국한하였으나, 각 선택기준별 고려정도와 각 정보원별 이용도가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분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중국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에는, 선택기준별 고려정도와 정보원 유형별 활용정도가 시장세분화의 기준으로 적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만족 요인별 만족도와 패션 제품 선택기준 및 정보원별 이용정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국한하였으나, 각 선택기준별 고려정도와 각 정보원별 이용도가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분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향후 다른 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추가된다면 보다 실용도 높은 정보가 도출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만족 요인별 만족도와 패션 제품 선택기준 및 정보원별 이용정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국한하였으나, 각 선택기준별 고려정도와 각 정보원별 이용도가 온라인 구매대행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분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향후 다른 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추가된다면 보다 실용도 높은 정보가 도출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정보원의 유형과 패션 제품 선택기준을 좀 더 세분화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 점으로 남는다.
나아가 향후 다른 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추가된다면 보다 실용도 높은 정보가 도출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정보원의 유형과 패션 제품 선택기준을 좀 더 세분화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 점으로 남는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의 주요 소비 트렌드 중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은 산업은 무엇인가?
1990년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한류’의 영향으로 현재 중국전 지역의 젊은 청소년층이 한국의 대중문화와 연예인을 따라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선호하는 한국 연예인의 이미지를 모방하기 위하여 그들이 사용하는 패션제품을 소비하기 시작하면서 ‘한류’의 영향은 특히 한국 패션제품에 많이 일어났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마침내 중국의 주요 소비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고,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해외 구매대행이란 어떤 서비스를 지칭하는가?
해외 구매대행은 해외 브랜드 제품을 직접 구입하기 힘든 국내 소비자들을 위해 해당제품의 구매를 대행해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Park, 2003). 글로벌화된 시대의 반열에서 중국 소비자들 역시 소득 증가와 해외여행, 유학, 해외의 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 등을 통해 세계 각지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접하고 있다.
한국에서 역직구 시장 규모가 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한국 소비자들의 해외직구 증가율은 주춤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이 국내 온라인에서 쇼핑하는 역직구는 2배씩 커지는 추세이다. 이는 중국 하이타오족의 한국산 화장품과 의류 구매가 늘어나기 때문이다(Daily Business, 2016). 그러나 중국이 자국시장 보호를 위해 50위안 이하의 역직구 물품에 대한 면세 조치(行郵稅) 폐지 움직임을 진행하고 있어 향후 역직구 시장 규모의 증가 추세는 가늠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