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부 무신호교차로 교통사고의 영향요인 분석 및 통계적 모형 개발
Analysis of Contributory Factors in Causing Crashes at Rural Unsignalized intersections Based on Statistical Modeling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2, 2016년, pp.123 - 134  

박정순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오주택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공학과) ,  오상진 (충북발전연구원) ,  김영준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차로는 국가 도로체계에 있어서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2014년 통계에 따르면 교차로 교통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약 44.3%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신호교차로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반면에, 무신호교차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부 무신호교차로 교통사고의 특성분석과 순서형 로지스틱 모형을 이용한 사고 심각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무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들은 대부분 주간시간에 측면직각 충돌에 발생하였으며 4지 무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가 3지 무신호교차로에 비해 약 1.53배 많이 발생하였다.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들은 운전자의 안전운전불이행 및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심각도 모형의 개발 결과, 지방부 무신호교차로의 2가지 형태(3-지, 4-지)와 3개의 모형식이 개발되었다. 주요 영향요인으로 교차로 시거 장애, 일평균교통량, 주야간시간대, 교차각, 중차량 비율, 교통법규위반 및 부도로 차로수 등이 선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ffic accident at intersections takes 44.3% of total number of accidents on entire road network of Korea in 2014. Although several studies addressed contributory factors of accidents at signalized intersection, very few is known about the factors at rural unsignalized intersections. The objec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방부 무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사고예방을 위해 특성분석과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첫째,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지방부 무신호교차로의 교통안전성 향상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에 있으므로 필요한 사항들을 다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수집 정리하였다.
  • 또한 신호교차로와는 달리 진입차에 대해 통행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우선권 확보를 위해 교차로 접근부에서 과속을 하거나 교차로 주변의 시거불량과 상충기회 증가로 사고발생건수 및 사고 심각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부 무신호교차로 교통사고의 특성분석과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단함으로써 무신호교차로의 교통안전성 향상방안 마련과 더불어 관련 연구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우선 56개의 무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하여 표본수가 다소 적으므로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보다 많은 사고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평균교통량 및 교차로 접근속도 등에 대해 사고당시와 큰 변화가 없다는 가정 하에 조사를 하다 보니 현실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국내의 경우 지방부 무신호교차로들의 상당수가 회전교차로로 전환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도 교통사고 통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014년도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223,552건의 교통사고로 하루 613건, 이로 인한 사망자수는 4,762명으로 하루 13명, 부상자수는 337,497명으로 하루 약 925명 정도가 발생하였다. 이중 교차로 교통사고는 전체의 44.3%나 될 정도로 교통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고 위험성 또한 매우 높고 교통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무신호교차로에서 특히 진입차에 대해 통행우선권을 부여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은?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 무신호교차로는 신호등이 아닌 양보, 정지 등의 교통제어방법이나 운전자의 자의적 판단과 차량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황에 따라 통행우선권이 부여되는 등 많은 판단기준과 불분명한 적용기 준으로 운전자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신호교차로와는 달리 진입차에 대해 통행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우선권 확보를 위해 교차로 접근부에서 과속을 하거나 교차로 주변의 시거불량과 상충기회 증가로 사고발생건수 및 사고 심각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부 무신호교차로 교통사고의 특성분석과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단함으로써 무신호교차로의 교통안전성 향상방안 마련과 더불어 관련 연구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국내에서 무신호교차로는 무엇 때문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가?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 무신호교차로는 신호등이 아닌 양보, 정지 등의 교통제어방법이나 운전자의 자의적 판단과 차량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황에 따라 통행우선권이 부여되는 등 많은 판단기준과 불분명한 적용기 준으로 운전자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신호교차로와는 달리 진입차에 대해 통행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우선권 확보를 위해 교차로 접근부에서 과속을 하거나 교차로 주변의 시거불량과 상충기회 증가로 사고발생건수 및 사고 심각도가 높아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ASHTO (2004),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 and Streets. 

  2. Bauer K.M., Harwood D.W. (1996), Statistical Models of At-grade Intersection Accidents, TRB. 

  3. Chang I.J., Kim J.W., Lee H.R., Lee S.B. (2011), Model for Predicting Accidents at a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Community Road,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1(3), 343-353. 

  4. Fambro D.B., Fitzpatrick K., Koppa R.J. (1997), Determination of Stopping Sight Distances, NCHRP Report 400, TRB. 

  5. Haleem K., Avdel-Aty M. (2010), Examining Traffic Crash Injury Severity at Unsignalized Intersection, Journal of Safety Research, 41(4), 347-357. 

  6. Harwood D.W., Bauer K.M., Potts I.B., Torbic D.J., Richard K. R., Kohman Rabbani E.R., Hauer E., Elefteriadou L. (2003),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and Right-turn Lanes, TRB. 

  7. Harwood D.W., Council F.M., Hauer E., Hughes W.E., Vogt A. (2002), Prediction of the Expected Safety Performance of Rural Two-lane Highways, FHWA-RD-99-207, FHWA 

  8. Kim D.H., Le, D.M., Sung N.M. (2010), A Development of Traffic Crash Frequency Prediction Models for Rural 3-legged Intersections,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17(1), 37-48. 

  9. Kim E.C., Lee D.M., Kim D.H. (2008),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Model for Evaluating Safety at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10(4), 53-63. 

  10. Kulmala R. (1997), Safety at Highway Junctions Based on Predictive Accident Models, TRB. 

  11. Lee D.M., Kim E.C., Sung N.M., Kim D.H. (2008), Development of Traffic Crash Frequency Prediction Models for Rural 3-legged Inters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10(3), 47-56. 

  12. Lee S.B. (1995), Development of Safety-based Level-of Service Parameters for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3. NCHRP Report 279 (1985), Intersection Channelization Design Guide, TRB. 

  14. NCHRP Report 500 (2003), A Guide for Addressing Unsignalized Intersection Collections, TRB. 

  15. Park B.H., Park S.H., Lee Y.M., In B.C. (2008), Accident Analysis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ZAM,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6), 69-78. 

  16. Pasanen E. (1991), Driving Speeds and Pedestrian Safety, Espoo, Finland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Traffic laboratory, Publication 72. 

  17. Poch M., Mannering F. (1996), Negative Binomial Analysis of Intersection-accident Frequencie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22(2), 105-113. 

  18. Seong W.H. (2001), Appli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mjin. 

  19. Son S.H. (2010), Development of a Delay and Safety Evaluation Models According to the Left-turn Lane Installation at Unsignalized Intersec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 Vogt A. (1999), Crash Models for Rural Intersections: Four-lane by Two-lane Stop-controlled and Two-lane by Two-lane Signalized, FHWA-RD-99-128, FHW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