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5, 2016년, pp.783 - 80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labor market entry of disabled women,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o support the labor market entry of them. This article utilized the survey data of the 3rd to the 7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2010-...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인적자본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 인적자본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는 학교교육을 통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 직업훈련을 통한 기능의 습득, 직장에서의 근무능력을 통한 전문지식의 습득 등이 있다. 그러나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하여 장애와 건강상의 이유로 인해 교육이나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인적자본투자의 절대량이 비장애 인에 비해 낮을 수 있다[13]. | |
인적자본론이란 무엇인가? | 첫째, 인적자본론은 교육, 직업훈련, 자격취득 등의 활동을 통해 인적자본이 더 많이 축적된 사람이 노동시 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론이다[11]. 이는 장애인 개인의 취업여부나 임금수준의 차이는 그 개인의 생산성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고 동시에 그들의 생산성은 교육, 직업훈련, 경력, 건강 등에 대한 투자에 비례하여 증가한다고 한다[12]. | |
우리나라 여성장애인의 경우, 남성장애인보다 적은 수가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현상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 7%인 63만3천명이 취업자로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다[7]. 이러한 현상은 여성장애 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부족, 사회적 무관심,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하여 취업이 매우 제한되어 있고, 여성장 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3]. |
이선우,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33권, pp.287-313, 1997.
이주희,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직업유지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황아윤, 여성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진입 확대 방안, EDI 연구과제발표회, 321-396, 2007.
오혜경,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 및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판사회정책, 제13권, pp.113-146, 2002b.
곽지영, "여성장애인의 직업 선택 및 유지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2006.
신유리, "여성장애인의 직업활동에서의 적응유연성 과정에 관한 연구," 장애와 복지, 제17권, pp.17-41, 2012.
고제훈, 김종미, 김호진, 김성천,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인통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14.
유동철, "여성지체장애인에 대한 이중차별 분석: 고용과 임금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15권, pp.73-108, 2002.
김성희,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홍성표, 정진철, "자격취득이 장애인 재취업 및 구직기간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169-196, 2015.
이정우, 불평등의 경제학, 서울: 후마니타스, 2010.
서진숙, 김관용, "신체 내부기관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4권, pp.241-266, 2014.
김성희, "장애인의 취업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제9권, pp.137-167, 2010.
이정우, 불평등의 경제학, 서울: 후마니타스, 2010.
유동철, 노동시장의 장애인 차별 영향분석: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강동욱, "노동시장의 여성장애인 이중차별구조," 사회복지정책, 제15권, pp.7-3, 2002.
소콜로프 나탈리 J, 여성노동 시장이론, 이효재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0.
전이상, 장애인 취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류정진, 나운환,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0권, 제2호, pp.167-193, 2006.
강은나, 맹진영, "실업 장애인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2호, pp.103-129, 2011.
백종남, 임경원, "지적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특수교육학연구, 제47권, 제3호, pp.65-91, 2012.
김정아, 나운환, 김지민,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2권, 제4호, pp.321-338, 2013.
김정호,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남정휘, 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직업유지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M. Baldwin and W. G. Johnson,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Human Resources, pp.1-19, 1994.
황수경,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확률 격차와 장애효과," 노동정책연구, 제3권, 제1호, pp.141-169, 2003.
M. E. Capella, "Comparing employment outcom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nsumers with hearing loss to other consumers and the general labor force,"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Vol.47, No.1, pp.24-33, 2003.
백은령, 오혜경, 전동일, "여성장애인의 취업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17권, 제1호, pp.223-248, 2007.
유완식, 유은주,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기금의 효율적 운용 방안, 기본과제보고서, pp.1-188, 2013.
이선우, "장애인의 경제활동유형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Multinomial Logit (다항로짓) 을 이용한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18권, pp.113-135, 2001.
K. Rabren, G. Hall, and C. Brown, "Employment of transition-age rehabilitation consumers: Demographic and programmatic factor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18, No.3, pp.145-152, 2003.
D. S. Randolph and E. M. Andresen, "Disability, gender, and unemployment relationships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Disability & Society, 제19권, 제4호 pp.403-414, 2004.
류정진, 나운환, 박자경, "노동시장에서의 장애인차별인식과 채용결정요인,"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3호, pp.375-391, 2005.
어수봉,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 분석," 장애와 고용, 제6권, 제1호, pp.23-37, 1999.
박경숙, 박능후,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조사 및 자활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여성정책과, Vol.2, 2001.
성지미, 안주엽,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제6권, 제1호, pp.39-74, 2006.
성효용, 김민경,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65권, 제2호, pp.117-148, 2003.
T. L. Blackwell, S. J. Leierer, S. Haupt, and A. Kampitsis, "Predi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turn-to-work outcomes in workers compens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Vol.46, No.2, pp.108-114, 2006.
김학주, 우경숙, "중, 고령자의 재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97-110, 2004.
강동욱, "장애인의 경제활동실태와 향후 정책적 개선방안-장애정도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0권, 제3호, pp.145-171, 2004.
남정휘, 강민수, "장애인의 재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4호, pp.27-49, 2014.
노승현, "고령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3권, pp.51-82, 2012.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79-104, 2010.
이문정, 남정휘, 이성하, "여성 지적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연구, 제16권, 제1호, pp.351-366, 2014.
남정휘, "장애유형별 노동시장 진입가능성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3권, 제1호, pp.43-65, 2014.
정병오, "여성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복지행정논총, 제20권, 제2호, pp.143-174, 2010.
장지연, 황덕순, 은수미, 노동 시장 구조와 사회보장 체계의 정합, 한국 노동 연구원, 2011.
강동욱, "장애인 노동시장 내부의 분단성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21권(단일호), pp.111-128, 2005.
M. Feuerstein, W. S. Shaw, A. E. Lincoln, V. I. Miller, and P. M. Wood, "Clinical and workplace factors associated with a return to modified duty in work-related upper extremity disorders," Pain, Vol.102, No.1, pp.51-61, 2003.
석말숙, "임금근로 장애인의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1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461-493, 2009.
이달엽, "우리나라 장애인고용패널의 주요 특성, 장애수용, 일상생활 만족도,"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6권, 제1호, pp.159-185, 2013.
김경선, 김영식, 정소라, "경향점수 매칭과 재발사건생존분석을 활용한 장애인 고용 및 직업재활서비스의 직업유지 효과 분석,"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83-109, 2014.
강철희, 김미옥, "여성장애인의 고용 안정 및 확대를 위한 구직화 과정 분석 연구," 재활복지, 제4권, 제1호, pp.1-31, 2000.
D. L. Smith, "The relationship of type of disability and employment status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behaviori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73, No.2, 2007.
이금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pp.175-194, 2010.
신은경, 이한나, "여성장애인 고용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직업재활연구, 제20권, 제1호, pp.43-63, 2010.
전영환, 남용현, 류정진, "장애인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건강행위, 건강상태,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1호, pp.187-208, 2011.
F. Z. Belgrave, "Psychosocial predictors of adjustment to disability in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57, No.1, p.37, 1991.
한애경, 윤혜미, "중증과 경증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3호, pp.153-181, 2012.
김용탁, 구인순, "장애인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재활복지, 제17권, 제4호, pp.151-176, 2013.
전영환,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취업 효과 분석,"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5-25, 2014.
박자경, 여성장애인 경제활동참여 활성화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자료, pp.53-58, 2007.
임종호, "뇌성마비인의 고용 결정 요인,"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2006.
변용찬, 오혜경, 이정선,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차별해소 방안연구,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2006.
이은미, "여성지체장애인의 구직 및 직업유지 과정에 대한 경험 연구," 장애와 고용, 제16권, 제1호, pp.67-92, 2006.
이재열, 강상진, 방하남, 사회과학의 고급계량분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5.
전동일, 장애인의 직업력(work history)유형과 직업유지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송경일, 최종수, SPSS15를 이용한 생존자료의 분석, 한나래출판사, 2008.
채구묵, 고급통계학, 양서원, 2014.
안은자, "노동자로서의 장애 여성," 당대비평, 제15권, pp.164-176, 200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