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언론의 '해양환경'에 대한 의제설정 언어 네트워크 분석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 in News Fram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5, 2016년, pp.385 - 398  

김호경 (한림대학교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소) ,  권기석 (한밭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장덕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해양환경에 대한 언론의 의제설정 경향을 연도별로 분석하여, 해양환경이 국내 언론을 통해 어떻게 의미화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지난 10년(2005-2014년)간 국내 4개 종합일간지(동아 중앙 경향 한겨레)에 해양환경에 관해 보도된 기사에 대해 R 프로그램넷마이너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언론에서 해양환경은 경제적 차원에서 의미화되었다. 지난 10년간 연도별 구분 없이, 언론은 해양환경에 대한 '개발'이슈를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 환경의 개발을 중심으로 다양한 '계획'과 단위 '사업'들이 중요한 상관관계를 가진 영역으로 다루어졌다. 하지만 해양환경의 '보전'이슈는 국내 언론에서 주요 의제로 언급되지 않았다. 해양환경은 효과적인 보전을 기반으로, 이와 동시에 합리적인 개발이 필요한 분야이다. 개발이슈만을 지나치게 부각하는 국내 언론보도의 의제설정경향은 해양환경을 개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향후 해양환경 분야에 대한 언론보도의 방향성과 정보제공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domestic newspapers' agenda setting trend and meaning construction process on the issue of marine environment by year. The research conducted a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used R program and Netminer program to analyze four major daily newspapers' news coverages (Dong-A, Jo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대국민 정보전달의 주요 통로에 해당하는 언론이 해양환경에 대한 이슈를 어떻게 전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개발과 보전의 관점에서 언론이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대국민 정보전달의 주요 통로에 해당하는 언론이 해양환경에 대한 이슈를 어떻게 전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개발과 보전의 관점에서 언론이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간 해양환경에 대한 언론보도를 키워드 단위로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해양환경의 합리적 개발의 전제가 되는 효과적인 해양환경 보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어떠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의 정보비대칭 문제가 심각한 해양환경에 대해 국내 언론은 어떠한 의제를 제기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 사회에 의미화를 구축해 왔는지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악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국내 언론의 해양환경에 대한 보도 경향과 의미화 과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 언론의 해양환경에 대한 의미화 경향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언론에서 언급되는 해양환경 기사에 대한 언어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 그 후 검색된 기사는 다시 각 신문사의 웹사이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는 작업을 거쳤는데, 이를 통해 혹시 누락되는 기사가 없는지 점검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검색된 기사는 다시 중복되는 기사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다량의 기사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최선의 분석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기사를 찾기 위한 검색어는최성두[41]의 2006년 해양환경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연구와 2010년 국가 해양력 제고를 위해 전문가들이 진단한 40여 개의 핵심 키워드 연구[42]를 정리하였고, 선행연구에서 해양환경 분야의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언론 보도를 분석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해양사고’를 포함하여 최종 14개의 키워드를 선별하였다.
  • <연구문제 1>은 국내 언론이 해양환경 분야와 관련하여 어떠한 단어를 주로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것이다. 해양환경 의제설정을 위해 어떠한 정보를 전달하는지 분석하는 것으로 주요 언급단어 순위를 조사하고자 한다. 각 연도별로 파악하기에 앞서, 전체 분석 기간 동안(2005년부터 2014년까지) 언론이 해양환경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다룬 단어를 살펴보았다.
  • <연구문제 2>를 통해서 국내 언론이 해양환경에 대해 지식을 구성하는 패턴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에서 분석한 해양환경을 의미화하기 위해 선택된 주요 단어를 바탕으로, 단어 간의 의미연결망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 <연구문제 2>를 통해서 국내 언론이 해양환경에 대해 지식을 구성하는 패턴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에서 분석한 해양환경을 의미화하기 위해 선택된 주요 단어를 바탕으로, 단어 간의 의미연결망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표 5]를 통해, 앞서 [표 4]에서 제시하였던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중심성 지수를 각 연도별로 파악해보았다.
  • <연구문제 3>을 통해 해양환경 의미연결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어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표 6]은 해양환경 분야 기사의 연도별 중심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로, 괄호 안의 값은 각 주제어의 연도별 출현 빈도수이다.
  • 이 연구에서는 해양환경 분야에 대한 국내 언론 보도 분석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와 언론이 해양환경을 어떻게 이해하고 의미화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05-`14년) 간 국내 4개(동아, 중앙, 경향, 한겨레) 종합일간지에 게재된 해양환경 관련 기사에 대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다매체·다채널환경 속에서 여전히 신문기사가 수용자의 의제설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해양환경에 대한 종합일간지의 의미화 경향을 살펴보는 관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이 연구를 통해 지난 10년(`05-`14년) 동안의 국내 주요 종합일간지의 해양환경에 대한 의제설정을 파악해볼 수 있었다. 다매체·다채널환경 속에서 여전히 신문기사가 수용자의 의제설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해양환경에 대한 종합일간지의 의미화 경향을 살펴보는 관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환경 분야에서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에 정보비대칭은 왜 존재하는가? 물론, 이는 해양환경을 포함한 모든 환경문제에 적용되는 문제일 것이나, 육상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보다 해양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는 일반대중이 목도(目睹)하기 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해양환경 분야에서 생성되는 지식은 물리․화학․생물․지리․공학․정책 등 전 학문분야의 융합공동체로 ‘해양’에 대한 특별한 전문성 없이는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 따라서 해양환경 분야의 주요 이슈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에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해양환경 분야의 정책이슈는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 독점되어왔다.
해양환경은 어떤 재화인가? 해양환경은 대표적인 순수 공공재(public goods)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는 ‘시장실패’ 발생이 예견되는 재화이다[5][6]. 따라서 시장실패에 의한 과소공급 방지를 위해서는 해양환경 분야에 대한 국민들의 적극적 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개발행위는 무엇을 전제로 하고 이루어져야 하는가? 다만, 21세기에 들어와 환경보전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 환경에 대한 합리적 개발은 효과적 보전을 전제조건으로 해야 한다는 합의가 이뤄진 정도이다. 이는 개발행위 자체가 환경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보장 위에서 이뤄져야 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해양환경 개발 역시 이를 따라야 할 것이다[1]. 그러나 어느 정도가 ‘지속가능성의 범위’ 인지를 정의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함태성, "지속가능성과 해양환경보전에 관한 법적 고찰 - 우리나라의 조력발전소 건설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환경법연구, 제34권, 제2호, pp.57-88, 2012. 

  2. 이미나, 홍주현,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의제설정과정 참여자들의 메시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460-476, 2015. 

  3. G. A. Akerlof, "The market for "lemons": Quality uncertainty and the market mechanism,"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84, No.3, pp.488-500, 1970. 

  4. D. Christozov, S. Chukova, and P. Mateev, Informing processes, risks, evaluation of the risk of misinforming, In T. G. Gill and E. Cohen (Eds.), Foundations of informing science: 1999-2008, pp.323-356, Santa Rosa, CA: Informing Science Press, 2009. 

  5. F. M. Bator, "The anatomy of market failure,"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72, No.3, pp.351-379, 1958. 

  6. J. E. Stiglitz, "Markets, market failures, and develop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79, No23, pp.197-203. 1989. 

  7. B. Cicin-Sain and R. Knecht, The future of US ocean policy: choices for the new century. Island Press, 2000. 

  8. R. Costanza, R. d'Arge, R.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 O'Neill, J. Paruelo, R. G. Raskin, P. Sutton, and M. Belt,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Vol.387, pp.253-260, 1997. 

  9. K. Paul, Preparing for the twenty-first century, London: Harper Collins, 1993. 

  10. 이대인, 엄기혁, 권기영, 김귀영, 윤성순, 장주형, "해양환경영향평가 관련 협의에 의한 연안이용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7-103, 2008. 

  11. H. C. Cheung, T. Wang, K. Baumann, and H. Guo, "Influence of regional pollution outflow on the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visibility in the coastal area of southern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Vol.39, No.34, pp.6463-6474, 2005. 

  12. T. J. Chow, K. W. Bruland, K. Bertine, A. Soutar, M. Koide, and E. D. Goldberg, "Lead pollution: records in Southern California coastal sediments," Science, Vol.181, No.4099, pp.551-552, 1973. 

  13. C. L. Lee, H. Y. Chen, and M. Y. Chuang, "Us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ambient water to assess metal pollution status of the charting coastal area, Taiwan, after the 1986 green oyster incident," Chemosphere, Vol.33, No.12, pp.2505-2532, 1996. 

  14. A. Yusof, N. Yanta, A. Wood, "The use of bivalves as bio-indicators in the assessment of marine pollution along a coastal area,"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Vol.259, No.1, pp.119-127, 2004. 

  15. K. Buesseler, M. Aoyama, and M. Fukasawa, "Impacts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s on marine radioactivity,"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45, No.23, pp.9931-9935, 2011. 

  16. M. Nakano and P. P. Povinec, "Long-term simulations of the 137Cs dispersion from the Fukushima accident in the world ocean,"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Vol.111, pp.109-115, 2012. 

  17. 이시재,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영향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2권, 제1호, pp.109-144, 2008. 

  18.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241-248, 2009. 

  19. 이재학, "기상 이변과 기후변화의 조절자인 해양," 해양정보, 제46권, pp.38-43, 2010. 

  20. K. K. Arkema, S. C. Abramson, and B. M. Dewsbury, "Marine ecosystem-based management: from characterization to implementation,"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Vol.4, No.10, pp.525-532, 2006. 

  21. P. M. Haas, "Do regimes matter? Epistemic communities and Mediterranean pollution control,"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43, No.3, pp.377-403, 1989. 

  22. M. J. Hammer and P. A. Chadik, Water supply and pollution control, Pearson Prentice Hall, 2009. 

  23. L. W. Botsford, J. C. Castilla, and C. H. Peterson, "The management of fisheries and marine ecosystems," Science, Vol.277, No.5325, pp.509-515, 1997. 

  24. R. Curtin, and R. Prellezo, "Understanding marine ecosystem based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Marine Policy, Vol.34, No.5, pp.821-830, 2010. 

  25. S. M. Garcia, A. Zerbi, C. Aliaume, C. T. Do, and G. Lasserre, "The ecosystem approach to fisheries: Issues, terminology, principles, institutional foundations, implementation and outlook,"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Vol.443, pp.1-71, 2003. 

  26. D. Aboody and B. Lev, "Information asymmetry, R&D, and insider gains," The Journal of Finance, Vol.55, No.6, pp.2747-2766, 2000. 

  27. S. Brown, S. A. Hillegeist and K. Lo, "Conference calls and information asymmetry,"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Vol.37, No.3, pp.343-366, 2000. 

  28. B. Hayes, "Unions and strikes with asymmetric information,"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2, No.1, pp.57-83, 1984. 

  29. M. E. McCombs and D. L. Shaw,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6, No.2, pp.176-187, 1972. 

  30. R. Cobb, J. K. Ross, and M. H. Ross, "Agenda building as a comparative political proces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70, No.1, pp.126-138, 1976. 

  31. 양정혜,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 국내 주 요 일간지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9권, pp.81-121, 2008. 

  32. 김동규, 한국신문의 해양사고 보도태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3. 노호래, 임석원, "해양범죄예방을 위한 언론보도의 개선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448-457, 2013. 

  34. 정우성, 양현채, 과학계량학 연구동향 및 과학기술정책 분야 응용가능성,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35. 김정미, 윤미영, 국민 공감형 정책시행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시나리오,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36. 이재호, 정부 3.0실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13. 

  37. 이강용, 남궁현, 심재철, 조기성, 류원, "공공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지식자산 구축," 정보과학회지, 제30권, 제6호, pp.40-46, 2012. 

  38. 이상윤, 윤홍주,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1259-1273, 2012. 

  39. 송영조, 미래연구 기반의 정책구현을 위한 정보화의 역할,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2011. 

  40. 차민경, 권상희, "언론의 '창조경제'에 대한 의제 설정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2호, pp.88-120, 2015. 

  41. 최성두, "국제 해양환경안전 이슈와 정책레짐 변화," 해양환경안전학회, 제12권, 제2호, pp.115-123, 2006. 

  42. 주강현, "블루 이코노미의 미래와 국가 해양력 제고를 위한 전문가들의 진단과 처방 : 40여 개의 핵심 키워드로 읽는 최초의 본격 '해양 교과서'," 독도연구저널, 제9권, pp.128-132, 2010. 

  43. http://www.cyram.com 

  44. L. C. Free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1, No.3, pp.215-239, 1979. 

  45. 백민지, 최효연, 유승훈,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21권, 제5호, pp.492-500, 2015. 

  46. C. I. Barnard,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47. H. A. Simon, Organizational Behavior, N.Y.: Macmillan Press, 1957. 

  48. 김성태, 김혜령, "인터넷을 통한 의제파급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평화연구, 제19권, 제2호, pp.297-33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