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존농도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자료동화기법에 따른 WRF모델의 기상민감도 연구
Sensitivity Analysis of the WRF Model according to the Impact of Nudging for Improvement of Ozone Predi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5, 2016년, pp.683 - 694  

김태희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정주희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김유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nsitivity analysis of the WRF model according to the impact of nudging (e.g., nudg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 domains) was conducted during high nocturnal ozone episode to improve the prediction of the regional ozone concentration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상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야간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자료동화에 따른 기상민감도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고농도 오존이 많이 발생하는 부산을 포함한 한반도 남동해안지역의 오존농도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야간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너징종류 및 적용도메인에 따른 WRF모델의 기상모의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남동해안지역의 기상민감도에 따른 오존농도예측 민감도분석을 위한 선행연구로 수행되어졌다.
  •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간대별 기상요소들의 정확도와 수평분포 차이는 오존모의에 있어 화학반응 및 수송, 확산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다. 따라서 추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료동화 기법에 따른 대기질 모델링을 수행하여 오존농도 모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객관분석 수행 시 너징종류과 적용도메인에 따른 자료동화 효과를 분석하고자 총 6개의 실험을 구성하였다. 관측너징과 그리드너징의 적용에 따른 개선 효과를 살펴보고자 너징을 수행하지 않은 규준실험(CNTL)과 모든 도메인에 대해 관측너징을 수행한 실험(ONE)과 모든 도메인에 대해 그리드너징을 수행한 실험(GNE)을 설계하였고, 그리드너징 수행 시 너징을 적용한 도메인에 따른 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여 각기 다른 도메인에 적용한 실험을 추가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동해안지역의 오존 농도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너징종류 및 적용도메인에 따른 WRF모델의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기온, 상대습도, 풍속 그리고 PBL고도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전체기간과 낮/밤 시간에 대한 정확도 개선 효과와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존의 생성 및 소멸기작과 전구물질 생성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기온, 바람, 수증기, 경계층 높이와 같은 다양한 기상요소들은 오존의 생성 및 소멸기작과 전구물질 생성과정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Hanna, 1994; Mao et al., 2006; Seaman, 2000).
중규모 기상모델인 WRF ver 3.6에 적용할 초기 및 경계조건은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6을 사용하였다. 초기 및 경계조건은 NCEP/NCAR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national centers for atmospheric research)에서 제공하는 FNL (final analyses)자료와 SST (sea surface temperature)자료를 이용하였다. FNL자료와 SST자료는 1 °×1 °, 0.
객관분석이란 무엇인가? 객관분석은 불규칙한 관측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대기의 상태를 규칙적인 자료의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FDDA (four dimensional data assimi-lation)을 수행한다. 너징(nudging)은 모델에서의 FDDA로서 관측너징(observation nudging)과 분석너징(analysisnudging)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na, M., Lamb, B., 2000, Improving ozone modeling in regions of complex terrain using observational nudging in a prognostic meteorological model, Atmos. Environ., 34, 4889-4906. 

  2. Choi, H. J., Lee, H. W., Sung, K., Kim, M. J., 2009, The Effect of atmospheric flow field according to the radius influence and nudging coefficient of the objective analysis on complex a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3), 271-281. 

  3. Choi, J. W., Lee, J. G., 2015, A Sensitivity study of WRF model simulations to nudging methods for a Yeongdong heavy snowfall event,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5(1), 99-115. 

  4. Dawson, J. P., Adams, P. J., Pandis, S. N., 2007, Sensitivity of ozone to summertime climate in the eastern USA: A Modeling case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41(7), 1494-1511. 

  5. Eliasson, I., Thorsson, S., Andersson-Skold, Y., 2003, Summer nocturnal ozone maxima in Goteborg, Sweden, Atmos. Environ., 37, 2615-2627. 

  6. Hanna, S. R., 1994,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evaluation techniques with emphasis on needs of air quality models, Meteorological Monographs: Mesoscale Modelling of the Atmosphere, 25. 

  7. Jeon, B. I., 1999, Characteristics of nocturnal maximum ozone and meteorological relevance in Pusan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8(3), 287-292. 

  8. Jeong, J. H., Lo, S., Song, S. K., Kim, Y. K., 2010, The Application of wind profiler data and its effects on wind distributions in two different coastal area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6), 689-701. 

  9. Jeong, Y. M., Lee, H. W., Lee, S. H., Choi, H. J., Jeon, W. B., 2011, Numerical study on the impact of regional warming on the meterological field and ozone concentration ove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12), 1431-1445. 

  10. Lee, S. H., Kim, H. S., Lee, H. W., 2004, Numerical study on surface data assimilation for estimation of air quality in complex terrain,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4), 523-537. 

  11. Liu, P., Tsimpidi, A. P., Hu, Y., Stone, B., Russell, A. G., Nenes, A., 2012, Differences between downscaling with spectral and grid nudging using WRF, Atmos. Chem. Phys., 12, 3601-3610. 

  12. Mao, Q., Gautney, L. L., Cook, T. M., Jacobs, M. E., Smith, S. M., Kelsoe, J. J., 2006, Numerical experiments on MM5-CMAQ sensitivity to various PBL schemes, Atmospheric Environment, 40(17), 3092-3110. 

  13. Otte, T. L., 2008, The Impact of nudging in the meteorological model for retrospective air quality simulations, Part I : Evaluation against national observation network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7, 1853-1867. 

  14. Park, J. H., 2006,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nd meteorological formation mechanism of nocturnal surface ozone in Busan coastal area, Pukyo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egree. 

  15. Pirovano, G., Coll, I., Bedogni, M., Alessandrini, S., Costa, M. P., Gabusi, V., Lasry, F., Menut, L., Vautard, R., 2007, On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input on photochemical modeling of a severe episode over a coastal area, Atmos. Environ., 41, 6445-6464. 

  16. Seaman, N. L., 2000, Meteorological modeling for air-quality assess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34(12-14), 2231-2259. 

  17. Stauffer, D. R., Seaman, N. L., Hunter, G. K., Leidner, S. M., Lario-Gibbs, A., 2000, A Field-coherence technique for meteorological field-program design for air quality studied, Part I :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J. Appl. Meteor., 39, 297-316. 

  18. Taylor, K. E., 2001, Summarizing multiple aspects of model performance in a single diagram, J. Geophys. Res., 106 (D7), 7183-7192. 

  19. U. S. EPA, 2007, Guidance on the use of models and other analyses for demonstrating attainment of air quality goals for ozone, PM2.5, and regional haze, Tech Rep., EPA-454/B-07-002, Research Triangle Park, NC. 

  20. Yoon, M. J., 2009, The Sensitivity analysis of WRF model with various nudging methods and physics scheme, Master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