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 특성을 고려한 보행자 서비스수준 평가지표 개발: 홍익대학교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Determining Level of Service for Pedestrian Walkway Considering a Pedestrian Platoon: Focusing on the Hongik University Are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2, 2016년, pp.191 - 206  

최성택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추상호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전나영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행자 행태는 개인의 사회 경제적 환경과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행 지표는 다양한 표본을 통해 얻게 된 결과의 평균적인 값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 보행자의 보행 특성이 매우 다르다면 평균 값 또한 대표성을 갖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 영상촬영을 통해 보행자를 관찰한 결과, 보행로 상에 뒤섞인 군집(platoon)이 보행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보행로 상에 군집이 많이 섞여 있을수록 보행 흐름은 더욱 느려지고 보행공간은 혼잡해진다. 보행류율과 보행점유공간 등의 지표는 특정 시간동안 해당 보행로를 이용한 보행자수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군집의 비율이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에서 동일한 수의 보행자가 관측되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보행 속도, 혼잡도 등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여 보행 군집의 구성 비중이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행자 서비스 수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값의 보행류율을 보이는 두 개의 지점이라 해도 보행 군집의 영향에 의해 서비스 수준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destrian performance measurement has generally used the average values of pedestrian volumes and speeds from a sample, although each individual's pedestrian behavior of the sample is mainly affected by his/her socio-econom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f such individual charact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보행의 불확실성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일반적으로 보행의 불확실성은 좁은 공간과 보행 속도의 차이, 대중교통 시설과 승강기 등의 보행자 대량운송수단, 횡단보도 신호 등 세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Pushkarev and Jupan, 1975). 세 가지 요인은 보행량을 짧은 순간에 방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보행로는 혼잡이 발생하게 되며 결국 보행공간에 군집(platoon)을 형성시킨다.
현재 제공되는 보행자 서비스 수준의 문제점은?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보행자 서비스 수준은 다양한 보행로 유형을 고려하지 못하는 경직성으로 인해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Kim et al., 2015).
단거리와 장거리 보행 수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보행 수단은 인간의 모든 활동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Shakar, 2003). 가까운 거리는 도보로 이동하게 되며 장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승용차, 오토바이, 대중교통 등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기 위해 보행 활동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보행은 인간 활동의 시작과 끝을 담당하는 주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uce W. L., Venkat R. V., Russell M. O., Douglas S. M., Martub G. (2007), Modeling The Roadside Walking Enviromnent: A Pedestrian Level of Servic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 Chinmoy S., Chris W., John G. (2014), Healthy Cities: Public Health Through Urban Planning, Edward Elgar. 

  3. Davis D. G., Braaksma J. P. (1987), Level-of-Service Standards for Platooning Pedestrians in Transportation Terminals, ITE Journal, April, 31-35. 

  4. Frank J. (2000),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ased on Trip Quality,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5. Huat L. I., Mas'oem D. M., Shankar R. (2005), Revised Walkway Capacity Using Platoon Flows,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5, 996-1008. 

  6. Jang J. Y., Choo S. H., Choi S. T. (2015), A Study on the Microscopic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by Classification Considering Walkway and Pedestrian Platoon Characteristics, 2015 Fall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ITS. 

  7. Jang S. Y., Han S. Y., Kim S. G. (2010), A Study on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 Facility in Transfer Stations at Urban Railro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3(3), Korean Society for Railway, 339-348. 

  8. Kadali B. R., Vedagiri P. (2015), Evaluation of pedestrian crosswalk level of service in perspective of type of land-us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73,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113-124. 

  9. Kim E. C., Choi E. J., Yang J. Y. (2015), A Study on Enhancement Methods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for Pedestrian Sidewalks, J. Korean Soc. Transp., 33(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9-39. 

  10. Kim K. H., Park S. H., Kim D. H. (2006), Estimating the Level-of-Service for Walkways by Using Fuzzy Approximate Reasoning, KSCE Journal, 26(2),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41-250. 

  11. Kim K. W. (1999), Evaluation Criteria of the Walkway Level-of-Service in Korea, J. Korean Soc. Transp., 17(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1-46. 

  12. Kim S. K., Choi J. S., Kim S. Y., Kim S. M. (2011), Evaluation of Pedestrian Road Level of Service by Survey and DGPS, 2011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79-184. 

  13. Kim T. H., Jeong K. S., Koo J. H., Won J. M. (2009),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tation Criteria for Pedestrian Quality of Service Using Analytic Network Proces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1), Korea Planners Association, 211-222. 

  14. Lim J. S., Oh Y. T. (2002), Estimation of Pedestrian Capacity for Walkway, J. Korean Soc. Transp., 20(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1-99.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Ch.14. 

  16. Murareetharan T., Adachi T., Hagiwara T., Kagaya S. (2005), Method to Determine Pedestrian Level-of-Service for Crosswalks at Urban Intersections,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6, 127-136. 

  17. Pushkarev B., Zupan J. M. (1975), Urban Space for Pedestrian, The MIT Press. 

  18. Rai Y. O., Robert J. B. (1970), Preliminary Report on the Urban Density Study, Regional Plan Association. 

  19. Sarkar S. (2003),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fort Needs in Urban Walkways in Major Activity Centers, TRB 2003 Anuual Meeting. 

  20. Shin H. M., Kim T. H., Jeong K. S., Won J. M. (2009), A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s for Pedestrians in Newtow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Metropolitan Research, 10(1), The Seoul Institute, 183-196. 

  21. Soren U. J. (2013), Pedestrian and Bicycle Level of Service at Intersections, Roundabouts and Other Crossings, TRB 2013 Anuual Meeting. 

  22.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0), Highway Capacity Manual. 

  2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0), Highway Capacity Manual, TRB, Ch.11 and Ch.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