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안전성을 고려한 고속도로 오르막차로 동적운영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Dynamic Traffic Operations of Freeway Climbing Lane Toward Traffic Safety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1, 2016년, pp.68 - 80  

박현진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윤석민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교통상황에서의 오르막차로의 안전성 측면을 고려하여 운영기준 수립 및 운영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교통량과 중차량 비율에 따른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오르막차로 개폐여부에 따른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통상충건수와 상충심각도를 평가지표(SSM:Surrogate Safety Measure)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수준이 낮고 중차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교통상충건수가 증가하였으며, 서비스수준이 높고 중차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상충 심각도가 높아짐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통 안전성 측면을 고려한 오르막차로 개 폐 기준 및 탄력적 운영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기존의 운영효율성 측면과 안전성측면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효율적인 오르막차로 운영이 가능할 것이며, 교통사고 감소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갓길차로, 공사구간관리 등 LCS 운영시 안전성 측면을 고려한 전략적 운영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est in freeway truck traffic has increased largely due to greater safety concerns regarding truck-related crashes. The negative interactions between slow-moving trucks and other vehicles are a primary cause of hazardous conditions, which lead to crashes with larger speed variations. To impro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는 교통운영 측면에서 오르막차로 동적운영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교통안전 측면에서는 제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 안전성을 고려한 오르막차로 운영기준 수립 및 운영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오르막차로의 개·폐에 따른 운영효율성 측면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운영여부 판단 파라미터, 운영기준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교통안전성을 고려한 운영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 안전성 측면에서의 오르막차로 운영 기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를 평가하기 위한 교통안전 대체평가 지표(SSM: Surrogate Safety Measure)로 상충건수와 상충심각도를 제시하였다.
  • 상충건수 분석결과, 중차량 비율이 LOS가 C이며 중차량 비율이 40%이상인 경우와 LOS D, E인 경우오르막차로를 폐쇄하고, 상충심각도 분석결과, LOS A이며 중차량 비율이 50%이상일 때 오르막차로를 폐쇄하는 것이 교통 안전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통 안전성 측면을 고려한 오르막차로 개․폐 기준 및 탄력적 운영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르막차로란 무엇인가? 오르막차로는 오르막경사 구간에서 일반차량과 중차량의 주행성능의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영효율성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시설이다. 초기 오르막차로는 저속 차량을 별도의 차로로 분리시켜 주행하도록 하는 포켓형으로 운영되었다(Kim et al, 2014).
2009년 전후로 추월차로형 오르막차로로 전환된 이유는 무엇인가? 초기 오르막차로는 저속 차량을 별도의 차로로 분리시켜 주행하도록 하는 포켓형으로 운영되었다(Kim et al, 2014). 오르막차로의 설치 의도에 따라 저속차량이 우측으로 차로를 변경하여 주행해야 하나, 운전자의 심리상 저속차량이 오르막차로가 아닌 본선에서 그대로 주행하여 고속차량의 주행을 방해하는 등 운영효율성 및 안전성의 문제로 2009년을 전후로 추월차로형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추월차로형 오르막차로에서 사고건수 및 사망자수 증가로 인하여 다시 포켓형으로 전환하거나 추월차로 형태를 유지한 채 안전시설 등을 보완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중이다(Ko, 2015).
초기 오르막차로는 어떻게 운영되었는가? 오르막차로는 오르막경사 구간에서 일반차량과 중차량의 주행성능의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영효율성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시설이다. 초기 오르막차로는 저속 차량을 별도의 차로로 분리시켜 주행하도록 하는 포켓형으로 운영되었다(Kim et al, 2014). 오르막차로의 설치 의도에 따라 저속차량이 우측으로 차로를 변경하여 주행해야 하나, 운전자의 심리상 저속차량이 오르막차로가 아닌 본선에서 그대로 주행하여 고속차량의 주행을 방해하는 등 운영효율성 및 안전성의 문제로 2009년을 전후로 추월차로형으로 전환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Y. H., Lee S. J., Bae Y. S., Ko H. G. (2010), A Case Study on the Traffic Operational Guidance for Temporary Closure of Climbing Lane; Focusing on Nakdong JC at Jungbunaeryuk Expressway. 

  2. Fazio J., Rouphail N. M. (1990), Conflict simulation in INTRAS: Application to weaving area capacity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87). 

  3. Kim B. S., Kim S. G., Yun L. S., Oh Y. T., Hong D. P., Lee K. H. (2014), An Study on the safety of Passing-type Climbing Lanes in Expressways Using C-G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16(1), 99-109. 

  4. Ko H. G. (2015), Development of a Dynamic Climbing Lane Control Model at Climbing Lanes, Doctor's Degree thesis, Ajou University. 

  5. Ko H. G., Chol Y. H., Oh Y. T., Kang J. G. (2012), Evaluation of Dynamic Lane Allocation Method at Climbing Lane Section, J. Korean Soc. Transp., 30(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59-72. 

  6. Lee H. S. (2009),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Hard Shoulder Lane at Congested Section of Freeway, University of Seoul, Master Disser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12(4), 17-28.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01), Guide on Road Capacity.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4), Rules for Standard of Structure and Facilities of the Road(Explanation and Guideline). 

  9. Mithilesh Jha, David Cuneo, Moshe Ben-Akiva (1999), Evaluation of Freeway Lane Control For Incident Management, Journal of Transportaion Engineering, 125(6), 495-501. 

  10. Schaefer L., Upchurch J., Ashur S. A. (1998), An Evaluation of Freeway Lane Control Signing Using Computer Simulation,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ing, 27(9-11), 177-187. 

  11. Yoo B. S., Lee S. B., Park W. Y., Park J. T. (2010), Safety Improvement of Installation of "Hi-pass" System at Expressway Toll Gate, J. Korean Soc. Transp., 28(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